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동별곡>에 대한 정치적 독법 = The Political Reading of < Gwandongbyeolgok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340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관동별곡>에 대한 주류적 해석들은 해당 작품을 공간적으로 한 후 산에서 바다로 이동함에 따라 작자의 (무)의식 또한 대립적인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음에 주목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

      <관동별곡>에 대한 주류적 해석들은 해당 작품을 공간적으로 한 후 산에서 바다로 이동함에 따라 작자의 (무)의식 또한 대립적인 방향으로 변모하고 있음에 주목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정치적 독법’의 틀 안에서 바라볼 경우 <관동별곡>은 이질적인 부분들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메시지를 던지기 위해) 동질적인 부분들이 인과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임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의 전반부에서는 시적 화자가 자신을 ‘謫臣’으로 인식하고 있는 저간의 흔적들을 발굴하고, 이것이 후반부의 ‘謫仙’과 내밀하게 연결되어 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이로써 전반부와 후반부는 (인간과 신선이라는 점에서) 존재는 다르되 (유배를 오게 되었다는 점에서) 처지는 동일한 것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더해, 약간의 한역본과 다수의 가집들에 전하는 ‘결말 B’의 존재를 들어 ‘적선’ 이라는 환상의 축조는 정치적 소외에서 기인한 열패감과 ‘서울로의 복귀’를 희망하는 시적 화자의 (무)의식이 소환해 낸 결과로 파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s of < Gwandongbyeolgok > first divided it into two parts based on space and focused on the shift of the writer's (un)consciousness in confronting directions from the mountain to the sea. This study criticized these ...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s of < Gwandongbyeolgok > first divided it into two parts based on space and focused on the shift of the writer's (un)consciousness in confronting directions from the mountain to the sea. This study criticized these interpretations and maintained that it was in a structure of the causal arrangement of homogeneous parts to deliver a single message within the framework of "political reading" rather than the parallel arrangement of heterogeneous parts.
      The investigator thus found the traces of the days when the poetic speaker regarded himself as the "exiled subject(謫臣)" in the former half of the work and estimated that it would be closely connected to the "exiled hsien(謫仙)" in the latter half of the work, thus demonstrating that there were different beings between the former and latter half of the work(one was a human being, and the other was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and that both of them were in the same circumstance(being in exile). Based on the presence of "Ending B" depicted in some of the classical Chinese versions and many anthologies of songs, it was found that the construction of fantasy called "exiled hsien" was the result of the poetic speaker's sense of defeat due to his political alienation and his (un)consciousness of hoping for "his return to the cour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소, "협률대성"

      2 장유승, "최고(最古)의 <관동별곡>: 택당 이식의 <번관동별곡가>" 문헌과 해석사 32 : 203-224, 2005

      3 김태환, "정철의 단가 “새원 원쥬ㅣ 되여”연작의 배경"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300-327, 2013

      4 서영채, "인문학 개념정원" 문학동네 2013

      5 이이, "율곡전서" 한국고전번역원 1988

      6 성해응, "연경재전집" 한국고전번역원 2001

      7 "악학편고"

      8 윤국일, "신편 경국대전" 신서원 1998

      9 정철, "송강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10 정철, "송강전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64

      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소, "협률대성"

      2 장유승, "최고(最古)의 <관동별곡>: 택당 이식의 <번관동별곡가>" 문헌과 해석사 32 : 203-224, 2005

      3 김태환, "정철의 단가 “새원 원쥬ㅣ 되여”연작의 배경"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300-327, 2013

      4 서영채, "인문학 개념정원" 문학동네 2013

      5 이이, "율곡전서" 한국고전번역원 1988

      6 성해응, "연경재전집" 한국고전번역원 2001

      7 "악학편고"

      8 윤국일, "신편 경국대전" 신서원 1998

      9 정철, "송강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10 정철, "송강전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64

