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전통혼례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조사 = A Research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Needs of Korean Traditional Wedding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6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통혼례 교육을 포함한 의례교육 수강경험과 의례교육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고, 의례교육의 중요한 부분인 전통혼례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그리고 앞으로의 교육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부산과 경남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84명을 대상으로 전통혼례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요구 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례교육 수강경험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대부분 수강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혼례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낮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그 요구수준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통혼례교육에 대한 차이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학력과 경력에 따른 전통혼례교육 인식 및 실태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전통혼례교육을 비롯하여 의례교육에 대한 교육환경이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노출되지 않음을 확인한 바, 장기적으로 유아교육프로그램 및 유아교사들을 위한 교재 발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통혼례 교육을 포함한 의례교육 수강경험과 의례교육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고, 의례교육의 중요한 부분인 전통혼례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그리고 앞으로의 교육...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통혼례 교육을 포함한 의례교육 수강경험과 의례교육에 대한 의식을 알아보고, 의례교육의 중요한 부분인 전통혼례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그리고 앞으로의 교육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부산과 경남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84명을 대상으로 전통혼례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요구 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례교육 수강경험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대부분 수강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통혼례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낮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그 요구수준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통혼례교육에 대한 차이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학력과 경력에 따른 전통혼례교육 인식 및 실태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전통혼례교육을 비롯하여 의례교육에 대한 교육환경이 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노출되지 않음을 확인한 바, 장기적으로 유아교육프로그램 및 유아교사들을 위한 교재 발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real condition and needs on korea traditional wedding. 384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on teacher's awareness, real condition and needs about traditional wedding on kindergartens and day care in Seoul and Gyeonggi,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little experience in education on traditional wedding include the ritual culture. Second, on awareness , real condition of traditional wedding education were low but needs level was relatively higher. Third, on the traditional wedding education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and career level for the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want education program and opportunity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wedding, opportunity and educational program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wedding for early childhood was needs to give
      them to learn it.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real condition and needs on korea traditional wedding. 384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on teacher's awareness, real condition and needs about traditional...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real condition and needs on korea traditional wedding. 384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on teacher's awareness, real condition and needs about traditional wedding on kindergartens and day care in Seoul and Gyeonggi,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little experience in education on traditional wedding include the ritual culture. Second, on awareness , real condition of traditional wedding education were low but needs level was relatively higher. Third, on the traditional wedding education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and career level for the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want education program and opportunity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wedding, opportunity and educational program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wedding for early childhood was needs to give
      them to learn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요 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옥, "한국의 혼인문화" 도서출판 구상 2011

      2 안혜숙, "한국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도서출판 신정 2002

      3 김득중, "지향가정의례" 중화서원 2010

      4 김봉희, "전통예절교육활동이 유아의 예절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 이은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20 : 135-154, 2003

      6 김미라, "전통 유아예절교육의 현대적 활성화 방안 연구 -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立志)’와 ‘실천위주’ 교육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01-222, 2011

      7 고민경, "유치원의 전통문화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권재숙, "유치원과 가정의 전통예절교육 내용을 적용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교육의 효과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이희선, "유아의 기본생활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6 : 2000

      10 전수진, "유아예절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13) : 35-62, 2008

      1 김인옥, "한국의 혼인문화" 도서출판 구상 2011

      2 안혜숙, "한국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도서출판 신정 2002

      3 김득중, "지향가정의례" 중화서원 2010

      4 김봉희, "전통예절교육활동이 유아의 예절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 이은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20 : 135-154, 2003

      6 김미라, "전통 유아예절교육의 현대적 활성화 방안 연구 -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立志)’와 ‘실천위주’ 교육을 중심으로 -"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01-222, 2011

      7 고민경, "유치원의 전통문화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권재숙, "유치원과 가정의 전통예절교육 내용을 적용한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교육의 효과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9 이희선, "유아의 기본생활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6 : 2000

      10 전수진, "유아예절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13) : 35-62, 2008

      11 주영애, "유아를 위한 전통 가정생활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3 (3): 85-99, 2000

      12 김승신, "유아들의 생활예절 행동 변화에 관한 반성적 실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0

      13 정귀옥, "유아교사들의 유아예절교육에 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벤처경영대학원 2002

      14 전경화, "유아 전통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실태에 대한 연구" 4 (4): 27-51, 2000

      15 정해은, "유아 예절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요구도 분석" 11 : 145-161, 2003

      16 임소용, "예절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7 이행숙, "어린이집 교사가 인지한 예절교육 필요도에 대한 연구" 7 : 2000

      18 김인옥, "가정의례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7

      19 김양호, "‘혼례/혼수’에 대한 생활체감정책단 온라인패널조사 결과보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20 Katz, L. G., "Talk with teachers: Reflect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