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설득적 발표 담화 구성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 = The Aspects of Audience Conside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Persuasive Present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83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대학생 화자가 청중 고려를 수행할 때 ‘무엇을’, ‘왜’ 어려워하는지, 그리고 청중 고려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대학생의 설득적 발표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을 분석하였다.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공적 발표 상황에서 청중 지향적 담화 구성 지점을 분명하게 포착하기 위하여 여타의 담화 소통 상황은 동일하지만 ‘청중의 특성’만이 달라지는 상황을 제시하여 한 화자가 주어진 청중 특성을 고려하여 발표를 수행하게 하고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대학생 설득 발표와 관련된 여러 자료들로부터 화자의 청중 해석과 그에 따른 청중 지향적 담화 구성 양상을 연결 짓고, 그러한 청중 고려 행위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학생들의 설득적 발표에서 나타난 청중 고려 전략들이 결과적으로 담화의 설득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는가를 평가하여, 설득력 제고에 기여한 경우와 반대의 효과를 낳은 경우로 대별하였다. 전자는 화자가 청중의 다면성을 복합적으로 인식한 경우, 후자는 화자가 청중의 특정한 부분을 지나치게 의식함으로써 방해를 받은 경우라 할 수 있다. 먼저, 대학생 화자의 경우 담화를 구성하는 과정 전반에서 청중을 고려하고, 또 다면적 청중을 고려하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무상 보육정책’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과정에서 두 화자는 모두 청중의 정치적 성향을 읽어내려는 노력을 하였는데, 이는 ‘무상 보육’을 낱개의 정책으로 접근하지 않고, ‘복지 정책 일반’ 혹은 ‘거시적 복지 시스템’의 일환으로 접근한 것이며, 정치적 견해와 복지 시스템 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인식한 결과이다. 이에 ‘무입장·낮은 관련성’청중을 상대로 한 화자는 유추 전략을 도입했고, 한 화자는 ‘무상 보육과 관련된 정치권의 책임론’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다음은, 화자가 청중의 특성을 지나치게 의식함으로써 담화의 설득력을 낮춘 경우이다. 한 화자의 경우 ‘반대 입장·높은 관련성’ 청중의 심리적 반발을 강하게 의식하여 화자-청중 간 입장 상충을 전면화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인해 자신의 주장을 모호하게 제시하였다. 또 ‘청중의 반론’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논지 전개를 흐리는 내용을 확장한 경우도 있었고, 청중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 강도가 높으며 자극적인 표현을 빈번하게 동원한 경우도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대학생 화자가 청중 고려를 수행할 때 ‘무엇을’, ‘왜’ 어려워하는지, 그리고 청중 고려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대학생의 설득적 발표에 나타난 청...

      본고에서는 대학생 화자가 청중 고려를 수행할 때 ‘무엇을’, ‘왜’ 어려워하는지, 그리고 청중 고려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대학생의 설득적 발표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을 분석하였다.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공적 발표 상황에서 청중 지향적 담화 구성 지점을 분명하게 포착하기 위하여 여타의 담화 소통 상황은 동일하지만 ‘청중의 특성’만이 달라지는 상황을 제시하여 한 화자가 주어진 청중 특성을 고려하여 발표를 수행하게 하고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대학생 설득 발표와 관련된 여러 자료들로부터 화자의 청중 해석과 그에 따른 청중 지향적 담화 구성 양상을 연결 짓고, 그러한 청중 고려 행위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학생들의 설득적 발표에서 나타난 청중 고려 전략들이 결과적으로 담화의 설득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는가를 평가하여, 설득력 제고에 기여한 경우와 반대의 효과를 낳은 경우로 대별하였다. 전자는 화자가 청중의 다면성을 복합적으로 인식한 경우, 후자는 화자가 청중의 특정한 부분을 지나치게 의식함으로써 방해를 받은 경우라 할 수 있다. 먼저, 대학생 화자의 경우 담화를 구성하는 과정 전반에서 청중을 고려하고, 또 다면적 청중을 고려하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무상 보육정책’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과정에서 두 화자는 모두 청중의 정치적 성향을 읽어내려는 노력을 하였는데, 이는 ‘무상 보육’을 낱개의 정책으로 접근하지 않고, ‘복지 정책 일반’ 혹은 ‘거시적 복지 시스템’의 일환으로 접근한 것이며, 정치적 견해와 복지 시스템 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인식한 결과이다. 이에 ‘무입장·낮은 관련성’청중을 상대로 한 화자는 유추 전략을 도입했고, 한 화자는 ‘무상 보육과 관련된 정치권의 책임론’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다음은, 화자가 청중의 특성을 지나치게 의식함으로써 담화의 설득력을 낮춘 경우이다. 한 화자의 경우 ‘반대 입장·높은 관련성’ 청중의 심리적 반발을 강하게 의식하여 화자-청중 간 입장 상충을 전면화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인해 자신의 주장을 모호하게 제시하였다. 또 ‘청중의 반론’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논지 전개를 흐리는 내용을 확장한 경우도 있었고, 청중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 강도가 높으며 자극적인 표현을 빈번하게 동원한 경우도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find out how university students interpret the audience and how they map the audience to the speech and whether the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is effect or not. W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such as university students` persuasive presentation clips, reflection journal, transcription, survey, professional`s evaluation and interviews in order to investigate audience-centered discourse construction strategies. As a result, there are two conflicting aspects; one is dedicating to raising persuasive power, the other is to diminishing persuasive power. The former considered the audienc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persuasive discourse, furthermore, the speaker could consider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he audience. For example, considering even political orientation, speakers approached to the topic in the macro-level, one adopted analogy strategy, the other added 3 rd parties` responsibility. In contrast, the latter was conscious about the audience excessively, speakers presented their opinions vaguely or the speaker sometimes used provocative remark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find out how university students interpret the audience and how they map the audience to the speech and whether the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is effect or not. W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such as university students` ...

