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MMPI-2의 진단적 유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울증 환자군, 정신분열증 환자군, 정상 집단을 대상으로 MMPI-2의 8개 타당도 척도와 10개의 임상척도, 15개의 내용척도를 비교분석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94441
2009
Korean
Depression ; Schizophrenia ; MMPI-2 ; clinical scales ; content scales ; 우울증 ; 정신분열증 ; MMPI-2 ; 임상 척도 ; 내용 척도
KCI등재
학술저널
339-362(24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MMPI-2의 진단적 유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울증 환자군, 정신분열증 환자군, 정상 집단을 대상으로 MMPI-2의 8개 타당도 척도와 10개의 임상척도, 15개의 내용척도를 비교분석하였...
본 연구는 MMPI-2의 진단적 유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울증 환자군, 정신분열증 환자군, 정상 집단을 대상으로 MMPI-2의 8개 타당도 척도와 10개의 임상척도, 15개의 내용척도를 비교분석하였다. 2008년 2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 소재 H병원에 입원한 환자와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우울증 환자군 37명과 정신분열증 환자 36명, 정상 통제 집단 36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우울증 환자군은 2-7-0 프로파일 양상을 보이고 있었는데, 특히 2-7척도에서는 T점수 65점 이상으로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8-6프로파일을 보이고 있었으나 T점수 60점 정도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정상 집단은 대부분 임상 및 내용 척도에서 T점수 50점 정도로 평균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각 집단을 진단적으로 구분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임상 척도와 내용 척도를 중심으로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우울증 환자군과 정상 집단 간에는 DEP척도와 TPA척도가 집단을 가장 유의하게 변별하였고, 정신분열증 환자군과 정상 집단 간에는 6번 척도와 OBS, BIZ, ANG 척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별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신분열증 환자군과 우울증 환자군을 변별하는 가장 유의한 변인은 2번 척도와 BIZ, ANG 척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래,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503-520, 2004
2 한경희, "한국판 MMPI-2의 개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533-564, 2006
3 육성필,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임상적 연구: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비교" 16 (16): 185-197, 1997
4 신민섭,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분할점과 분류 오류" 12 (12): 71-81, 1993
5 이정균, "한국인의 MMPI에 관한 연구-우울증의 MMPI" 13 (13): 11-15, 1974
6 김광수, "주요우울장애의 유병률과 장애도" 1 : 5-11, 2003
7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보고서, "정신질환실태 역학 조사"
8 안권순, "정신분열증환자와 조증환자의 MMPI 반응특성" 7 (7): 23-37, 1991
9 최정윤, "우울증 환자의 MMPI 프로파일" 10 (10): 34-41, 1991
10 정현미, "대학생 편집집단과 우울집단의 분노경험 및 분노사고"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153-165, 2008
1 조용래,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503-520, 2004
2 한경희, "한국판 MMPI-2의 개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533-564, 2006
3 육성필,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임상적 연구: 환자군과 비환자군의 비교" 16 (16): 185-197, 1997
4 신민섭,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분할점과 분류 오류" 12 (12): 71-81, 1993
5 이정균, "한국인의 MMPI에 관한 연구-우울증의 MMPI" 13 (13): 11-15, 1974
6 김광수, "주요우울장애의 유병률과 장애도" 1 : 5-11, 2003
7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보고서, "정신질환실태 역학 조사"
8 안권순, "정신분열증환자와 조증환자의 MMPI 반응특성" 7 (7): 23-37, 1991
9 최정윤, "우울증 환자의 MMPI 프로파일" 10 (10): 34-41, 1991
10 정현미, "대학생 편집집단과 우울집단의 분노경험 및 분노사고"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153-165, 2008
11 김중술, "다면적 인성검사 Ⅱ 매뉴얼" (주)마음사랑 2005
12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부 1984
13 Walters, G., "between schizophrenic and manic inpatients by means of the MMPI" 52 (52): 91-95, 1988
14 Winters, K. C, "Validity of MMPI codetypes in identifying DSM-III schizophrenics, unipolars, and bipolars" 49 (49): 486-487, 1981
15 Archer,R.P, "Using the MMPI with adolescents"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7
16 Wetzler, S., "The use of the MMPI-2 for the assessment of depressive and psychotic disorders" 5 : 249-261, 1998
17 Vincent,K.R, "The fragile nature of MMPI code Types" 46 : 800-802, 1990
18 Marks, P. A, "The actuarial use of the MMPI with adolescents and adults"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74
19 한경희, "The Use of Korean MMPI-2 with Korean Psychiatric Sample : Preliminary Investigation"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827-842, 2002
20 Sim, K.,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first episode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with comorbid depression" 12 : 141-147, 2004
