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포토저널리즘 사진과 캡션의 의미작용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69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하나의 주제를 다룬 다섯 장의 사진과 캡션을 통해, 포토저널리즘의 구성단위인 사진과 글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민속지학적 방법과 ...

      본 연구는 하나의 주제를 다룬 다섯 장의 사진과 캡션을 통해, 포토저널리즘의 구성단위인 사진과 글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민속지학적 방법과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기호의 의미작용과 해독의 의미작용을 분리시켜, 기호와 해독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기호학적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 하나의 의미로 고정되지 않고 다의성을 띤 사진이미지에 캡션이 첨가됨으로 수용자의 해독에 변화가 있었다. 두번째, 해독에 있어 수용자의 문화적 배경이 중요한 번수로 작용했다. 세번째, 포토저널리즘 영역에서 사진만으로는 사실을 재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용자의 문화적 코드를 바탕으로 한글이 들어감으로써, 포토저널리스트와 수용자간의 보다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표토저널리스트가 재현한 현실과 그것을 해독하는 수용지간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했고, 이것이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 전제에 대한 고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about the audience's aspect of decoding the photography and words comprising photojournalism. For this study, the way of audience's decoding five pictures depicting a foreign worker's death and the captions for each were analyzed. Ethn...

      This is a study about the audience's aspect of decoding the photography and words comprising photojournalism. For this study, the way of audience's decoding five pictures depicting a foreign worker's death and the captions for each were analyzed. Ethnographic method was used to fi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audiences in decoding the pictures. Picture images without any title and caption shown to audiences bring quite different decodings from those of picture images titled and captioned. This led to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picture image added by caption transforms the way the audience decode. Seco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an audience works as a major variable, which means how the audience decode the picture image depends on what sort of cultural background the audience has. Third, it is also learned that picture image not captioned would not be able to represent the reality faithfully. The author made an experimental trial in this thesis how the communication process works successfully in a reality that photojournalists tried to represent and the way the audience decode it for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in photojourn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의미분별법을 통한 사진이미지의 해독에 관한 연구결과
      • 4. 사진이미지와 캡션의 해독에 관한 연구결과
      • 5. 수용자의 해독에 있어서 캡션이 영향 분석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의미분별법을 통한 사진이미지의 해독에 관한 연구결과
      • 4. 사진이미지와 캡션의 해독에 관한 연구결과
      • 5. 수용자의 해독에 있어서 캡션이 영향 분석
      • 6.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분석에 사용된 사진과 캡션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3 1.53 2.10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