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기 미술 유학을 통한 ‘동양화’의 추구 = 채색화단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375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line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idea of art education in the modern period, changes in the traditional painters were from not only inside but also from their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In the latter perspective, painters’ extern...

      In line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idea of art education in the modern period, changes in the traditional painters were from not only inside but also from their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In the latter perspective, painters’ external experiences changed from touring to a more specific purpose of studying abroad. Such a phenomenon became more noticeable around the hosting of Joseon Art Exhibition where the transition to the Oriental painting settled officially. As more painters went to Japan for study, painting styles were directly passed down through the student-instructor relationships, affecting a huge impact on Joseon traditional painting restructure.
      Around 1920, Joseon students entered some famous hwasuks (small-scale private painting school) including Dyenshindo whasuk. This article focused on Dyenshindo hwasuk and a main painter Yeongil Lee of the modern colored painters to look at his study in Japan and roles in the domestic colored painting. Based on Changwhan Kim’s research on Japanese paintings in Takinogawa in the countryside of Tokyo, this article traced his path from the training period, to return to Korea to work as the first Joseon newspaper illustrator.
      Other than hwasuks, art schools and art institutions were possible places to learn Japanese paintings. This study also noted main color painters including Hanbok Lee, a governmentsponsored student at the Tokyo Art School, Eunho Kim and Wuseok Choi for their study-abroad period, painting style experiments right after their overseas study, and diverse theme changes by using new materials.
      In addition, this article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case examples after the 1930s when the scope of art study abroad expanded in terms of the number of engaged students and regions. Including the art area, the entire academic areas had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going to Japan for study and schools and art institutions with lower admission thresholds opened up their doors, forming a favorable environment for study in Japan. In line with the trend in the Japanese local painters, some Joseon painters such as Geunbae Choi, studied Western paintings along with Japanese paintings and pursue multiple experiences in diverse organizations including hwasuks, art schools, etc. As second generational students studying in Japan appeared, Eunho Kim’s experience in Japan was applied to his students completing a certain period of study, leading to their study in Japan, in turn. Also, study destinations were expanded outside Tokyo or study period grew longer. One good example examined herein is Maljo Jeong who graduated from the Kyoto Municipal Painting School and settled in Kyoto.
      Especially This article,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e trend of the color painters, introduced the color-printed pictorial with some of the works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of which the original was lost and only black-and-white illustrations are passed dow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1920년대의 미술유학
      • Ⅲ. 1930년대 이후의 미술유학
      • Ⅳ.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1920년대의 미술유학
      • Ⅲ. 1930년대 이후의 미술유학
      • Ⅳ.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삼성미술관 Leeum 한국미술기록보존소, "한국미술기록보존소 자료집 1~6"

      2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한국미술사사전 1800~1945" 열화당 1998

      3 한정희, "한국근대미술에 미친 일본 圓山四條派(京都派)의 영향" 국립현대미술관 9 : 1998

      4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시공아트 2009

      5 이중희, "한국 근대미술교육의 전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20) : 1997

      6 박계리, "한국 근대 역사인물화" 미술사학연구회 (26) : 33-60, 2006

      7 한정희, "한,중 근대회화의 일본화풍 수용 비교론" 한국미술사연구소 (9) : 1997

      8 "조선일보"

      9 조선총독부, "조선미술전람회도록 1-19"

      10 "조선미술전람회기사자료집" 한국미술연구소 (8) : 1999

      1 삼성미술관 Leeum 한국미술기록보존소, "한국미술기록보존소 자료집 1~6"

      2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한국미술사사전 1800~1945" 열화당 1998

      3 한정희, "한국근대미술에 미친 일본 圓山四條派(京都派)의 영향" 국립현대미술관 9 : 1998

      4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시공아트 2009

      5 이중희, "한국 근대미술교육의 전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20) : 1997

      6 박계리, "한국 근대 역사인물화" 미술사학연구회 (26) : 33-60, 2006

      7 한정희, "한,중 근대회화의 일본화풍 수용 비교론" 한국미술사연구소 (9) : 1997

      8 "조선일보"

      9 조선총독부, "조선미술전람회도록 1-19"

      10 "조선미술전람회기사자료집" 한국미술연구소 (8) : 1999

      11 한국근현대미술기록연구회, "제국미술학교와 조선인 유학생들 (1929~1945)" 눈빛 2004

      12 조정육, "제국미술학교 교수 연구 : 일본화과의 鏑木淸方, 奧村土牛를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회 (4) : 2003

      13 이중희, "일본 근현대 미술사" 예경 2010

      14 홍선표, "이당 김은호-이당 김은호의 삶과 예술" 인천광역시립박물관 2003

      15 김은호, "서화백년" 중앙일보사 1977

      16 "매일신보"

      17 강민기, "동양화의 근대적 모색: 한국적 기법과 일본적 기법의 경계"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4 : 355-383, 2010

      18 "동아일보"

      19 김용철, "도쿄미술학교의 입학제도와 조선인 유학생" 동악미술사학회 6 : 2005

      20 김영나, "근대한국미술논총" 학고재 1992

      21 강민기, "근대전환기 한국화단에의 日本畵 유입-189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한국미술사학회 (253) : 215-251, 2007

      22 강민기, "근대의 화조화가 이한복(李漢福, 1897~1944)" 미술사연구회 26 (26): 215-236, 2012

      23 "경성일보"

      24 吉田千鶴子, "近代東アジア美術留學生の硏究:東京美術學校留學生史料" ゆまに 書房 2009

      25 金子一夫, "近代日本의 美術敎育과 國民美術의 形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21 : 1998

      26 金子一夫, "近代日本美術敎育の硏究, 明治, 大正時代" 中央公論美術出版 1999

      27 金子一夫, "近代 日本의 美術敎育" 한국미술연구소 6 : 1998

      28 中川紀元, "美術家を志す人のために" 現人社 1933

      29 松尾芳樹, "畵學校から京都藝大へ : 日本畵敎育と京都畵壇" 三彩社 516 : 1990

      30 김영애, "無號 李漢福(1897∼1944)의 繪畵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31 磯崎康彦, "東京美術學校の歷史" 日本文敎出版株式會社 1977

      32 吉田千鶴子, "明治晩期の日本畵修業-矢澤弦月日記より(特集[畵塾]と[美術學校])" 明治美術學會 2004

      33 吉田千鶴子, "日本畵 : 東京美術學校卒業制作" 京都書院 1983

      34 日展史編纂委員會, "日展史 1~35"

      35 江川佳秀, "川端畵學校沿革" 明治美術史學 13 : 2004

      36 淺野智子, "川端畵學校について-畵塾から畵學校へ" 筑波大學大學院博士課程藝術學硏究科·人間總合科學硏究科 (8) : 2004

      37 淺野智子, "川端畵學校-畵塾から畵學校へ" 明治美術學會 2004

      38 畵報社, "傳神洞展覽會畵集 第1·2回"

      39 황정현, "「조선미술전람회」의 화조화 연구 : '조선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0 강민기, "1930~1940년대 한국 동양화가의 일본화풍 일본화풍의 전개와 수용" 한국미술연구소 (29) : 223-248,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근대미술사학회 ->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Modern Art Studies -> Association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KCI등재
      2008-01-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근대미술사학 ->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Art History ->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Art History KCI등재후보
      2005-05-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근대미술사학 제11집 -> 한국근대미술사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1.02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