21 Derogatis L. R, "SCL-90-R (revised) manual I.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Baltimore"
22 Pasquini, M., "Relevance of Anger and Irritability in out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37 (37): 155-160, 2004
23 Herz M. I., "Relapse in schizophrenia" 137 : 801-805, 1980
24 Scott, P. O., "Psychometric profil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xious, and healthy vietnam veterans: Correlations with psychophysiologic responses" 58 (58): 329-355, 1990
25 Buckley, P. F, "Psychiatric Comorbidities and Schizophrenia" 10 : 1-20, 2008
26 Weed, N. C., "New measures for assessing alcohol and drug abuse with the MMPI-2: The APS and AAS" 58 : 389-404, 1992
27 Butcher, J. N.,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2(MMPI-2): Manual for administration and scoring"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9
28 임지영, "MMPI-2프로파일에서의 증상은폐의 탐지" 20 (20): 133-144, 2001
29 Graham,J.R, "MMPI-2: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 MMPI-II: Assessing Personality and Psychology" 시그마프레스 2007
30 Butcher, J. N., "MMPI-2: Manual for administration, scoring, and interpreta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1
31 Munley, P. H., "MMPI-2 findings in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9 (9): 508-511, 1997
32 Talbert, F. S., "MMPI profiles as a function of comorbidity" 50 : 529-537, 1994
33 Vincent K. R., "MMPI code type and DSM-III diagnoses" 39 : 829-842, 1983
34 Ganellen,R.J, "Integrating the Rorschach and the MMPI-2 in Personality Assessment"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6
35 Bagby, R. M, "Distinguishing Bipolar Depression, Major Depression and Schizophrenia with the MMPI-2 Clinical and Content scales" 84 (84): 89-95, 2005
36 Egger J. I. M., "Differential diagnosis using the MMPI-2: Goldberg's index revisited" 18 (18): 409-411, 2003
37 Greenblatt, R. L, "Differential Diagnosis of PTSD,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with the MMPI-2" 55 (55): 217-223, 1999
38 Bottlender R, "Diagnostics and therapy of depressive symptoms in schizophrenic patients" 147 : 59-62, 2005
3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 2000
4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Washington DC.: Author. 1994
41 Wetzler, S., "Diagnosis of major depression by self-report" 53 : 22-30, 1989
42 Bartels, S. J., "Depressive symptoms in schizophrenia: comprehensive differential diagnosis" 29 : 67-483, 1988
43 Siris S.G, "Depression in schizophrenia: persepective in the era of ‘atypical’ antipsychotic agents" 157 : 1379-1389, 2000
44 Jager M., "Depression during an acute episode of schizophrenia or schizophreniform disorder and its impact on treatment response" 158 : 297-305, 2008
45 Donnelly, E. R., "Cross- sectional and longitudinal comparisons of bipolar and unipolar depressed groups on the MMPI" 44 (44): 233-236, 1976
46 Ben-Porath, Y. S., "Contribution of the MMPI-2 content scales to the differen tial diagnosis of schizophrenia and Major depression" 3 (3): 634-640, 1991
47 Caldwell,A.B, "Commentary on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2: A review,”" 69 : 568-569, 1991
48 이영호,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10 (10): 98-113, 1991
49 Jordan, G. W., "A polymorphism in the dopamine ß- hydroxylase gene is associated with 'paranoid ideation'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51 (51): 365-369, 2002
50 Hathaway, S. R., "A multiphasic personality schedule(Minnesota): I. Construction of the schedule" 10 : 249-254, 1940
51 Ward,L.C, "A comparison of T scores from the MMPI and MMPI-2" 3 : 688-690, 1991
혈관성 인지장애 선별검사로서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의 신뢰도, 타당도 및 규준 연구
섭식행동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종단연구
뇌졸중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노인용 인지검사(CSOA)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3-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 |
2016-02-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 |
2014-04-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Psychology -> Korean Clinical Psychology Associ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 산하 임상심리학회 -> 한국임상심리학회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6 | 1.36 | 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9 | 1.77 | 2.96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