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험론과 합리론의 대립을 넘어서: 경험적 자세의 철학사적 의의 = Beyond the Opposition of Empiricism and Rationalism: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Empirical S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832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 철학사를 서술할 때, 철학자들을 경험론자와 합리론자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이 구분은 19세기의 철학사 해석에서 비롯한 것이다. 본 논문은 경험론-합리론 이분법 형성의 역사와 그 한계를 검토한 뒤에, 반 프라센의 ‘경험적 자세’ 개념을 경험론 역사 이해의 대안 모델로 제시한다. 우리는 경험론을 고정된 교의가 아니라 철학적 자세로 간주하여야 한다. 새롭게 해석된 경험론을 통해 근대 철학사에 관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할 수 있다. 논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경험론-합리론 이분법 구도의 역사적 형성과 이분법에 대한 비판, 2) 경험적 자세 개념과 이 개념의 철학사 서술에서의 함의, 3) 철학사에 자세 개념을 적용하는 데 따르는 잠재적 문제들, 4) 전통적 구도를 넘어선 새로운 철학사 서술 방향에 관한 제안.
      번역하기

      근대 철학사를 서술할 때, 철학자들을 경험론자와 합리론자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이 구분은 19세기의 철학사 해석에서 비롯한 것이다. 본 논문은 경험론-합리론 이분법 형성...

      근대 철학사를 서술할 때, 철학자들을 경험론자와 합리론자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이 구분은 19세기의 철학사 해석에서 비롯한 것이다. 본 논문은 경험론-합리론 이분법 형성의 역사와 그 한계를 검토한 뒤에, 반 프라센의 ‘경험적 자세’ 개념을 경험론 역사 이해의 대안 모델로 제시한다. 우리는 경험론을 고정된 교의가 아니라 철학적 자세로 간주하여야 한다. 새롭게 해석된 경험론을 통해 근대 철학사에 관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할 수 있다. 논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경험론-합리론 이분법 구도의 역사적 형성과 이분법에 대한 비판, 2) 경험적 자세 개념과 이 개념의 철학사 서술에서의 함의, 3) 철학사에 자세 개념을 적용하는 데 따르는 잠재적 문제들, 4) 전통적 구도를 넘어선 새로운 철학사 서술 방향에 관한 제안.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historical narrative of modern philosophy, a prevalent classification categorizes philosophers as empiricists and rationalists. This categorization emerged from 19th-century interpretations of philosophical history.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mpiricism-rationalism dichotomy, examining its limitations and proposing Bas van Fraassen’s concept of the “empirical stance” as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empiricism. Empiricism should not be perceived as an unchanging doctrine but rather as a philosophical stance. Through this reinterpretation, novel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modern philosophy can be gained. The discussion is structured as follows: (1)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empiricism- rationalism dichotomy and critiques of this framework, (2) The concept of the empirical stance and its implications for historiography, (3) Potential challenges in applying the stance concept to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4) Proposals for alternative approaches to historiography that transcend the traditional dichotomy.
      번역하기

      In the historical narrative of modern philosophy, a prevalent classification categorizes philosophers as empiricists and rationalists. This categorization emerged from 19th-century interpretations of philosophical history. This paper explores the hist...

      In the historical narrative of modern philosophy, a prevalent classification categorizes philosophers as empiricists and rationalists. This categorization emerged from 19th-century interpretations of philosophical history.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mpiricism-rationalism dichotomy, examining its limitations and proposing Bas van Fraassen’s concept of the “empirical stance” as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empiricism. Empiricism should not be perceived as an unchanging doctrine but rather as a philosophical stance. Through this reinterpretation, novel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modern philosophy can be gained. The discussion is structured as follows: (1)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empiricism- rationalism dichotomy and critiques of this framework, (2) The concept of the empirical stance and its implications for historiography, (3) Potential challenges in applying the stance concept to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4) Proposals for alternative approaches to historiography that transcend the traditional dichotom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