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 간의 구조 관계를 알아보고,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65499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2021
한국어
338.6 판사항(5)
부산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isure flow, social support, self-efficacy, depression and well-aging of seniors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vi, 133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종운
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97-125
I804:21008-20000036020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 간의 구조 관계를 알아보고,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 간의 구조 관계를 알아보고,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은 웰에이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을 매개로 웰에이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을 매개로 순차적으로 웰에이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한 다수의 노인복지관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 및 웰에이징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89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6.0과 AMOS Ver.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웰에이징에 직접효과가 있다. 그러나 여가몰입은 우울에는 직접효과가 없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우울은 웰에이징에 직접효과가 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각각 웰에이징에 간접효과가 있다. 그러나 여가몰입은 우울을 매개로 웰에이징에 간접효과가 없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을 매개로 웰에이징에 순차적 간접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이 지각하는 여가몰입,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웰에이징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확인하여, 웰에이징을 도울 수 있는 주요 예측변인이자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참여 노인의 여가몰입과 웰에이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우울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웰에이징 증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구성하고 기획할 때 노인 맞춤형 심리·정서 및 사회·환경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