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조반정 이후 경상우도 남명학파의 결집 양상 - 鄭蘊·朴絪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Gathering of the Namyeong School in Gyeongsang-uhdo after King Injo’s Restoration -Focusing on Jeong On(鄭蘊) and Park In(朴絪)-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7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Chosun era, the Namyeong School hold the perspective of the Bukin(北人) as a political party based on the academic relations. However, ‘deposing mother and killing younger brother’(廢母殺弟) by the Daebuk(大北) during King Gwanghaegun’s reign lost the justification of the party’s power and then, Hoetoe Byeoncheok(晦退辨斥) by Jeong In-hong caused the extreme result of the King Injo’s restoration(仁祖反正). Jeong In-hong was executed as a principal traitor just after the restoration, and the literary men who followed him were seriously ostracized.
      The remaining members of the Namyeong School had to seek their own survival, because of the inseparable 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and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in Habcheon region, Jeong On who appealed to the king with Gabinbongsaso(甲寅封事疏) in the King Gwanghaegun’s reign, and Park In who had agreed with him became the center figures of the party’s re-gathering. Jeong On was the center of the Namyeong School after the restoration, and his literary men were usually related to Jungbuk group. Park In became a core figure of the Namyeong School as he published 󰡔Sanhaesauyeunwonrok(山海師友淵源錄)󰡕 according to Cho Cha-ma’s request after the restoration. He made the Sugu group(修舊契) for enhancing the gathering among the literati class in southern Habcheon region, and engaged teaching in Yongyeonjae for raising literary men. His literary men usually belonged to the Jungbuk group including the descendants of Namyeong. It means the Jungbuk group made their gathering through Jeong On and Park In in the Namyeong School since the restoration. However, as Park In died in 1640(the 18th year of King Injo) and Jeong On also deceased in the following year, the Jungbuk group became weakened, and the Confucian scholars in Uhdo including their descendants had to seek changes in the academic and political perspectives.
      번역하기

      In the late Chosun era, the Namyeong School hold the perspective of the Bukin(北人) as a political party based on the academic relations. However, ‘deposing mother and killing younger brother’(廢母殺弟) by the Daebuk(大北) during King Gwan...

      In the late Chosun era, the Namyeong School hold the perspective of the Bukin(北人) as a political party based on the academic relations. However, ‘deposing mother and killing younger brother’(廢母殺弟) by the Daebuk(大北) during King Gwanghaegun’s reign lost the justification of the party’s power and then, Hoetoe Byeoncheok(晦退辨斥) by Jeong In-hong caused the extreme result of the King Injo’s restoration(仁祖反正). Jeong In-hong was executed as a principal traitor just after the restoration, and the literary men who followed him were seriously ostracized.
      The remaining members of the Namyeong School had to seek their own survival, because of the inseparable 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and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in Habcheon region, Jeong On who appealed to the king with Gabinbongsaso(甲寅封事疏) in the King Gwanghaegun’s reign, and Park In who had agreed with him became the center figures of the party’s re-gathering. Jeong On was the center of the Namyeong School after the restoration, and his literary men were usually related to Jungbuk group. Park In became a core figure of the Namyeong School as he published 󰡔Sanhaesauyeunwonrok(山海師友淵源錄)󰡕 according to Cho Cha-ma’s request after the restoration. He made the Sugu group(修舊契) for enhancing the gathering among the literati class in southern Habcheon region, and engaged teaching in Yongyeonjae for raising literary men. His literary men usually belonged to the Jungbuk group including the descendants of Namyeong. It means the Jungbuk group made their gathering through Jeong On and Park In in the Namyeong School since the restoration. However, as Park In died in 1640(the 18th year of King Injo) and Jeong On also deceased in the following year, the Jungbuk group became weakened, and the Confucian scholars in Uhdo including their descendants had to seek changes in the academic and political perspec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 경상우도 남명학파는 학문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정파상 북인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광해군 대 대북이 일으킨 폐모살제(廢母殺弟)는 유교 성리학 사회에서 집권명분을 잃었고 나아가 정인홍의 회퇴변척까지 더해지며 인조반정이라는 극단적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정인홍은 역당의 주범으로 반정 직후 처형당했고 향촌 내 정인홍을 따랐던 문인들은 심각한 배척을 받았다.
      학파·정파의 불가분 관계로 인해 잔존한 남명학파는 생존을 모색해야만 했다. 특히 합천권은 광해군 대 「갑인봉사소」를 올리며 대북에 반대했던 정온과 그의 의견에 동조했던 박인을 중심으로 재결집해 갔다. 정온은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의 중심에 있었고, 그 문인들은 대체로 중북계와 연관된 이들이 많았다. 박인 역시 반정 이후 조차마의 부탁으로 󰡔산해사우연원록(山海師友淵源錄)󰡕과 「남명 연보」를 편찬하는 등 남명학파의 핵심인물로 부상했다. 그는 수구계(修舊契)를 결성하여 합천 남부권 사족들의 결속을 강화시키고, 용연재에서 강학활동을 전개하며 문인을 양성했다. 박인의 문인들도 남명 후손을 비롯하여 대체로 중북계열에서 많이 확인된다. 이는 반정 이후 정온·박인을 통해 중북계가 결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1640년(인조 18) 박인이, 이듬해 정온까지 사망하면서 합천권 일대 남명학파의 구심력은 약화되어 갔고, 이들의 후손을 비롯한 우도 유림들은 학문·당색적으로 변화를 도모할 수밖에 없었다.
      번역하기

      조선후기 경상우도 남명학파는 학문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정파상 북인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광해군 대 대북이 일으킨 폐모살제(廢母殺弟)는 유교 성리학 사회에서 집권명분을 잃었...

