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규모 유류 저장소의 화재 사고 사례분석에 따른 안전관리개선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21241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 소방.도시방재전공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Library Use Education on Information Retrieval Behavior of Library Users

      • 형태사항

        vii, 7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흥열
        참고문헌 : p. 69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4734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저유소의 소화설비는 일반적으로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해 규제되고 있으나 관련 법규는 소화용수의 경우 초기소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을 규정하고 있다. 소화설비의 경우 소화 난이도 등급에 따른 적용 가능한 소화설비를 획일적으로 나열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계설비와 위험공정을 보유하고 있는 저유소의 경우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의 기준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장시간의 소화 활동이 요구되는 대형화재에 대비하여 소화용수 소요량 대비 공급량과 소화수원 소요량 대비 보유량의 적정성, 포 소화약제 확보량, 화재진압에 필요한 소화 시간 및 안전 관계자의 의견 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 저장탱크의 시설 및 구조와 기존에 발생하였던 유류 저장 시설의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안전관리 및 소화 시설에 대하여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대량위험물 저장시설의 안전관리 개선방안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저장탱크의 시설 및 구조와 기존에 발생 하였던 유류 저장 시설의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안전관리 및 소화 시설에 대하여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대량위험물 저장시설의 안전관리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규모 저장 탱크 비상사태를 완화하기 위해서 비상조치 계획에 따라 대응되어야 하며, 대량위험물 저장소 화재 발생 시 대응 단계별 긴급구조통제단(ICS)이 가동되어야 한다.
      부상지붕탱크(FRT)의 부상 지붕에 낙뢰가 떨어지는 경우 부상 지붕 → 탱크외면 → 지면으로 이동하므로 탱크 외면의 접지뿐만 아니라 상부지붕과 탱크 외면 사이 본딩 접지도 접지 저항값을 측정, 별도 기재하도록 일반점검표를 개선하여 부상 지붕과 탱크 외면 사이 접지저항 관리 개선을 제한하고자 한다.
      외부화재 감시기능 강화를 및 탱크 외부 화재 자동감지+속보장치 설치방안 마련, 적응성이 있는 불꽃 감지기 등으로 화재 감지 후 119 종합상황실에 자동 통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유류 화재 예방 및 예측 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위험물 취급 사업장에 대한 화재 폭발 위험성 보고서를 제출받아 비상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화재진압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형위험물 저장소 안전관리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관리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며 관련 법규 개선방안으로서는 탱크 외부 화재 자동감지+속보장치 설치, 인화방지망 규격 명시 및 화염 방지기 설치, 포 소화설비 소화능력 강화, 중간 정기검사제도(비개방, 4년 주기) 도입 및 자체 소방대 설치 대상 확대를 제안한다.
      앞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전에 대한 아낌 없는 투자와 대규모 유류를 저장하는 시설에 대하여 연구대상으로 확대해 나가는 한편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국내 저유소의 소화설비는 일반적으로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해 규제되고 있으나 관련 법규는 소화용수의 경우 초기소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을 규정하고 있다. 소화설비의 경우 소화 난...

