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IS・AI 기반의 국공립어린이집 설치를 위한 선정 평가 방법 = Selection and Evaluation Method for GIS・AI based Public Daycare Centers Instal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68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이 부족한 지역을 도출하고, 설치가 적합한 위치를 선정하여 실질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이 필요한 지역에 지원하고자 한다. 보행 접근이 가능한 1차 역세권 250m 단위로 GIS 분석을 통해 기존 국공립어린이집 평가하였고, AI 머신러닝인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활용하여 국공립어린이집이 필요한 추가적인 위치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화전동, 효자동, 삼송동, 성사2동, 행주동은 유아인구 대비 국공립어린이집이 부족한 지역으로서 추가 선정이 필요하며 대덕동, 행신1동은 수용인구수, 어린이집수의 위치를 고려했을 때 기존 어린이집을 리모델링하여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설치해야 한다. 본 연구의 국공립어린이집 평가 및 선정에 대한 분석은 국정과제 48-3의 2022년 국공립어린이집 이용 아동 40%, 2025년 50% 증가를 위한 선행 연구 모델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이 부족한 지역을 도출하고, 설치가 적합한 위치를 선정하여 실질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이 필요한 지역에 지원하고자 한다. 보행 접근이 가능한 1차 역세권 25...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이 부족한 지역을 도출하고, 설치가 적합한 위치를 선정하여 실질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이 필요한 지역에 지원하고자 한다. 보행 접근이 가능한 1차 역세권 250m 단위로 GIS 분석을 통해 기존 국공립어린이집 평가하였고, AI 머신러닝인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활용하여 국공립어린이집이 필요한 추가적인 위치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화전동, 효자동, 삼송동, 성사2동, 행주동은 유아인구 대비 국공립어린이집이 부족한 지역으로서 추가 선정이 필요하며 대덕동, 행신1동은 수용인구수, 어린이집수의 위치를 고려했을 때 기존 어린이집을 리모델링하여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설치해야 한다. 본 연구의 국공립어린이집 평가 및 선정에 대한 분석은 국정과제 48-3의 2022년 국공립어린이집 이용 아동 40%, 2025년 50% 증가를 위한 선행 연구 모델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draw out spots where the number of public daycare canters are insufficient, and selects proper areas that need public daycare centers. The existing public daycare centers were evaluated by GIS and additionally selected by AI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study, Deokyang-gu, Goyang-si, Gyeonggi-do have a shortage of public daycare centers compared to the infant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remodel the existing daycare centers and install additional public daycare centers. This analysis of public daycare centers can be used in the expansion project which is named national task 48-3. It targets for 40% increase of public daycare centers by 2022 and 50% by 2025.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s to draw out spots where the number of public daycare canters are insufficient, and selects proper areas that need public daycare centers. The existing public daycare centers were evaluated by GIS and additionally selected by AI mach...

      This study intends to draw out spots where the number of public daycare canters are insufficient, and selects proper areas that need public daycare centers. The existing public daycare centers were evaluated by GIS and additionally selected by AI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study, Deokyang-gu, Goyang-si, Gyeonggi-do have a shortage of public daycare centers compared to the infant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remodel the existing daycare centers and install additional public daycare centers. This analysis of public daycare centers can be used in the expansion project which is named national task 48-3. It targets for 40% increase of public daycare centers by 2022 and 50% by 202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제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공간정보를 활용한 주민생활서비스 접근성 연구" 2017

      2 보건복지부,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2017

      3 강현모, "시계열 군집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골목상권 성장요인 연구" 한국측량학회 37 (37): 535-543, 2019

      4 고양시, "스마트 도시 중·장기계획(안)" 2018

      5 김예술, "서울 공공자전거 신규 대여소를 위한 수요량 예측 분석" 한국통계학회 33 (33): 739-751, 2020

      6 김은정, "보육시설의 지역별 공급 현황 및 정책과제" 215 : 59-67, 2014

      7 안재성, "벡터 타일 지도를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웹 지도 서비스 제공 방안에 관한 연구: 수치 해도 활용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54 (54): 491-503, 2020

      8 이인지, "머신러닝을 활용한 지역축제 방문객 수 예측모형 개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9 (29): 35-52, 2020

      9 홍정의,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을 통한 주택 대량평가모형 연구" 한국부동산원 7 (7): 1-28, 2021

      10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1 이제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공간정보를 활용한 주민생활서비스 접근성 연구" 2017

      2 보건복지부,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 2017

      3 강현모, "시계열 군집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골목상권 성장요인 연구" 한국측량학회 37 (37): 535-543, 2019

      4 고양시, "스마트 도시 중·장기계획(안)" 2018

      5 김예술, "서울 공공자전거 신규 대여소를 위한 수요량 예측 분석" 한국통계학회 33 (33): 739-751, 2020

      6 김은정, "보육시설의 지역별 공급 현황 및 정책과제" 215 : 59-67, 2014

      7 안재성, "벡터 타일 지도를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웹 지도 서비스 제공 방안에 관한 연구: 수치 해도 활용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54 (54): 491-503, 2020

      8 이인지, "머신러닝을 활용한 지역축제 방문객 수 예측모형 개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9 (29): 35-52, 2020

      9 홍정의,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을 통한 주택 대량평가모형 연구" 한국부동산원 7 (7): 1-28, 2021

      10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

      11 영등포구, "국공립어린이집 전체 40%로 확충"

      12 구자용, "공간정보 빅 데이터의 지도화와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지역의 트윗 데이터를 사례로 -" 국토지리학회 49 (49): 349-360, 2015

      13 김미정, "경기도 시군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을위한 정책 제언"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8

      14 김진영, "GIS를 활용한 천안시 국공립어린이집 최적지 분석에 관한 연구" 65-66,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