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해사역을 위한 화해의 영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1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교회의 화해사역의 시대적 필요성과 화해사역의 토대인 화해의 영성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화해의 영성을 고양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오늘의 시대는 개인적 ...

      본 논문은 교회의 화해사역의 시대적 필요성과 화해사역의 토대인 화해의 영성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화해의 영성을 고양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오늘의 시대는 개인적 차원으로부터, 소그룹. 공동체.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다양한 갈등과 분열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 받고 있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하나님의 본질적 속성 중의 하나인 관계성에 대한 갈망이 있는데 이는 관계의 회복, 즉 화해에 대한 갈망이라고 할 수 있다. 교회는 이런 시대적 요청에 응답해야 하는데,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죄로 인해 단절된 인간과의 관계를 화해된 관계로 회복하셨기 때문이고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을 이 화해사역의 대리인으로 부르셨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는 갈등으로 점철된 세상을 치유해야 하는 화해사역의 소명을 부여받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화해사역을 시작하게 하는 토대이자 지탱하게 하는 힘은 화해의 영성이라고 제시하였는데, 이는 그리스도인들의 내적 영성이 외적 실천으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화해의 영성은 관계적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으로 관계의 회복과 재창조를 의미하며, 관계의 회복은 인간관계의 모든 방향들에서 일어나야 한다: 하나님. 자신. 타자. 인간관계의 가장 본질적인 방향은 하나님과의 관계이기 때문에, 본 논문은 화해의 영성을 형성하고 고양할 수 있는 방법은 예수그리스도의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재해석하는 ‘Re-storying’이라고 제안하였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를 자신의 이야기를 재해석하는 거울과 창문으로 보게 될 때 그리스도인들은 치유를 경험하고 용서를 배우게 되고, ‘나는 누구인가’하는 정체성과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하는 소명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고, 십자가를 통해 용서받은 죄인으로 깨닫게 될 때 그리스도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가 화해를 위한 이야기임을 알게 되고, 자신을 화해의 대리자로 깨닫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적 화해를 위해 교회는 하나님의 화해사역을 확장하는 화해사역의 대리자로서의 공동체가 되어야 하고 교회는 하나님의 화해사역의 완성에 대한 기대와 희망 속에서 이 분쟁과 단절의 시대에 치유를 가져올 수 있는 과정으로서의 화해사역을 위해 화해의 영성을 고양해야 하는데, 이는 예배. 교육. 기도. 영성지도. 사회봉사. 선교 등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의 내면에 형성되어질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need of reconciliation ministry in contemporary era and the matter of what spirituality of reconciliation means and how it can be enhanced. People who are living in a ruptured and strife-riden world are suffering from many ...

      This article deals with the need of reconciliation ministry in contemporary era and the matter of what spirituality of reconciliation means and how it can be enhanced. People who are living in a ruptured and strife-riden world are suffering from many conflicts and split at a range of levels from individual to international. Humans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an intrinsic attribute of God is relationship. Therefore, people have a desire of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 in other words, a desire of reconciliation. The church should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since God restored the severed relationship with humans (caused by human sin) through Jesus Christ to the reconciled relationship, and calls the church and Christians to be the agents of reconciliation ministry. Therefore, the church and Christians are endowed the vocation of reconciliation ministry to heal the broken world.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individuals’ spirituality of reconciliation is the foundation and the power to create and sustain reconciliation ministry. The spirituality of reconcilia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restoration of the relational image of God, and signifies the restoration and recreation of reconciliation.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 should develop in all dimensions of one’s relationships: God, self, and others. Among them, the essential dimension of one’s relationship is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that,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way of enhancing the spirituality of reconciliation is ‘re-storying’ which interprets one’s life story through Jesus’ story. ‘Re-storying’ enables Christians to re-discover their spiritual identity and vocation. When Christians realize that Jesus’ story is the reconciling story, they will be convinced that they are called to the agents of reconciliation ministry. Consequentl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church should be a community enlarging God’s reconciling work to the world. For that, Church should enhance Christians’ spirituality of reconciliation through worship, education, prayer, spiritual direction, community service, and so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화해의 영성과 화해사역
      • 1. 화해의 개념 : 용어의 기원과 현대적 사용
      • 2. 화해의 영성과 화해사역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화해의 영성과 화해사역
      • 1. 화해의 개념 : 용어의 기원과 현대적 사용
      • 2. 화해의 영성과 화해사역
      • 3. 현대 화해사역의 특징
      • 4. 기독교 화해사역의 과제: 화해의 영성의 고양
      • 5. 현대의 화해 신학자들과 실천가들의 논의: 화해의 구성요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III. 화해의 영성의 고양을 위하여
      • 1. 예수의 이야기를 통한 삶의 재해석
      • 2. 용서
      • 3. 기억의 치유
      • IV. 화해의 영성을 고양하기 위한 교회의 실천들에 대한 제언: Re-storying 가르치기
      • 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마뉘엘 카통골레, "화해의 제자도 : 정의, 평화, 치유를 위한 기독교적 비전" IVP 2013

      2 로버트 쉬라이터, "화해의 사역"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3 정제천, "화해로서의 기도: 몸, 기억, 죄" 181 : 189-210, 2013

      4 오방식, "헨리 나우엔에게 있어서의 기도, 공동체, 사역의 관계성 연구" 27 : 310-334, 2006

      5 위형윤, "핵무기와 평화신학의 실천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5) : 7-42, 2013