      국내 저유소의 소화설비는 일반적으로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해 규제되고 있으나 관련 법규는 소화용수의 경우 초기소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을 규정하고 있다. 소화설비의 경우 소화 난이도 등급에 따른 적용 가능한 소화설비를 획일적으로 나열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계설비와 위험공정을 보유하고 있는 저유소의 경우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의 기준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장시간의 소화 활동이 요구되는 대형화재에 대비하여 소화용수 소요량 대비 공급량과 소화수원 소요량 대비 보유량의 적정성, 포 소화약제 확보량, 화재진압에 필요한 소화 시간 및 안전 관계자의 의견 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 저장탱크의 시설 및 구조와 기존에 발생하였던 유류 저장 시설의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안전관리 및 소화 시설에 대하여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대량위험물 저장시설의 안전관리 개선방안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저장탱크의 시설 및 구조와 기존에 발생 하였던 유류 저장 시설의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안전관리 및 소화 시설에 대하여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대량위험물 저장시설의 안전관리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규모 저장 탱크 비상사태를 완화하기 위해서 비상조치 계획에 따라 대응되어야 하며, 대량위험물 저장소 화재 발생 시 대응 단계별 긴급구조통제단(ICS)이 가동되어야 한다.
      부상지붕탱크(FRT)의 부상 지붕에 낙뢰가 떨어지는 경우 부상 지붕 → 탱크외면 → 지면으로 이동하므로 탱크 외면의 접지뿐만 아니라 상부지붕과 탱크 외면 사이 본딩 접지도 접지 저항값을 측정, 별도 기재하도록 일반점검표를 개선하여 부상 지붕과 탱크 외면 사이 접지저항 관리 개선을 제한하고자 한다.
      외부화재 감시기능 강화를 및 탱크 외부 화재 자동감지+속보장치 설치방안 마련, 적응성이 있는 불꽃 감지기 등으로 화재 감지 후 119 종합상황실에 자동 통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유류 화재 예방 및 예측 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정 규모 이상의 위험물 취급 사업장에 대한 화재 폭발 위험성 보고서를 제출받아 비상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화재진압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형위험물 저장소 안전관리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관리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며 관련 법규 개선방안으로서는 탱크 외부 화재 자동감지+속보장치 설치, 인화방지망 규격 명시 및 화염 방지기 설치, 포 소화설비 소화능력 강화, 중간 정기검사제도(비개방, 4년 주기) 도입 및 자체 소방대 설치 대상 확대를 제안한다.
      앞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전에 대한 아낌 없는 투자와 대규모 유류를 저장하는 시설에 대하여 연구대상으로 확대해 나가는 한편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levant laws include automatic detection and installation of fire protection devices, installation of anti-inflation network specifications, reinforcement of fire protection capability, introduction of medium-term regular audit system, and expansion of self-discharge targets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of factors related.
      Since low-yields that handle large-scale dangerous goods are the device industry, the potential danger of large-scale fires is high and the accident is serious,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stalled in low-yield facilities are strictly regulated by domestic laws and overseas standards.
      The digestive system of low-yields in Korea is generally regulated by the Hazardous Substances Safety Management Act, but the relevant version stipulates the minimum amount required for initial digestion in the case of digestive water.
      In the case of fire fighting equipment lists applicable uniformly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digestive difficulty rating to the level of the case.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following research to provide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for light-mass hazardous material storage facilities that assess risk factors and establish response systems based on facilities
      In order to mitigate the emergency conditions of the large storage tank, the emergency control group (ICS) shall be acted upon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y action plan, and the emergency rescue control group (ICS) shall be activated for each response stage in the era of mass hazardous materials storage fire recurrence.
      If lightning strikes the injured roof of the tank (FRT), the upper roof and the outer face of the tank are moved to the ground, so the bonding ground between the upper and upper roof and the outer face of the tank is also measured and separately improved to measure the ground resistance value, and the face of the injured roof and the tank.
      External fire detection and enhancement and reservoir monitoring the external fire flame detector, that is adaptable, equipment installation plans for further news.All-source situation room 119 after fire detection, automatic notification shall be made.
      I would like to propose introduction of an oil fire prevention and prediction program. Oil fire prevention and forecast programs are proposed. Oil fire prevention and forecast programs are proposed.Oil fire prevention and forecast programs are proposed. Fire explosion risk report for the handling of the risk of more than a given size business to rapid and effective fire suppression can be used as reference in an emergency. Should be.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large hazardous materials storag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monetize the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 will need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on safety and large-scale oil storage facilities, while continuousl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번역하기

      The relevant laws include automatic detection and installation of fire protection devices, installation of anti-inflation network specifications, reinforcement of fire protection capability, introduction of medium-term regular audit system, and expans...