      조선후기 경상우도 남명학파는 학문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정파상 북인의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광해군 대 대북이 일으킨 폐모살제(廢母殺弟)는 유교 성리학 사회에서 집권명분을 잃었고 나아가 정인홍의 회퇴변척까지 더해지며 인조반정이라는 극단적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정인홍은 역당의 주범으로 반정 직후 처형당했고 향촌 내 정인홍을 따랐던 문인들은 심각한 배척을 받았다.
      학파·정파의 불가분 관계로 인해 잔존한 남명학파는 생존을 모색해야만 했다. 특히 합천권은 광해군 대 「갑인봉사소」를 올리며 대북에 반대했던 정온과 그의 의견에 동조했던 박인을 중심으로 재결집해 갔다. 정온은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의 중심에 있었고, 그 문인들은 대체로 중북계와 연관된 이들이 많았다. 박인 역시 반정 이후 조차마의 부탁으로 󰡔산해사우연원록(山海師友淵源錄)󰡕과 「남명 연보」를 편찬하는 등 남명학파의 핵심인물로 부상했다. 그는 수구계(修舊契)를 결성하여 합천 남부권 사족들의 결속을 강화시키고, 용연재에서 강학활동을 전개하며 문인을 양성했다. 박인의 문인들도 남명 후손을 비롯하여 대체로 중북계열에서 많이 확인된다. 이는 반정 이후 정온·박인을 통해 중북계가 결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1640년(인조 18) 박인이, 이듬해 정온까지 사망하면서 합천권 일대 남명학파의 구심력은 약화되어 갔고, 이들의 후손을 비롯한 우도 유림들은 학문·당색적으로 변화를 도모할 수밖에 없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진성,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ㆍ新山書院과 비교하여-" 경남문화연구원 (39) : 73-108, 2013

      2 정수환, "진양하씨 초간보(1608)를 통해 본 17세기 족보편찬의 유형 검토" 한국계보연구회 3 : 2012

      3 "인조실록"

      4 구진성, "인조반정 직후의 南冥學派 동향 : 남명 선양 사업에 드러난 논의를 중심으로" 연민학회 19 : 2013

      5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6 정우락, "성주지역 道學의 착근과 江岸學派의 성장" 영남문화연구원 (21) : 45-78, 2012

      7 이상필,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와우출판사 2003

      8 구진성, "남명학파의 역사적 전개상에서 용산범국회의 의미" 영남문화연구원 (75) : 89-113, 2020

      9 오이환, "남명학파연구, 상" 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0

      10 "광해군일기"

      1 구진성,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ㆍ新山書院과 비교하여-" 경남문화연구원 (39) : 73-108, 2013

      2 정수환, "진양하씨 초간보(1608)를 통해 본 17세기 족보편찬의 유형 검토" 한국계보연구회 3 : 2012

      3 "인조실록"

      4 구진성, "인조반정 직후의 南冥學派 동향 : 남명 선양 사업에 드러난 논의를 중심으로" 연민학회 19 : 2013

      5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6 정우락, "성주지역 道學의 착근과 江岸學派의 성장" 영남문화연구원 (21) : 45-78, 2012

      7 이상필,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와우출판사 2003

      8 구진성, "남명학파의 역사적 전개상에서 용산범국회의 의미" 영남문화연구원 (75) : 89-113, 2020

      9 오이환, "남명학파연구, 상" 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0

      10 "광해군일기"

      11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서집성 31-陜川鄕校"

      12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서집성 29-龍淵書院篇(I)"

      13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서집성 24-灆溪書院篇-"

      14 이광우, "경상도 삼가현 옥계정계의 재구성" 경상대학교경남문화연구원 52 : 2016

      15 鄭仁濬, "龜潭實記"

      16 李大期, "雪壑集"

      17 李屹, "蘆坡集"

      18 金在埴, "聞韶世錄"

      19 "義城金氏大同譜"

      20 許穆, "眉叟記言"

      21 鄭時修, "琴川集"

      22 趙任道, "澗松集"

      23 許燉, "滄洲先生文集"

      24 成汝信, "浮査集"

      25 鄭蘊, "桐溪集"

      26 林眞怤, "林谷先生文集"

      27 김학수, "林谷 林眞怤의 현실인식과 17세기 영남학계에서의 위상 -南冥·退溪學을 접목한 17세기 영남학계의 새로운 모색-" 경남문화연구원 (54) : 205-256, 2017

      28 閔在南, "晦亭集"

      29 朴絪, "无悶堂集"

      30 曺兢燮, "巖棲集"

      31 "嶺誌要選"

      32 文景虎, "嶧陽集"

      33 "安東權氏大同世譜"

      34 宋挺濂, "存養齋集"

      35 "南平文氏大同譜"

      36 崔益鉉, "勉菴集"

      37 "利川徐氏恭度公派世譜"

      38 "全州柳氏世譜"

      39 "光山金氏平章大譜"

      40 郭元甲, "倡義錄"

      41 성주이씨 동곡파종회, "三梧實紀·附梅軒實紀" 동양인쇄사 1997

      42 "三嘉郡誌"

      43 池柾香, "17世紀初 南冥學派의 處士的 性向과 敎育活動 : 无悶堂 朴絪을 中心으로"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8

      44 구진성, "17世紀 南冥學派 動向 硏究"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45 심희곤, "17~18세기 합천지역 사족의 향교 입록과 분화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46 박소희, "16~18세기 함양 정여창 가와 남계서원의 노론화 과정" 한국서원학회 (9) : 31-62,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