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서지역 청소년의 교육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교육지원기구(가칭)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Youth on Islands - Centered on Educational Support Organization (Tentative Nam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6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island area is relatively inferior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urban are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teenagers living in the island area.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ates in paragraph 1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education equally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Equal education means not only ensuring formal educational opportunities, but also ensuring that adolescents receive equally high-quali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adolescents should be both established and maintained where they can receive equal education without discrimination. Because of the geographical nature of islands, it is clear that inequality in education is forcing adolescents living in islands into a relatively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fact, the study shows that the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in the island area is significantly behind that of the urban youth. Inequality in education between urban and island areas is becoming more and more profound. Despit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Book and Wallpaper Education Promotion Act in 1967,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project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policy to support education in island regions, such inequality is intensifying. Some have pointed out that they have not even yet been fully implemented. An interview with a teacher working at a school in an island area confirms that the school's facilities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modernization.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after school, the environment for education, career, and leisure for young people is not far from the primitive level. Most island teenagers spend time playing games or watching You-tube after school. After school, young people claim that nothing exists but neglection. Now, when investing in facilities or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for appropriately injecting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to counseling and activities for teachers and teenagers with education, and to establish and implement institutional devices for practical use.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and confirm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island area, and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upport organization as a way to subsequently improve th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island area is relatively inferior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urban are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teenagers living in the is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island area is relatively inferior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urban area,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teenagers living in the island area.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ates in paragraph 1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education equally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Equal education means not only ensuring formal educational opportunities, but also ensuring that adolescents receive equally high-quali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adolescents should be both established and maintained where they can receive equal education without discrimination. Because of the geographical nature of islands, it is clear that inequality in education is forcing adolescents living in islands into a relatively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fact, the study shows that the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in the island area is significantly behind that of the urban youth. Inequality in education between urban and island areas is becoming more and more profound. Despit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Book and Wallpaper Education Promotion Act in 1967,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project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policy to support education in island regions, such inequality is intensifying. Some have pointed out that they have not even yet been fully implemented. An interview with a teacher working at a school in an island area confirms that the school's facilities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modernization.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after school, the environment for education, career, and leisure for young people is not far from the primitive level. Most island teenagers spend time playing games or watching You-tube after school. After school, young people claim that nothing exists but neglection. Now, when investing in facilities or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for appropriately injecting specialized human resources into counseling and activities for teachers and teenagers with education, and to establish and implement institutional devices for practical use.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and confirm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island area, and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upport organization as a way to subsequently improve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도서지역의 교육환경이 도시지역의 교육환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31조는 제1항에서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균등한 교육은 형식적인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청소년이 놓인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맞추어 양질의 교육을 균등하게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청소년 누구나 차별 받지 않고 균등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환경을 설치·유지해야 함을 의미한다. 도서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에 놓이도록 하는 것은 분명한 교육의 불평등이다. 실제 연구결과에도 도서지역의 청소년 학업성취도가 도시지역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시지역과 도서지역 간의 교육의 불평등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경향이다.
      1967년에 도서·벽지 교육진흥법을 제정·시행하고,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특별사업의 신설과 도서지역의 교육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였음에도 이처럼 불평등이 오히려 심화되는 것은 도서지역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한 정책들이 시행되지 못하였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도서지역의 교육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에 개선방안으로서 교육지원기구의 설치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서지역의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학교 시설 및 설비 등은 현대화 사업을 통해 상당 수준으로 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에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진로, 여가 등을 위한 환경은 원시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도서지역 청소년의 대부분이 방과 후에 게임을 하거나 유튜브(You tube)를 보는 것으로 시간을 보낸다. 방과 후에 청소년들은 ‘방치되는 것이다 다름없다’는 주장이다. 이제는 시설이나 설비에 투자하는 시점에서 교육경험이 풍부한 교원 및 청소년 상담과 활동에 전문성을 갖춘 인력자원을 적절히 투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의 실질적인 이행을 위한 제도적 장치 등을 마련하고 실천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시점이다. 도서지역의 시설 및 설비 등 물적 교육환경은 현대화가 상당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나 여전히 교육인적자원의 부재는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각 도서지역의 상황에 맞게 정책적으로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다. 이를 지방자치제도의 장점을 살려 각 지방의회에서 해당지역에 알맞은 조례를 제정하여 주민들의 정책적 요구를 반영하고 이를 실현시킬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에서 법적근거에 따른 기구의 설치 ·운영은 도서지역 내외에 유관 공공 및 민간 기관의 협력체계를 갖추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도서지역의 교육환경이 도시지역의 교육환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

