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인 순찰 로봇에 의한 영상 수집과 증거능력 = Video collection and Evidence capability by Unmanned Patrol Robo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71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lives are facing various changes. In particular, autonom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Among them,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applied to the field of crime prevention is expected to improve police security services.
      Already overseas, street patrols by robot police have begun, and city patrols by patrol robots are being carried out in Korea as well. However, there is still no legal basis governing this.
      Although CCTV is used as a typical security measure, blind spots occur because it is fixed in a specific place. In addition, unmanned patrol robots can autonomously drive through programmed streets and perform regular and independent patrols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for police personnel to repeatedly patrol, so crime prevention activities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However, due to the operation of unmanned patrol robots that monitor the state of public order while filming the surroundings to prevent crime, the legality of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the ability of evidence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can violate other people's basic rights such as portrait righ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unmanned patrol robot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Police Equipment Management Rules」. And, the requirements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ere also review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t the permissible scope and requirements so that unmanned patrol robots can be efficiently used for crime prevention by enacting 「Operation and management rules for unmanned patrol robots」.
      Investigation methods need to be approached flexibly in line with the changing society and crime patterns. If the legal system fails to keep up with thi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the law will only grow.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asures to minimize the infringement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prepare a legal system so as not to fall behind.
      번역하기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lives are facing various changes. In particular, autonom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Among them,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applied to the field of crime prevention ...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lives are facing various changes. In particular, autonom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Among them,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applied to the field of crime prevention is expected to improve police security services.
      Already overseas, street patrols by robot police have begun, and city patrols by patrol robots are being carried out in Korea as well. However, there is still no legal basis governing this.
      Although CCTV is used as a typical security measure, blind spots occur because it is fixed in a specific place. In addition, unmanned patrol robots can autonomously drive through programmed streets and perform regular and independent patrols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for police personnel to repeatedly patrol, so crime prevention activities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However, due to the operation of unmanned patrol robots that monitor the state of public order while filming the surroundings to prevent crime, the legality of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the ability of evidence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can violate other people's basic rights such as portrait righ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unmanned patrol robot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Police Equipment Management Rules」. And, the requirements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ere also review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t the permissible scope and requirements so that unmanned patrol robots can be efficiently used for crime prevention by enacting 「Operation and management rules for unmanned patrol robots」.
      Investigation methods need to be approached flexibly in line with the changing society and crime patterns. If the legal system fails to keep up with thi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the law will only grow.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asures to minimize the infringement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prepare a legal system so as not to fall behi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 이후로 우리의 삶은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율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범죄 예방 분야에 접목된 첨단 과학기술은 경찰 치안 서비스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해외에서는 로봇 경찰의 거리 순찰이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순찰 로봇에 의한 도심 순찰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규율하고 있는 법적 근거는 아직 아무것도 없다.
      기존의 대표적인 치안 대응책으로 CCTV가 이용되고 있지만,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각지대가 발생한다. 또, 경찰 인력이 반복적으로 순찰하기 어려운 지역을 무인 순찰 로봇은 프로그램화된 거리를 자율주행하며 규칙적이고 독립적인 순찰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범죄 예방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범죄 예방을 위해 주변을 촬영하면서 치안 상태를 살피는 무인 순찰 로봇의 운용형태로 인하여 초상권 등 다른 사람의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수사절차의 적법성과 증거능력이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법」과 「경찰장비관리규칙」의 개정을 통하여 무인 순찰 로봇이 수집하는 정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비례성의 원칙에 따라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 요건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해 보았다.
      이와 더불어「무인 순찰 로봇의 운영 및 관리 규칙」을 제정하여 무인 순찰 로봇이 범죄 예방 업무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그 허용범위와 요건을 명확히 설정해둘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사회와 범죄양상에 맞게 수사방법도 탄력적으로 접근해 보아야 한다. 법체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현실과 법의 괴리감은 더욱 커질 것이다. 국민들의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함께 고려하며 뒤처지지 않게 법 제도를 갖추어 두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4차 산업혁명 이후로 우리의 삶은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율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범죄 예방 분야에 접목된 첨단 과학기술은 ...

      4차 산업혁명 이후로 우리의 삶은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율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범죄 예방 분야에 접목된 첨단 과학기술은 경찰 치안 서비스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해외에서는 로봇 경찰의 거리 순찰이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순찰 로봇에 의한 도심 순찰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규율하고 있는 법적 근거는 아직 아무것도 없다.
      기존의 대표적인 치안 대응책으로 CCTV가 이용되고 있지만,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각지대가 발생한다. 또, 경찰 인력이 반복적으로 순찰하기 어려운 지역을 무인 순찰 로봇은 프로그램화된 거리를 자율주행하며 규칙적이고 독립적인 순찰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범죄 예방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범죄 예방을 위해 주변을 촬영하면서 치안 상태를 살피는 무인 순찰 로봇의 운용형태로 인하여 초상권 등 다른 사람의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수사절차의 적법성과 증거능력이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법」과 「경찰장비관리규칙」의 개정을 통하여 무인 순찰 로봇이 수집하는 정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비례성의 원칙에 따라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 요건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해 보았다.
      이와 더불어「무인 순찰 로봇의 운영 및 관리 규칙」을 제정하여 무인 순찰 로봇이 범죄 예방 업무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그 허용범위와 요건을 명확히 설정해둘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사회와 범죄양상에 맞게 수사방법도 탄력적으로 접근해 보아야 한다. 법체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현실과 법의 괴리감은 더욱 커질 것이다. 국민들의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함께 고려하며 뒤처지지 않게 법 제도를 갖추어 두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현, "형사절차에서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증거능력– 독일에서의 판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88) : 109-138, 2018

