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졸자의 중소기업 취업이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 The Long-term Effect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xperiences in 4-Year College Gradu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7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work experienc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on labor market outcomes represented by wage levels and job change pattern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scarring effect is the reasons why college graduates evade jobs in the SM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labor markets in 1982, 1992 and 2002 based on a long-term multi-cohort survey conducted by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ork experience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ad scarring effect in all three cohorts. Also, we found that graduates who kept major-job matching closely show positive labor market performances; on the contrary, entailed frequent movement amplifies the effects. In conclusion, the earlier SME careers result in lower outcomes and frequent job separation. In this respect, it may well be argued that the effect has been a long standing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labor market.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work experienc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on labor market outcomes represented by wage levels and job change pattern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scar...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work experience of four-year college graduates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on labor market outcomes represented by wage levels and job change pattern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scarring effect is the reasons why college graduates evade jobs in the SM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labor markets in 1982, 1992 and 2002 based on a long-term multi-cohort survey conducted by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ork experience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ad scarring effect in all three cohorts. Also, we found that graduates who kept major-job matching closely show positive labor market performances; on the contrary, entailed frequent movement amplifies the effects. In conclusion, the earlier SME careers result in lower outcomes and frequent job separation. In this respect, it may well be argued that the effect has been a long standing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labor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대졸자의 중소기업 경력이 임금수준과 직장이동으로 대표되는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대졸자의 중소기업 기피 원인으로 열악한 근무환경 및 낮은 임금수준 등과 아울러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각인효과에 의한 것임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노동시장 생애경로 조사」의 1982- 1992-2002년의 대졸 코호트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접근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든 대졸 코호트에서 중소기업 경력에 따른 각인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공과 직업의 매칭 관점에서 이를 유지한 경우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높지만 이직횟수가 많을수록 임금에 대한 부(-)의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졸업 후 첫 직장에서의 중소기업 경력은 이후에 낮은 노동시장 성과나 잦은 이직과 연계되어 있었다. 이 같은 결과들이 세 졸업 코호트에서 걸쳐 유사하게 확인된다는 점에서 중소기업 취업효과는 장기간에 걸쳐 누적되어 온 우리 노동시장의 특징이 아닌가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대졸자의 중소기업 경력이 임금수준과 직장이동으로 대표되는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대졸자의 중소기업 기피 원인으로 열악한 근무환경 및 낮은 ...

      본 논문은 대졸자의 중소기업 경력이 임금수준과 직장이동으로 대표되는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대졸자의 중소기업 기피 원인으로 열악한 근무환경 및 낮은 임금수준 등과 아울러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각인효과에 의한 것임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노동시장 생애경로 조사」의 1982- 1992-2002년의 대졸 코호트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접근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모든 대졸 코호트에서 중소기업 경력에 따른 각인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공과 직업의 매칭 관점에서 이를 유지한 경우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높지만 이직횟수가 많을수록 임금에 대한 부(-)의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졸업 후 첫 직장에서의 중소기업 경력은 이후에 낮은 노동시장 성과나 잦은 이직과 연계되어 있었다. 이 같은 결과들이 세 졸업 코호트에서 걸쳐 유사하게 확인된다는 점에서 중소기업 취업효과는 장기간에 걸쳐 누적되어 온 우리 노동시장의 특징이 아닌가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금재호, "한국 노동시장의 환경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2

      2 류기철, "취업형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24 (24): 207-230, 2001

      3 정인수, "청년층의 실업실태 파악 및 대상별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4 전용석, "청년층의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성과:초기 노동시장 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233-245, 2003

      5 이병희,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3

      6 이상우, "청년실업의 증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95) : 2003

      7 이병희, "청년실업과 경력형성" 11 (11): 153-176, 2001

      8 남궁인철,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의 성과와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0

      9 김혜원, "직장이동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8

      10 송호근, "중소기업 인력부족실태 및 대응방안" 노동부 2001

      1 금재호, "한국 노동시장의 환경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2

      2 류기철, "취업형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24 (24): 207-230, 2001

      3 정인수, "청년층의 실업실태 파악 및 대상별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4 전용석, "청년층의 노동이동과 노동시장 성과:초기 노동시장 경험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233-245, 2003

      5 이병희,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3

      6 이상우, "청년실업의 증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395) : 2003

      7 이병희, "청년실업과 경력형성" 11 (11): 153-176, 2001

      8 남궁인철, "청년 일자리 지원사업의 성과와 개선과제" 국회예산정책처 2010

      9 김혜원, "직장이동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8

      10 송호근, "중소기업 인력부족실태 및 대응방안" 노동부 2001

      11 장지연, "중․고령자의 근로생애 유형:사건계열 분석기법을 이용한 취업력 분석" 42 : 76-86, 2008

      12 장석인, "주요 산업별 대중소기업 성과 및 거래구조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0

      13 박재민, "전공-직업 일치의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13): 1-20, 2010

      14 강철희, "재취업자의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재취업 고용형태와 임금수준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83-116, 2004

      15 김주섭, "일자리 지원사업 효율화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7

      16 김안국, "이공계 대졸 청년층의 직장이동과 전공직종일치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29 (29): 153-184, 2006

      17 채창균,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9): 81-103, 2006

      18 장혜현, "기업규모별 고용 균열과 비정규직 문제:한국 노동시장 분절의 특징 및 비정규 노동자 복지에의 함의" 한국사회정책학회 2010

      19 전재식,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20 최영기, "고용부진의 원인과 대책" 경기개발연구원 (34) : 2010

      21 유현숙, "고등교육기관의 졸업자의 취업실태" 한국교육개발원 2005

      22 Rosenbaum, P.,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 41-55, 1983

      23 Heckman, J. J,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47 (47): 153-161, 1979

      24 Rosenbaum, P., "Propensity Score-matching Methods for Non- experimental Causal Studies" 84 (84): 151-161, 2002

      25 Dehejia, R.H,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for Nonexperimental Causal Studies" NBER 1998

      26 Light, A, "Job Change Patterns and the Wages of Young Men" 80 (80): 276-286, 1998

      27 Doeringer, P, "Internal Labor Market and Manpower Analysis" Heath Lexington Books 1971

      28 Becker, S.O, "Estimation of Average Treatment Effects Based on Propensity Scores" 2 : 358-377, 2002

      29 McFadden, D. L, "Econometric Analysis of Qualitative Response Models, in Handbook of Econometrics" 1395-1457, 1984

      30 Dehejia, R.H, "Causal Effects in Nonexperimental Studies: Reevaluating the Evaluation of Training Programs" 94 (94): 1053-1062,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3 1.94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