      이 연구는 도서지역의 교육환경이 도시지역의 교육환경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31조는 제1항에서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균등한 교육은 형식적인 교육의 기회를 보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청소년이 놓인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맞추어 양질의 교육을 균등하게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청소년 누구나 차별 받지 않고 균등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환경을 설치·유지해야 함을 의미한다. 도서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도서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에 놓이도록 하는 것은 분명한 교육의 불평등이다. 실제 연구결과에도 도서지역의 청소년 학업성취도가 도시지역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시지역과 도서지역 간의 교육의 불평등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경향이다.
      1967년에 도서·벽지 교육진흥법을 제정·시행하고,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특별사업의 신설과 도서지역의 교육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였음에도 이처럼 불평등이 오히려 심화되는 것은 도서지역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한 정책들이 시행되지 못하였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도서지역의 교육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에 개선방안으로서 교육지원기구의 설치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서지역의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학교 시설 및 설비 등은 현대화 사업을 통해 상당 수준으로 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에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진로, 여가 등을 위한 환경은 원시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도서지역 청소년의 대부분이 방과 후에 게임을 하거나 유튜브(You tube)를 보는 것으로 시간을 보낸다. 방과 후에 청소년들은 ‘방치되는 것이다 다름없다’는 주장이다. 이제는 시설이나 설비에 투자하는 시점에서 교육경험이 풍부한 교원 및 청소년 상담과 활동에 전문성을 갖춘 인력자원을 적절히 투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의 실질적인 이행을 위한 제도적 장치 등을 마련하고 실천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시점이다. 도서지역의 시설 및 설비 등 물적 교육환경은 현대화가 상당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나 여전히 교육인적자원의 부재는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각 도서지역의 상황에 맞게 정책적으로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다. 이를 지방자치제도의 장점을 살려 각 지방의회에서 해당지역에 알맞은 조례를 제정하여 주민들의 정책적 요구를 반영하고 이를 실현시킬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에서 법적근거에 따른 기구의 설치 ·운영은 도서지역 내외에 유관 공공 및 민간 기관의 협력체계를 갖추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지연, "해역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도서 활용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9-121, 2017

      2 이충민, "학생회 선거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0 (10): 55-80, 2017

      3 임연기, "통합운영학교의 현황과 발전 방향" 40-56, 2011

      4 황윤한, "켄터키(Kentucky)州 교육개혁이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지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전라남도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87-113, 2019

      5 방부식, "청소년 방과후 활동 유형과 참여동기가 위험해동 및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6 박성현, "지방정부의 공간정보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 광역지방자치단체 공간정보 조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1 (11): 267-289, 2017

      7 신순호, "지방정부 도서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광역시ㆍ도의 도서 관련 조례를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50) : 105-128, 2017

      8 문상옥, "전라남도 도서지역 원격화상 영어교육의 초등학생 영어능력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영어영문학회 28 (28): 301-324, 2015

      9 송승훈, "전남 도서지역 교육 실태 및 정책 방향" 전라남도교육연구정보원 전남교육정책연구소 1-60, 2016

      10 박진경, "재정분권 추진에 따른 균특회계 개편과 섬발전정책방향" 서삼석 국회의원·대한민국 아름다운 섬 발전협의회 33-53, 2019

      1 최지연, "해역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도서 활용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9-121, 2017

      2 이충민, "학생회 선거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0 (10): 55-80, 2017

      3 임연기, "통합운영학교의 현황과 발전 방향" 40-56, 2011

      4 황윤한, "켄터키(Kentucky)州 교육개혁이 도서벽지 및 농어산촌 지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전라남도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7 (37): 87-113, 2019

      5 방부식, "청소년 방과후 활동 유형과 참여동기가 위험해동 및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6 박성현, "지방정부의 공간정보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 - 광역지방자치단체 공간정보 조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1 (11): 267-289, 2017

