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usic Activities on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on Sett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5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 activities related to facilitating cognitive skills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to find how individual variables can affect to it. Thirty four children with developmen...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 activities related to facilitating cognitive skills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to find how individual variables can affect to it. Thirty fou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ttending a inclusive child-care center participated in 20 sessions which consist of 30 minutes of intervention. The studying period is from September to February. Intervention was music activities related to facilitate cognitive skills. Study design i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s results of this study,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cognitive skills improved children's concept development, reasoning ability and academic skills, memory skills in the inclusion settings.
      The study shows that music activities improved cognitive skills according to sex, degree of disability and ages.
      In conclusion,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cognitive skills can be effective in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cognitive skills in inclusion sett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발달지체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라 음악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곳...

      본 연구는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발달지체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라 음악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곳의 통합보육기관을 이용하는 34명의 발달지체유아를 편의 표집 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기간은 9월부터 2월까지 6개월이었으며 발달지체유아가 생활하는 학급에서 20회기 간 중재가 실시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비교집단 실험설계이었다. 연구결과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인 개념발달, 추리 및 학문기술,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은 성별과 장애등급, 나이에 따라 발달지체유아의 개념발달, 추리 및 학문기술,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은 통합보육기관의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으로 시행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연경, "홀리스틱 예술교육을 위한 음악과 수학의 통합교육 교수-학습 연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8 (18): 127-150, 2014

      2 용경희, "학습 기술의 기억 증진을 위한 음악 사용"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8

      3 서은정, "통합학급 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수량학습프로그램 연구" 39 (39): 201-251, 2000

      4 현영희, "칠교놀이가 유아의 인지양식 및 도형추리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배하경,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학습을 위한 음악-수학 수업 모형 개발 : 공간개념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최정현, "창의성 이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한 음악수업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7 최진성,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의 오류유형 및 관계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01-220, 2011

      8 곽은미,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7): 1-17, 2010

      9 강대웅, "정신지체아동의 암묵적 기억의 발달 : 범주전형성과 제시양식의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10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유치원 교육과정" 학지사 2001

      1 문연경, "홀리스틱 예술교육을 위한 음악과 수학의 통합교육 교수-학습 연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8 (18): 127-150, 2014

      2 용경희, "학습 기술의 기억 증진을 위한 음악 사용"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8

      3 서은정, "통합학급 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수량학습프로그램 연구" 39 (39): 201-251, 2000

      4 현영희, "칠교놀이가 유아의 인지양식 및 도형추리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 배하경,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학습을 위한 음악-수학 수업 모형 개발 : 공간개념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6 최정현, "창의성 이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한 음악수업모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7 최진성, "지적장애학생의 인지처리양식과 수학문장제 문제의 오류유형 및 관계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01-220, 2011

      8 곽은미,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7): 1-17, 2010

      9 강대웅, "정신지체아동의 암묵적 기억의 발달 : 범주전형성과 제시양식의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10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유치원 교육과정" 학지사 2001

      11 손수근, "인지 발달론에 근거한 정신지체 초등학생 음악 지각·표현활동 지도 방안 : 특수학교 '음악1'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2 최병철, "음악치료학" 학지사 2001

      13 이상미,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 및 음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17-139, 2011

      14 박정옥, "유아의 논리적 추리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6

      15 허지연, "유아음악과 수학교육을 기초한 유리드믹스 지도법 제안 및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16 김영연, "유아 음악교육론" 학지사 2002

      17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18 남윤석, "스캐폴딩 기반 코스웨어의 적용이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능력과 독립적인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03-231, 2008

      19 김현주, "블렌디드 러닝이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수학 학업성취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27-47, 2013

      20 박애경, "분류개념과제를 이용한 전조작기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9 (9): 23-34, 2009

      21 염현경, "배경음악이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22 전병운,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진단?평가 도구의 개발 및 웹기반 시스템 구축"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13-151, 2005

      23 전병운,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 구축"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9-53, 2006

      24 송길연,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5

      25 이준석, "발달선별검사의 인지영역 타당화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23-342, 2006

      26 박지인, "리듬을 중심으로 한 집단음악치료가 취학 전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0

      27 류미정, "달크로즈 중심의 음악치료활동을 통한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8 구효진, "기억훈련이 지적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13-229, 2009

      29 이진희, "기억책략으로서 음악이 학령 전 아동의 회상 인출량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3

      30 오세웅, "구체물의 조작적 놀이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 개념에 미치는 효과" 5 : 151-171, 2003

      31 임명희, "구조화된 음악치료활동을 통한 학습장애 중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관한 연구" 35 (35): 33-46, 2005

      32 Wolfe, D. E., "Use of melodies as structural prompts for learning and retention of sequential verbal information by preschool students" 30 : 100-118, 1993

      33 Alipour, M., "The effects of songs on EFL learners' vocabulary recall and retention : The case of gender" 1 (1): 140-143, 2012

      34 Silverman, M. J., "The effect of pitch, rhythm, and familiarity on working memory and anxiety as measured by digit recall performance" 47 (47): 70-83, 2010

      35 Silverman, M. J., "The effect of paired pitch, rhythm, and speech on working memory as measured by sequential digit recall" 44 (44): 415-427, 2007

      36 Gromko, J. E., "The effect of music training on preschoolers' spatial-temporal task performance" 46 (46): 173-181, 1998

      37 Rainey, D. W., "The effect of familiar melodies on initial learning and long-term memory for unconnected text" 20 : 173-186, 2002

      38 Gromko, J.,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aural perception, listening condition and accurate reading of graphic listening maps" 50 : 333-342, 2002

      39 Samson, S., "Recognition memory for text and melody of songs after unilateral temporal lobe lesion: Evidence for dual encoding" 17 : 793-804, 1991

      40 Fuchs, L. S., "Principles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mathematics difficulties" 16 (16): 85-92, 2001

      41 Gromko, J. E, "Predictors of music sight-reading ability in high school wind players" 52 (52): 6-15, 2004

      42 고수미, "Piaget와 Vygotsky의 유아놀이론에 관한 비교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3 Claussen, D. W., "Music as a mnemonic device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5 : 55-66, 1997

      44 Wallace, W. T., "Memory for music: Effect of melody on recall of text" 20 (20): 1471-1485, 1994

      45 Schilling, W. A., "Mathematics, music, and movement: Exploring concepts and connections" 29 (29): 179-184, 2002

      46 Hetland, L., "Learning to make music enhances spatial reasoning" 34 (34): 179-238, 2000

      47 전병운, "Kongju Early Developmental Assessment System"

      48 Rogers, G. L., "Interdisciplinary lessons in musical acoustics : The science math-music connection" 91 (91): 25-32, 2004

      49 Weerts, R.,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Schirmer Books 1992

      50 Leman, M., "Embodied music cognition and music mediation technology" MIT Press 2008

      51 Husain, G., "Effects of musical tempo and mode on arousal, mood, and spatial abilities" 20 (20): 151-171, 2002

      52 Hilliard, O. M., "Effect of familiarity with background music on performance of simple and difficult reading comprehension task" 49 : 713-714, 1979

      53 Geist, K., "Do Re Mi, 1-2-3 : That' show easy math can be-using music to support emergent mathematics" 63 (63): 20-25, 2008

      54 김신옥, "Case의 인지발달이론과 Fischer의 기술이론 비교" 4 : 47-68, 2001

      55 Richman, J. S., "Background music for repetitive task performance of severely retarded individuals" 81 : 251-255, 1976

      56 Stevens, J.,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3-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9 0.71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