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문익,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에 대한 설명인자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24 (24): 17-27, 2021
2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 2018: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2018
3 박시내, "한국사회의 혼인·출산 특성과이행" 통계청 통계개발원 2021
4 최재헌, "한국 축소도시의 지역적 특성과 도시정책의 방향"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1-13, 2020
5 최재헌, "한국 도시 성장의 변동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89-102, 2010
6 이성우, "출산과 지역균형발전" 2021
7 增田寬也,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붕괴하는 도시와지방의 생존전략" 와이즈베리 2015
8 임석회,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 54 (54): 365-386, 2019
9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개마고원 2017
10 박승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1 고문익,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에 대한 설명인자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24 (24): 17-27, 2021
2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 2018: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2018
3 박시내, "한국사회의 혼인·출산 특성과이행" 통계청 통계개발원 2021
4 최재헌, "한국 축소도시의 지역적 특성과 도시정책의 방향"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1-13, 2020
5 최재헌, "한국 도시 성장의 변동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89-102, 2010
6 이성우, "출산과 지역균형발전" 2021
7 增田寬也,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붕괴하는 도시와지방의 생존전략" 와이즈베리 2015
8 임석회,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 54 (54): 365-386, 2019
9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개마고원 2017
10 박승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11 구양미, "저출산, 인구감소의 지역적 불균형" 2021
12 구형수,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6
13 이원호, "일자리의 지리와 소득 결정의 지역성 연구 : 지방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638-651, 2017
14 통계청, "인구총조사, 국내인구이동통계, 주택매매가격지수, 초중고사교육비조사"
15 장대익,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는 왜 아이들이 사라지는가?" 2021
16 박진경,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유형별 지역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17 이정록, "인구과소지역의 인구이동과 인구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남 고흥군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26 (26): 172-184, 2020
18 전경구, "인구감소지역의 스마트 쇠퇴를 위한 축소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28, 2016
19 임형백, "인구감소시대에 축소도시를 활용한 도시계획"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87-114, 2017
20 임석회, "인구감소도시의 유형과 지리적 특성 분석" 국토지리학회 52 (52): 65-84, 2018
21 안정근,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따른 지방 중소도시 발전방안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13 (13): 323-334, 2015
22 권상철, "우리나라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시기별 유출지역 특성과이주자 선별성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571-584, 2005
23 정준호, "연령, 시간, 코호트효과를 고려한 소득 불평등: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 23 (23): 166-181, 2020
24 구동회, "도시발전단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 국토지리학회 52 (52): 481-497, 2018
25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I"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19
26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27 정수열,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와 근린주거환경 격차: 서울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9 (19): 729-742, 2016
28 한주성, "과소지역의 한계취락 출현과 지역재생 ‐ 경상북도 의성군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 53 (53): 327-346, 2018
29 Beauregard, R. A., "Urban population loss in historical perspective : United States 1820-2000" 41 : 514-528, 2009
30 Hollander, J. B., "The bounds of smart decline : a foundational theory for planning shrinking cities" 21 (21): 349-367, 2011
31 Groβmann, K., "Shrinking cities : Notes for the future research agenda" 35 : 221-225, 2013
32 Kondo, K., "Does agglomeration discourage fertility? evidence from the Japanese General Social Survey 2000-2010" 19 : 677-704, 2019
33 Schlappa, H., "Co-producing the cities of tomorrow : fostering collaborative action to tackle decline in Europe’s shrinking cities" 24 (24): 162-174,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