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한 준비운동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준비운동에 대한 인식과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존에 체육시간에 적용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24531
서울 : 한국체육대학교, 2013
학위논문(석사) --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교체육교육 전공 , 2013.8
2013
한국어
692.375 판사항(4)
서울
85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김진한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한 준비운동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준비운동에 대한 인식과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존에 체육시간에 적용하...
본 연구는 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한 준비운동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준비운동에 대한 인식과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존에 체육시간에 적용하던 준비운동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흥미를 끌어 동기유발이 될 만한 요소를 놀이에서 추출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로 준비운동에 임하고, 더 나아가 체육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연구자가 담당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공립 S초등학교 5학년 1개반 남·여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총 8주(기존의 준비운동 2주,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 6주)간에 걸쳐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준비운동을 구성하기 위해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하는 놀이와 ‘두근두근 운동장 놀이’(2880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준비운동의 성격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다음으로 실험 처지 후에 준비운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명철(2004)의 준비운동에 관한 성취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각 영역은 준비운동에 대한 태도, 준비운동에 대한 흥미, 본시학습과의 관계, 준비운동의 필요성으로 구분하여 조사였다. 그리고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을 적용한 후에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영근(2011)의 초등학교 수업에 대한 만족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수업 만족도의 5가지 영역 중 수업자신감, 수업흥미도, 수업참여도와 관련된 문항으로 수정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간단한 소감문과 교사의 수업일지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한 준비운동에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로 참여하였다. 이 점은 학생들이 놀이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조금씩 응답수의 폭에 변화가 있기는 했지만 준비운동에 대한 태도 문항 중 자발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참여, 흥미에 관한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매우 그렇다’의 응답수가 상당히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준비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기존의 준비운동은 학생들에게 체육시간을 줄이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며 상당히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준비운동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었다. 하지만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을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학생들은 준비운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즐겁게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3월 15일과 6주 후인 4월 26일의 ‘매우 그렇다’의 응답을 비교하여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을 적용한 후에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연구 후에 3월 19일과 6주 후인 4월 26일의 ‘매우 그렇다’의 응답수 백분율을 비교하여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영역별로 살펴보았다. 수업자신감, 수업흥미도, 수업참여도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상승하였고, 이는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학생들의 소감문과 교사의 수업 일지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더 재미있는 놀이로 준비운동을 하기 위해서 규칙이나 새로운 놀이에 대한 생각을 제시할 정도로 준비운동에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