      11 박연호, "송강문학의 형성 배경" 우리어문학회 (27) : 361-384, 2006

      12 김신중, "송강가사의 시공상 대비적 양상" 한국고시가문학회 2․3 : 65-83, 1995

      13 최상은, "송강가사에 있어서의 자연과 현실: <성산별곡>과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50 (50): 179-196, 1993

      14 조세형, "송강가사에 나타난 여성화자와 송강의 세계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 : 157-187, 2002

      15 김진희, "송강가사 교육과 연구의 동향 및 전망"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9) : 423-456, 2015

      16 정재호, "송강가사" 신구문화사 2005

      17 손찬식, "송강 정철 시세계: 연군적 정서의 형상" 민족어문학회 34 : 309-340, 1995

      18 허균, "성소부부고"

      19 신흠, "상촌고" 한국고전번역원 1988

      20 테리 이글턴, "문학이론입문" 인간사랑 2001

      21 서명서, "만옹집" 한국고전번역원 2009

      22 정온, "동계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23 임성수, "다산 정약용의 監司論" 민족문화연구원 (68) : 265-303, 2015

      24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근화악부"

      25 강상순, "구운몽의 상상적 형식과 욕망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26 이석래, "고전어문학정수" 형설출판사 1979

      27 이주영, "고전시가에 나타난 에토스의 설득력과 오늘날의 글쓰기 - <관동별곡>에 구축된 에토스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26) : 259-284, 2015

      28 조희정, "고전 제재의 교과서 수용 시각 검토(1): <홍길동전>과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5 : 85-122, 2005

      29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30 신경숙, "고시조 문헌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31 "고금기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32 장유, "계곡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33 하윤섭, "강원도지역 원형과 인문학적 각성 2" 청운 39-59, 2015

      34 최립, "간이집" 한국고전번역원 1988

      35 김병국, "가면 혹은 진실: 송강가사 관동별곡 평설"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8 : 43-63, 1972

      36 구사회, "靑湖 李揚烈의 <關東別曲飜辭>에 대한 문예적 검토" 한국문학연구소 (28) : 261-296, 2005

      37 강전섭, "關東別曲의 原典 摸索"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42 : 49-95, 1984

      38 임주탁, "謫降 모티프를 통해 본 <關東別曲>의 주제" 한국문학회 (62) : 5-32, 2012

      39 이봉린, "松江詩歌의 道仙性考: 李白의 受容面에서" 한국어문학회 51 : 141-150, 1990

      40 이병기, "松江歌辭의 硏究(其三元)" 진단학회 7 : 45-98, 1937

      41 조규익, "松江歌辭 硏究ㆍ1: <關東別曲>論" 숭실어문학회 16 : 203-225, 2000

      42 권혁명, "松江 詩世界의 背景硏究 - 松江의 現實志向 詩를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25) : 31-62, 2006

      43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古今名作歌: 附關東別曲" 2004

      44 김만중, "『서포만필』 하" 문학동네 2010

      45 김사엽, "『김사엽전집』 7" 박이정 2004

      46 김미정, "『飜關東別曲歌』 再論" 한국어문학회 (120) : 205-244, 2013

      47 김연경, "<관동별곡>의 교과서 수록 양상과 문학교육 방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48 한창훈, "<관동별곡> 해석의 문학교육적 의미망" 한국문학교육학회 (16) : 57-80, 2005

      49 성호경, "<關東別曲>의 형상화와 鄭澈의 신선의식" 한국고전문학회 (37) : 71-106, 2010

      50 류수열, "<關東別曲>의 교재사적 맥락" 한국어교육학회 (120) : 435-464, 2006

      51 김창원, "<關東別曲>의 관찰사 여정과 심상지리" 한국시가학회 27 : 127-148, 2009

      52 조해숙, "<關東別曲> 한역의 추이와 그 시가사적 의미 ― 兪漢宰의 『山雷關尺牘』 소재 한역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한시학회 (16) : 99-134, 2008

      53 권혁명, "16세기 식영정 시단의 시세계 연구 : 임억령·양응정·김성원·정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54 정재호, "(註解) 樂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