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한국인의 국가공동체 의식 = A Study on Nat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4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ivic value consciousness of the current Korean people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by investigating major elements like Korean nationality, national prid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did find out some significant results: First, to be qualified as Korean means to obtain Korean nationality. Second, it is reported that the levels of national pride have been slightly above the middle. Third, there has been a rather negative view on a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present government's policy to North Korea. To be unifie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maturity of conditions to make unification between both Korea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ivic value consciousness of the current Korean people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by investigating major elements like Korean nationality, national pride, and unification in th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ivic value consciousness of the current Korean people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nat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by investigating major elements like Korean nationality, national prid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did find out some significant results: First, to be qualified as Korean means to obtain Korean nationality. Second, it is reported that the levels of national pride have been slightly above the middle. Third, there has been a rather negative view on a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present government's policy to North Korea. To be unifie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maturity of conditions to make unification between both Ko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시민의식의 실태를 국가 공동체와 관련해서 조사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인이 갖고 있는 한국인으로서의 자격, 국가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통일에 관한 의식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가 공동체 수준에서의 현대 한국인의 시민의식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몇 가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첫째, 한국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격으로는 ‘한국 국적을 갖는 것’(19.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10개 분야에 대한 한국의 자부심에 대해 모든 분야에서 중간보다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자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남북한 관계 및 현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중간보다 다소 낮은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었으며, 통일에 대해서는 성숙한 여건 마련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시민의식의 실태를 국가 공동체와 관련해서 조사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인이 갖고 있는 한국인으로서의 자격, 국가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통일에 관한 의식에 관...

      본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시민의식의 실태를 국가 공동체와 관련해서 조사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인이 갖고 있는 한국인으로서의 자격, 국가에 대한 자부심, 그리고 통일에 관한 의식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가 공동체 수준에서의 현대 한국인의 시민의식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몇 가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첫째, 한국의 구성원이 되기 위한 자격으로는 ‘한국 국적을 갖는 것’(19.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10개 분야에 대한 한국의 자부심에 대해 모든 분야에서 중간보다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자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남북한 관계 및 현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중간보다 다소 낮은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었으며, 통일에 대해서는 성숙한 여건 마련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균관대 서베이리서치센터,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0" 2010

      2 성균관대 서베이리서치센터,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03" 2003

      3 "한국인의 통일의식 장기변화" 통일한국 48-51, 2011

      4 류수영,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측정문항개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171-205, 2007

      5 이진용, "한국의 국가정체성 구성차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설문대상자 소속 국가의 경제발전 수준 및 지리적 거리에 따른 비교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433-467, 2011

      6 서운석, "한국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에 대한 특성 분석" 7 (7): 29-63, 2008

      7 김익기, "중국 조선족 청소년의 한민족일원 자부심정도에 관한 연구" 역사문화연구소 (29) : 47-82, 2008

      8 김숙자, "전통적 가치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모색"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19-34, 2012

      9 심성보, "애국심과 민주주의가 결합된 민주시민교육- 애국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4) : 253-290, 2010

      10 김병조, "세계화시대의 국민정체성 비교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31-53, 2002

      1 성균관대 서베이리서치센터,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10" 2010

      2 성균관대 서베이리서치센터,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2003" 2003

      3 "한국인의 통일의식 장기변화" 통일한국 48-51, 2011

      4 류수영,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측정문항개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5 (15): 171-205, 2007

      5 이진용, "한국의 국가정체성 구성차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설문대상자 소속 국가의 경제발전 수준 및 지리적 거리에 따른 비교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433-467, 2011

      6 서운석, "한국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에 대한 특성 분석" 7 (7): 29-63, 2008

      7 김익기, "중국 조선족 청소년의 한민족일원 자부심정도에 관한 연구" 역사문화연구소 (29) : 47-82, 2008

      8 김숙자, "전통적 가치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모색"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19-34, 2012

      9 심성보, "애국심과 민주주의가 결합된 민주시민교육- 애국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4) : 253-290, 2010

      10 김병조, "세계화시대의 국민정체성 비교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31-53, 2002

      11 온만금, "세계화 속에서 한국과 일본의 국가 정체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9 (9): 129-151, 2008

      12 김명섭, "세계시민주의 대 애국주의: 동북아시아에서의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18 (18): 129-148, 2008

      13 김선희, "상업적 관계에서 정(情)의 개념정립과 척도개발" 한국마케팅학회 24 (24): 119-148, 2009

      14 김석준, "글로벌라이제이션 시대 한국 국가변동과 개혁정책의 정치경제: 국가, 시장, 결사체, 및 공동체 의식에 대한 국민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5 : 43-68, 2000

      15 서운석, "국민자부심에 대한 한․중․일 비교 연구" 2 (2): 165-187, 2009

      16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AOF 연구소개"

      17 박형호, "‘한국적 경영’ 패러다임의 정립에 관한 연구: 비교경영론적 접근" 한국무역학회 25 (25): 245-278, 2000

      18 Smit, Tom W., "National Pride: A Cross-national Analysis" National Opinion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1-46, 1998

      19 Evans, M. D. R., "National Pride in the Developed World: Survey Data from 24 Nations" 14 (14): 303-338, 2002

      20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년 통일의식조사 결과 보도자료"

      21 선진통일교육센터, "2008년 통일의식 설문조사"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2-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KCI등재
      2014-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 Journal of Ethic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12-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민윤리학회 -> 한국윤리학회 KCI등재
      2006-1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민윤리연구 -> 윤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57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