      7 신순호, "지방정부 도서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광역시ㆍ도의 도서 관련 조례를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50) : 105-128, 2017

      8 문상옥, "전라남도 도서지역 원격화상 영어교육의 초등학생 영어능력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영어영문학회 28 (28): 301-324, 2015

      9 송승훈, "전남 도서지역 교육 실태 및 정책 방향" 전라남도교육연구정보원 전남교육정책연구소 1-60, 2016

      10 박진경, "재정분권 추진에 따른 균특회계 개편과 섬발전정책방향" 서삼석 국회의원·대한민국 아름다운 섬 발전협의회 33-53, 2019

      11 법제처, "자치법규 입법메뉴얼"

      12 이형하, "인터넷 중독정도가 도서지역 청소년의 심리정서, 행동, 학업부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63-288, 2003

      13 박정미, "인천 도서지역 중등 영어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4 박성현, "섬정책연구기관 설립의 당위성과 조직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연구소 51 (51): 75-96, 2019

      15 이제연, "섬의 인구변화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1, 2016

      16 구신서, "섬교육 미래를 위한 정책 제언" 전라남도신안교육지원청·국립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6-52, 2019

      17 박성현, "섬 정주여건 저해요인 구조분석을 통한 섬 재생사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신안군 자은도를 사례로 -" 한국도서(섬)학회 30 (30): 21-40, 2018

      18 이춘호,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ARCS 기반 학습이 도서지역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17 (17): 149-154, 2013

      19 조영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양극화 현상 진단과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20 신순호, "무교(無校) 도서지역의 교육 문제와 실상" 제8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조직위원회 250-257, 2017

      21 김선영, "도시·도서지역 영어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모형구축연구방법론 시고" 교육연구소 22 (22): 155-178, 2016

      22 김지종, "도서지역과 도시지역의 교육격차에 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8

      23 김미경, "도서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내용 분석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28 (28): 15-33, 2016

      24 기진서, "도서지역 교육환경과 교육성과의 관계연구 : 신안, 완도, 진도군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교육연구소 14 : 139-151, 2001

      25 기진서, "도서지역 교육환경 연구" 국립목포대학교 2004

      26 박성현, "도서지역 교육의 현황과 제도적 개선방안 - 전라남도를 사례로 -" 한국도서(섬)학회 31 (31): 109-129, 2019

      27 주상현, "도서와 도시지역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자의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8 신순호, "도서개발정책의 실상과 합리적 방향" (사)한국정치학회·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1-14, 2014

      29 신순호, "도서개발정책에 대한 주민의식구조의 변화 분석-1995년과 2011년의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44) : 203-235, 2014

      30 심승희, "도서·벽지교육진흥법에 의해 지정된 도서·벽지 지역의 변화에 관한 연구: 충북의 벽지 지역을 사례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1 (21): 76-99, 2009

      31 장이석, "도서·벽지 학교 교육 개선 방안 연구(중등)" 전라남도교육연구정보원 2011 (2011): 1-80, 2011

      32 박종훈, "도서 지역 소외계층 학생들의 융합적 기초 사고 형성을 위한 수업 사례 연구"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 (2): 33-42, 2016

      33 나승일,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탐색"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35-57, 2007

      34 정철영, "도·농간 교육격차에 관한 가정 및 학교배경의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27-49, 2011

      35 양병찬, "농어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교육 관련 제도 개선방안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101-119, 2012

      36 최명숙, "농어촌 도서벽지 환경문화를 대하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이 미술교육에 주는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919-938, 2017

      37 마상진, "농어촌 교육 실태와 개선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3-163, 2010

      38 이혜영,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 효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56-64, 2010

      39 신순호, "낙도지역 교육의 실상과 개선에 관한 실증적 고찰 : 넙도와 서넙도 소재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서(섬)학회 5 (5): 83-99, 1995

      40 "국가통계포털"

      41 성기호, "공동체마을의 사회자본과 환경요인이 주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5

      42 정환용, "계획이론" 박영사 121-, 2009

      43 李昌松, "現行 島嶼·僻地敎育振興策에 관한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3

      44 이동신, "21세기 전남도서지역산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섬)학회 15 (15): 25-45, 2003

      45 교육부,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발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