      2 이성기, "형사소송절차에서의 영상정보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4 (24): 137-158, 2016

      3 강동욱, "형사소송법강의" 도서출판 오래 2021

      4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22

      5 이은모, "형사소송법" 박영사 2021

      6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22

      7 이주원, "형사소송법" 박영사 2022

      8 이재상, "형사소송법" 2022

      9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22

      10 강미영 ; 정혜진, "치안용 자율 드론 도입에 따른 법적 쟁점 및 과제 연구" 법학연구소 32 (32): 185-233, 2021

      1 신상현, "형사절차에서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증거능력– 독일에서의 판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88) : 109-138, 2018

      2 이성기, "형사소송절차에서의 영상정보의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4 (24): 137-158, 2016

      3 강동욱, "형사소송법강의" 도서출판 오래 2021

      4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22

      5 이은모, "형사소송법" 박영사 2021

      6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22

      7 이주원, "형사소송법" 박영사 2022

      8 이재상, "형사소송법" 2022

      9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22

      10 강미영 ; 정혜진, "치안용 자율 드론 도입에 따른 법적 쟁점 및 과제 연구" 법학연구소 32 (32): 185-233, 2021

      11 강미영 ; 정혜진, "인공지능 기반의 CCTV에 의한 범죄예측 시스템 도입에 따른 법적 과제와 활용 방안" 비교법학연구소 66 : 195-232, 2022

      12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법문사 2014

      13 류성진, "드론의 프라이버시권 침해에 대한 헌법적 검토" 법학연구소 21 (21): 119-146, 2017

      14 이용걸, "도시 인프라 연계 스마트 치안 기술" 한국통신학회 37 (37): 34-41, 2020

      1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 & ICT 정책・기술 동향 No. 148"

      16 김강한, "공공부문에서 드론 활용에 따른 개인정보 처리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IT와 법연구소 (21) : 83-118, 2020

      17 서정범, "경찰행정법" 2022

      18 허경미, "경찰학" 박영사 2022

      19 선종수, "경찰의 드론 활용에 따른 형사법적 문제" 한국경찰법학회 18 (18): 83-103, 2020

      20 조정우, "경찰의 드론 운용의 법률적 검토" 한국법학회 19 (19): 381-406, 2019

      21 손재영, "경찰법" 박영사 2021

      22 방동희, "개인정보 보호법과 개인영상정보의 보호에 관한 소고- 보호체계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향 제시를 중심으로 -" 한양법학회 24 (24): 53-79, 2013

      23 New York City Police Department, "Video-Only Recording Devices, Overt :Impact and Use Policy"

      24 New York City Police Department, "Video-Only Recording Devices, Covert :Impact and Use Policy"

      25 Daniel N. Rosenblatt, "The Impact of Video Evidence on Modern Policing : Research and Best Practices from the IACP Study on In-Car Camera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hiefs of Police 2005

      26 New York City Police Department, "Situational Awareness Cameras : Impact and Use Policy"

      27 Joe Purshouse, "Privacy, Crime Control and Police Use of Automated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188-204, 2019

      28 Elizabeth E. Joh, "POLICING POLICE ROBOTS" 64 : 516-, 2016

      29 "Minutes of Regular Meeting of the City of Huntington Park City Council"

      30 Huntington Park Police Department, "Huntington Park PD Policy Manual -Policy 429 : Mobile Audio/Video"

      31 "Facial Recognition and Biometric Technology Moratorium Act of 2021" 2021

      32 "Cleveland Division of Police, Cleveland Division of Police General Police Order - 3.4.03 : Use of Video/Image and Audio Recording Equipment"

      33 김경돈, "CCTV 영상저장물의 증거능력 확보를 위한 수집 및 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9 (9): 47-68, 2015

      34 이상현, "CCTV 녹화영상에 대한 영국의 근거법 및 형사증거법에 대한 비교법연구" 법조협회 64 (64): 199-240, 2015

      35 "Automated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Moratorium and Review) Act 2020, HL Bill 87"

      36 New York City Police Department, "Audiovisual Recording Devices, Overt :Impact and Use Policy"

      37 New York City Police Department, "Audiovisual Recording Devices, Covert :Impact and Use Policy"

      38 Greeling, Kelly Y., "AUTONOMOUS ROBOTS IN LAW ENFORCEMENT : FUTURE LEGAL AND ETHICAL ISSUE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