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전의 정치학 = A Study on the Politics of a Canon : With a focus on the selection and exclusion of poems in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6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그동안 국어교과서에 실린 시들의 기원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제시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앞의 분석을 토대로 바람직한 정전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미군정기 이후 1차 교육과정기와 2차 교육과정기를 거치면서 현대시 정전의 구조가 완성되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정전의 구조가 순수문학과 국가주의가 동거 혹은 공모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3장에서는 현재의 국어교과서가 젠더적 차원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계급적 차원에서 노동 계급에 대한 지배 계급의 억압을, 미학적 차원에서 형식적 급진주의에 대한 형식적 보수주의의 배제를 교묘하게 은폐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현행 검인정 교과서 체제에서 발행된 교과서 역시 과거의 관행을 여전히 답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전은 과거의 문학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이론이 형성되거나 새로운 문학작품이 미학적 혁신을 동반할 때 언제든지 새롭게 재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정전은 고정된 실체라기보다는 움직이는 미완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전은 지배이데올로기를 실천하는 강력한 매개체로 이용될 수 있는 동시에 지배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정전은 지배와 해방이라는 양 극단 모두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제 우리 사회도 정전을 어떻게 지배의 수단이 아닌 해방의 수단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진지하게 성찰하고 모색할 할 중요한 시점에 와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그동안 국어교과서에 실린 시들의 기원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제시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앞의 분석을 토대로 바람직...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그동안 국어교과서에 실린 시들의 기원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제시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앞의 분석을 토대로 바람직한 정전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미군정기 이후 1차 교육과정기와 2차 교육과정기를 거치면서 현대시 정전의 구조가 완성되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정전의 구조가 순수문학과 국가주의가 동거 혹은 공모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3장에서는 현재의 국어교과서가 젠더적 차원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계급적 차원에서 노동 계급에 대한 지배 계급의 억압을, 미학적 차원에서 형식적 급진주의에 대한 형식적 보수주의의 배제를 교묘하게 은폐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현행 검인정 교과서 체제에서 발행된 교과서 역시 과거의 관행을 여전히 답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전은 과거의 문학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이론이 형성되거나 새로운 문학작품이 미학적 혁신을 동반할 때 언제든지 새롭게 재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정전은 고정된 실체라기보다는 움직이는 미완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전은 지배이데올로기를 실천하는 강력한 매개체로 이용될 수 있는 동시에 지배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정전은 지배와 해방이라는 양 극단 모두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제 우리 사회도 정전을 어떻게 지배의 수단이 아닌 해방의 수단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진지하게 성찰하고 모색할 할 중요한 시점에 와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pronged: first, it aimed to present texts that were the origins of the po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critically analyze them; and secondly, it intended to search for ways to organize a right can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those purposes, Chapter 2 demonstrated that the canon of modern poetry was completed in structur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ational Curriculum aft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and that the canon structure proceeded in the form of pure literature and nationalism cohabiting or plotting with each other. Chapter 3 revealed that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cleverly covered up male dominance over female in terms of gender, the oppression of the working class by the ruling class in terms of social class, and the exclusion of formal radicalism by formal conservatism in terms of aesthetics. It was because th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current authorized textbooks system continued to follow the old practice.
      A canon can always be reorganized anew when a new theory is formed to interpret literary works from the past or new literary works are accompanied by an aesthetic reform. In that sense, a canon is an incomplete, moving system rather than a fixed entity. It can also be used as a powerful medium to practice the dominant ideology and, at the same time, as a means to resist against the dominant ideology. That is, a canon can be utilized as a means by two extremes of dominance and liberation. Given those aspects, the Korean society has reached a critical point where it should seriously reflect upon and contemplate how to make use of a canon as a means of liberation instead of dominance.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pronged: first, it aimed to present texts that were the origins of the po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critically analyze them; and secondly, it intended to search for ways to organize a right canon based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pronged: first, it aimed to present texts that were the origins of the po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critically analyze them; and secondly, it intended to search for ways to organize a right can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those purposes, Chapter 2 demonstrated that the canon of modern poetry was completed in structur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ational Curriculum aft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and that the canon structure proceeded in the form of pure literature and nationalism cohabiting or plotting with each other. Chapter 3 revealed that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cleverly covered up male dominance over female in terms of gender, the oppression of the working class by the ruling class in terms of social class, and the exclusion of formal radicalism by formal conservatism in terms of aesthetics. It was because th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current authorized textbooks system continued to follow the old practice.
      A canon can always be reorganized anew when a new theory is formed to interpret literary works from the past or new literary works are accompanied by an aesthetic reform. In that sense, a canon is an incomplete, moving system rather than a fixed entity. It can also be used as a powerful medium to practice the dominant ideology and, at the same time, as a means to resist against the dominant ideology. That is, a canon can be utilized as a means by two extremes of dominance and liberation. Given those aspects, the Korean society has reached a critical point where it should seriously reflect upon and contemplate how to make use of a canon as a means of liberation instead of domin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나라 만들기와 정전의 확립
      • Ⅲ. 현 중등교과서의 현대시 수록 현황과 분석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나라 만들기와 정전의 확립
      • Ⅲ. 현 중등교과서의 현대시 수록 현황과 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