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Leve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22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enterprise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es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have an effect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do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and learning organization have a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do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ve a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662) was drawn from a training institution of enterpris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18.0) and SPSS(18.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rom SEM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and learning organization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servant leadership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learning organization. Third,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ing organization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lso,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dings from SEM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of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articular,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had influential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enterprises. The research question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enterprise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es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have an effect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do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and learning organization have a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do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ve a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sample(n=662) was drawn from a training institution of enterpris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18.0) and SPSS(18.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rom SEM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and learning organization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servant leadership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learning organization. Third,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ing organization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lso,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indings from SEM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of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articular,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 had influential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유효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기업 내 중간관리자들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습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기업 내 중간관리자들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습조직,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기업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에 참가한 사람 662명이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에 직접적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과 학습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을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고, 학습조직은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효과가 있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과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정적 상관이 입증되었다. 즉,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중요한 선행변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 유효성에 영향력 있는 변인임이 입증되었으며, 학습조직 수준과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중요한 매개변인임이 증명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유효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유효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기업 내 중간관리자들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습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기업 내 중간관리자들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습조직,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기업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에 참가한 사람 662명이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에 직접적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과 학습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을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고, 학습조직은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효과가 있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과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정적 상관이 입증되었다. 즉,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중요한 선행변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 유효성에 영향력 있는 변인임이 입증되었으며, 학습조직 수준과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중요한 매개변인임이 증명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ⅶ
      • 영문초록 ⅸ
      • 목 차
      • 국문초록 ⅶ
      • 영문초록 ⅸ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5
      • 1.3 용어의 정의 6
      • 1.4 연구 범위 7
      • 1.5 연구의 의의 8
      • 제 2 장 문헌고찰 7
      • 2.1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9
      • 2.1.1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9
      • 2.1.2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 11
      • 2.1.3 윤리적 리더십으로서의 서번트 리더십 13
      • 2.1.4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차원 15
      • 2.2 학습조직의 개념 및 관점 19
      • 2.2.1 학습조직의 개념과 정의 19
      • 2.2.2 학습조직 구축의 관점 23
      • 2.3. 조직시민행동의 개념과 하위요소 35
      • 2.3.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35
      • 2.3.2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요소 37
      • 2.4 조직유효성의 개념, 측정기준, 구성요소 41
      • 2.4.1 조직유효성의 개념 41
      • 2.4.2 조직유효성 측정기준 43
      • 2.4.2 조직유효성 구성요소 45
      • 2.5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조직시민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48
      • 2.5.1 서번트 리더십과 학습조직 48
      • 2.5.2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50
      • 2.5.3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52
      • 2.5.4 학습조직과 조직시민행동 53
      • 2.5.5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유효성 54
      • 2.5.6 학습조직과 조직유효성 55
      • 2.6 연구모델 설계 57
      • 제 3 장 연구 방법 58
      • 3.1 연구 대상 58
      • 3.2 측정 도구 58
      • 3.2.1 서번트 리더십 측정도구 59
      • 3.2.2 학습조직 수준 측정도구 60
      • 3.2.3 조직시민행동 측정도구 61
      • 3.2.4 조직유효성 측정도구 62
      • 3.2.5 설문지 구성 62
      • 3.3 자료수집 64
      • 3.2.1 예비조사 64
      • 3.2.2 본 조사 65
      • 3.3 자료 분석 67
      • 제 4 장 연구 결과 및 논의 69
      • 4.1 측정변인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행렬 69
      • 4.2 측정모델의 설정 및 분석 71
      • 4.2.1 측정모델의 설정 72
      • 4.2.2 측정모델의 모수치 추정결과 73
      • 4.2.3 연구모델의 분석 77
      • 4.3 연구모델의 부합도 평가 77
      • 4.3.1 연구모델의 모수치 추정 77
      • 4.3.2 잠재변인간 직·간접 효과분석 79
      • 4.4 논의 84
      • 4.4.1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 조직유효성의
      • 구조적 관계 85
      • 4.4.2 연구모델의 간접효과 분석 93
      • 제 5 장 요약, 결론 및 제언 95
      • 5.1 요약 95
      • 5.2 결론 97
      • 5.3 제언 101
      • 참고문헌 103
      • 부 록 1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