      This paper aims to find out how university students interpret the audience and how they map the audience to the speech and whether the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is effect or not. W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data such as university students` persuasive presentation clips, reflection journal, transcription, survey, professional`s evaluation and interviews in order to investigate audience-centered discourse construction strategies. As a result, there are two conflicting aspects; one is dedicating to raising persuasive power, the other is to diminishing persuasive power. The former considered the audienc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persuasive discourse, furthermore, the speaker could consider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he audience. For example, considering even political orientation, speakers approached to the topic in the macro-level, one adopted analogy strategy, the other added 3 rd parties` responsibility. In contrast, the latter was conscious about the audience excessively, speakers presented their opinions vaguely or the speaker sometimes used provocative remar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덕, "화법교육론" 역락 2010

      2 홍은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발표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 정혜승, "필자의 독자 고려 전략과 텍스트 실현 양상 -PAIR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8) : 251-276, 2009

      4 권순희, "청자를 고려한 대화 방법" 한국화법학회 4 : 215-243, 2002

      5 김수란, "중학생의 연설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 연구" 한국화법학회 (23) : 9-41, 2013

      6 오형엽, "이성의 수사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1

      7 채현식, "은유표현의 해석과 유추 - 심리과정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19) : 425-447, 2006

      8 박정진, "쓰기에서 독자 고려의 의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163-184, 2008

      9 양경희, "쓰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독자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10 유상희, "쓰기 과정에서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연구 : 대학생의 사고 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 이창덕, "화법교육론" 역락 2010

      2 홍은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발표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 정혜승, "필자의 독자 고려 전략과 텍스트 실현 양상 -PAIR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8) : 251-276, 2009

      4 권순희, "청자를 고려한 대화 방법" 한국화법학회 4 : 215-243, 2002

      5 김수란, "중학생의 연설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 연구" 한국화법학회 (23) : 9-41, 2013

      6 오형엽, "이성의 수사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1

      7 채현식, "은유표현의 해석과 유추 - 심리과정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19) : 425-447, 2006

      8 박정진, "쓰기에서 독자 고려의 의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7) : 163-184, 2008

      9 양경희, "쓰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독자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10 유상희, "쓰기 과정에서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연구 : 대학생의 사고 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1 권순희, "수신자 지향 관점 선택에 따른 표현 양상과 기능"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2 : 1-25, 2000

      12 최영인, "설득 화법의 청중 고려 양상과 교육적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3 박재현, "설득 화법교육론" 태학사 2011

      14 최영인, "설득 화법 집중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변화 연구" 한국화법학회 (24) : 271-310, 2014

      15 Benoit, W. L., "설득 메시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6 박재현, "설득 담화의 내용 조직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7 한순미, "비고츠키와 교육: 문화-역사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1

      18 박현진, "비고츠키 예술심리학과 도덕교육" 교육과학사 2010

      19 양경희, "독자를 고려한 설득하는 글쓰기 지도" 한국작문학회 (17) : 37-67, 2013

      20 박정진,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설득하는 글쓰기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9) : 101-128, 2008

      21 최영인, "고등학생 화자들의 설득적 말하기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 연구 —남자 고등학생 자료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7) : 387-421, 2013

      22 Hollingworth, H. L., "The Psychology of the Audience" American Book Company 1935

      23 Lucas, S., "The Art of Public Speaking" McGraw-Hill 2004

      24 Jaffe, C., "Public Speaking : Concepts and Skills for a Diverse Society" Thomson Wadsworth 2007

      25 서수현, "PAIR 전략을 활용한 독자 고려 교육" 국어교육학회 (35) : 271-299, 2009

      26 Perelman, Ch., "La Nouvelle Rhétorique: Traité de L'argumentation"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58

      27 Hays, J. N., "Constructing Rhetorical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peech Research ->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4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