      6 황홍렬, "한반도에서 화해로서의 선교" 27 : 369-400, 2006

      7 송강호, "평화 선교에 대한 소견" 세계선교연구원 (26) : 215-246, 2010

      8 송용원, "칼뱅의 공동선사상의 신학적 근거" 10 : 89-119, 2013

      9 에버렛 워딩턴, "용서와 화해" IVP 2006

      10 유해룡, "영성지도의 시대적 요청과 분별의 주체로서의 마음" 한국실천신학회 (28) : 411-434, 2011

      1 에마뉘엘 카통골레, "화해의 제자도 : 정의, 평화, 치유를 위한 기독교적 비전" IVP 2013

      2 로버트 쉬라이터, "화해의 사역" 한국장로교출판사 2004

      3 정제천, "화해로서의 기도: 몸, 기억, 죄" 181 : 189-210, 2013

      4 오방식, "헨리 나우엔에게 있어서의 기도, 공동체, 사역의 관계성 연구" 27 : 310-334, 2006

      5 위형윤, "핵무기와 평화신학의 실천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5) : 7-42, 2013

      6 황홍렬, "한반도에서 화해로서의 선교" 27 : 369-400, 2006

      7 송강호, "평화 선교에 대한 소견" 세계선교연구원 (26) : 215-246, 2010

      8 송용원, "칼뱅의 공동선사상의 신학적 근거" 10 : 89-119, 2013

      9 에버렛 워딩턴, "용서와 화해" IVP 2006

      10 유해룡, "영성지도의 시대적 요청과 분별의 주체로서의 마음" 한국실천신학회 (28) : 411-434, 2011

      11 김순환, "실천신학적 지평 확대를 위한 예배학적 모색" 한국실천신학회 (35) : 89-106, 2013

      12 황금봉, "독일교회의 "평화기도회"와 사회정치적 역할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28) : 381-409, 2011

      13 김기철, "다움의 영성: 근원적 자기추구" 한국실천신학회 (35) : 537-565, 2013

      14 황홍렬, "고용 허가제 이후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 세계선교연구원 (21) : 221-266, 2008

      15 Schimmel, Solomon, "Wounds not Healed by Time: The Power of Repentance and Forgivenes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6 Schreiner, Susan E, "The Theater of History" Baker Academics 1991

      17 Wolterstorff, Nicholas, "The Place of Forgiveness in the Actions of the State, In The Politics of Past Evil: Religion, Reconciliation, and the Dilemmas of Transitional Justice" University of Notre Dame 87-111, 2006

      18 Bar-Tal, Daniel, "The Nature of Reconciliation as an Outcome and as a Process, In From Conflict Resolution to Reconciliation" Oxford University 11-38, 2004

      19 Lederach, John Paul, "The Moral Imagination: The Art and Soul of Building Peace" Oxford Universtiy Press 2005

      20 Schreiter, Robert J, "The Ministry of Reconciliation: Spirituality & Strategies" Orbis Books 1998

      21 Stevens, David, "The Land of Unlikeness: Explorations into Reconciliation" The Columba Press 2004

      22 Arendt, Hannah, "The Human Con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23 Volf, Miroslav, "The End of Memory: Remembering Rightly in a Violent World"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6

      24 Müller-Fahrenholz, Geiko, "The Art of Forgiveness: Theological Reflections on Healing and Reconciliation" WCC Publications 1997

      25 Villa-Vicentio, Charles, "Telling One Another Stories: Toward a Theology of Reconciliation, In The Reconciliation of Peoples: Challenge to Churches" Orbis Books 30-42, 1997

      26 De Gruchy John, "Reconciliation: Restoring Justice" Fortress Press 2002

      27 Liechty, Joseph, "Putting Forgiveness in its Place: The Dynamics of Reconciliation, In Exploration in Reconciliation: New Directions in Theology" Ashgate Publishing Co. 59-68, 2006

      28 Volf, Miroslav, "Forgiveness, Reconciliation & Justice: A Christian Contribution to a More Peaceful Social Environment, In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ed" Templeton Foundation Press 27-49, 2001

      29 Massey, Sharon Davis,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Essential to Sustaining Human Development, In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Psychological Pathways to conflict Transformation and Peace Building" Springer 83-96, 2009

      30 Clegg, Cecelia, "Embracing a Threatening Other: Identity and Reconciliation in Northern Ireland, In Peace and Reconciliation: In Search of Shared Identity" York St. John University 2008

      31 Barth, Karl, "Church Dogmatics. IV. Part 1" T & T Clark International 1956

      32 Biéler, André, "Calvin’s Economic and Social Thought" WCC Publications 2005

      33 Lederach, John Paul, "Building Peace: Sustainable Reconciliation in Divided Societies" United Steates Institues of Preace Press 1997

      34 Clegg, Cecelia, "Between Embrace and Exclusion, In Explorations in Reconciliation: New Directions in Theology, 123-136" Ashgate Publishing Co 2006

      35 Shriver Jr., Donald W., "An Ethics for Enemies: Forgiveness in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36 Peterson, Rodney L, "A Theology of Forgiveness: Terminology, Rhetoric & the Dialectic of Interfaith Relationships, In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empleton Foundation Press 3-25, 2001

      37 Volf, Miroslav, "A Theology of Embrace for a World of Exclusion, In Explorations in Reconciliation: New Directions in Reconciliation" Ashgate Publishing Co 2006

      38 Baum, Gregory, "A Theological Afterword, In The Reconciliation of Peoples: Challenge to Churches" Orbis Books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