      The relevant laws include automatic detection and installation of fire protection devices, installation of anti-inflation network specifications, reinforcement of fire protection capability, introduction of medium-term regular audit system, and expansion of self-discharge targets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of factors related.
      Since low-yields that handle large-scale dangerous goods are the device industry, the potential danger of large-scale fires is high and the accident is serious,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stalled in low-yield facilities are strictly regulated by domestic laws and overseas standards.
      The digestive system of low-yields in Korea is generally regulated by the Hazardous Substances Safety Management Act, but the relevant version stipulates the minimum amount required for initial digestion in the case of digestive water.
      In the case of fire fighting equipment lists applicable uniformly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digestive difficulty rating to the level of the case.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following research to provide safety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for light-mass hazardous material storage facilities that assess risk factors and establish response systems based on facilities
      In order to mitigate the emergency conditions of the large storage tank, the emergency control group (ICS) shall be acted upon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y action plan, and the emergency rescue control group (ICS) shall be activated for each response stage in the era of mass hazardous materials storage fire recurrence.
      If lightning strikes the injured roof of the tank (FRT), the upper roof and the outer face of the tank are moved to the ground, so the bonding ground between the upper and upper roof and the outer face of the tank is also measured and separately improved to measure the ground resistance value, and the face of the injured roof and the tank.
      External fire detection and enhancement and reservoir monitoring the external fire flame detector, that is adaptable, equipment installation plans for further news.All-source situation room 119 after fire detection, automatic notification shall be made.
      I would like to propose introduction of an oil fire prevention and prediction program. Oil fire prevention and forecast programs are proposed. Oil fire prevention and forecast programs are proposed.Oil fire prevention and forecast programs are proposed. Fire explosion risk report for the handling of the risk of more than a given size business to rapid and effective fire suppression can be used as reference in an emergency. Should be.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large hazardous materials storag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monetize the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 will need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on safety and large-scale oil storage facilities, while continuousl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3절 기존의 연구 5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3절 기존의 연구 5
      • 제2장 국내 저유소의 종류와 구조 7
      • 제1절 저유소의 구조 및 소방시설 7
      • 제 1 항 국내 저유소 설치현황 7
      • 제2 항 저유소의 구조 8
      • 제3 항 저유소 저장탱크의 종류 10
      • 제4 항 저유소 저장탱크의 구성요소 17
      • 제2절 저유소 저장탱크의 소화설비 22
      • 제1항 저유소 저장탱크의 소화설비 관련 규정 22
      • 제2항 저유소 저장탱크의 소화설비 예시 24
      • 제3항 저유소 저장탱크의 소화설비 및 안전관리 조사 분석 26
      • 제3장 저유소 화재사례 조사 및 문제점 도출 32
      • 제1절 화재 사례 조사 분석 32
      • 제1항 핵산누출 화재사고 32
      • 제2항 MEK-PO 폭발사고 34
      • 제3항 HOU공정 반응기 화재사고 36
      • 제4항 고양 저유소 화재사고 38
      • 제5항 울산 저유소 화재사고 40
      • 제2절 저유소 화재사고 대응 문제점 도출 43
      • 제1항 소화설비 비정상 작동 등 43
      • 제2항 특수화재 진압차량 부족 44
      • 제3항 포 소화약제의 부족 45
      • 제4항 화염에 접근 곤란 46
      • 제5항 탱크 화재 진압 전문가 부족 47
      • 제4장 저유소 화재사고 및 안전관리 개선방안 48
      • 제1절 저유소 화재 사고 예방대책 48
      • 제1항 저장탱크 화재에 대한 주요 대비방안 48
      • 제2항 낙뢰로 인한 화재 예방·대비 대책 54
      • 제3항 대량위험물 저장소 화재 안전대책 57
      • 제2절 안전관리 개선방안 60
      • 제1항 유류화재 대응 프로그램 도입 및 사고대응 선진화 방안 60
      • 제2항 대량 위험물저장소 안전관리체계 개선 63
      • 제3항 관련 법규 개선 방안 제시 65
      • 제5장 결 론 67
      • 참고문헌 69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