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구 변화와 도시 쇠퇴의 지역 불균형: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시사점 = Regional Disparities in Population Change and Urban Decline: Implications for the Low Fertility and Disappearing Region Iss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6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implications for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disappearing region issues by analyzing the regional disparities in population change and urban decline. Population changes of 162 cities and coun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by categorizing into high growth, low growth, and absolute decline in three peri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Capital region and the continuous decrease of the non-Capital region were found, and the growth unipolarization from Seoul to Sejong was especially strengthened. In non-Capital region, the decline of large cities as well as rural area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s progressing.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disappearing region issues,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childbirth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make them live well in non-Capital regions at the same time. This requires closing regional disparities in key life-cycle events that affect the decisions to bear children in younger generations, such as marriage, job and income, housing stability, educational and cultural dispariti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implications for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disappearing region issues by analyzing the regional disparities in population change and urban decline. Population changes of 162 cities and counties were classified i...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implications for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disappearing region issues by analyzing the regional disparities in population change and urban decline. Population changes of 162 cities and coun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by categorizing into high growth, low growth, and absolute decline in three peri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Capital region and the continuous decrease of the non-Capital region were found, and the growth unipolarization from Seoul to Sejong was especially strengthened. In non-Capital region, the decline of large cities as well as rural area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s progressing.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disappearing region issues,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childbirth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make them live well in non-Capital regions at the same time. This requires closing regional disparities in key life-cycle events that affect the decisions to bear children in younger generations, such as marriage, job and income, housing stability, educational and cultural dispar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인구 변화와 도시 쇠퇴의 지역 불균형 양상을 분석하여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1970년대 이후 인구 변화를 162개 시군을 대상으로 시기별로 고성장, 저성장, 절대감소로 구분하고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의 지속적 성장과 비수도권의 지속적 감소가 나타났고, 특히 서울~세종에 이르는 성장의 일극화가 강화되었다. 비수도권에서는 농촌지역과 중소도시 뿐 아니라 대도시의 쇠퇴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심각한 문제이다.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의 출산 지원과 동시에 이들이 지방에서 거주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혼인, 일자리와 소득, 주거 안정성, 교육 및 문화적 격차 등 출산에 영향을 주는 생애주기 주요 사건에서 지역 격차를 완화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인구 변화와 도시 쇠퇴의 지역 불균형 양상을 분석하여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1970년대 이후 인구 변화를 162개 시군을 대상으...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인구 변화와 도시 쇠퇴의 지역 불균형 양상을 분석하여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1970년대 이후 인구 변화를 162개 시군을 대상으로 시기별로 고성장, 저성장, 절대감소로 구분하고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의 지속적 성장과 비수도권의 지속적 감소가 나타났고, 특히 서울~세종에 이르는 성장의 일극화가 강화되었다. 비수도권에서는 농촌지역과 중소도시 뿐 아니라 대도시의 쇠퇴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심각한 문제이다. 저출산과 지방소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의 출산 지원과 동시에 이들이 지방에서 거주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혼인, 일자리와 소득, 주거 안정성, 교육 및 문화적 격차 등 출산에 영향을 주는 생애주기 주요 사건에서 지역 격차를 완화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문익,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에 대한 설명인자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24 (24): 17-27, 2021

      2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 2018: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2018

      3 박시내, "한국사회의 혼인·출산 특성과이행" 통계청 통계개발원 2021

      4 최재헌, "한국 축소도시의 지역적 특성과 도시정책의 방향"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1-13, 2020

      5 최재헌, "한국 도시 성장의 변동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89-102, 2010

      6 이성우, "출산과 지역균형발전" 2021

      7 增田寬也,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붕괴하는 도시와지방의 생존전략" 와이즈베리 2015

      8 임석회,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 54 (54): 365-386, 2019

      9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개마고원 2017

      10 박승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1 고문익,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에 대한 설명인자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24 (24): 17-27, 2021

      2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 2018: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2018

      3 박시내, "한국사회의 혼인·출산 특성과이행" 통계청 통계개발원 2021

      4 최재헌, "한국 축소도시의 지역적 특성과 도시정책의 방향" 한국도시지리학회 23 (23): 1-13, 2020

      5 최재헌, "한국 도시 성장의 변동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89-102, 2010

      6 이성우, "출산과 지역균형발전" 2021

      7 增田寬也,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붕괴하는 도시와지방의 생존전략" 와이즈베리 2015

      8 임석회,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 54 (54): 365-386, 2019

      9 마강래, "지방도시 살생부: ‘압축도시’만이 살길이다" 개마고원 2017

      10 박승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소멸지역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11 구양미, "저출산, 인구감소의 지역적 불균형" 2021

      12 구형수,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6

      13 이원호, "일자리의 지리와 소득 결정의 지역성 연구 : 지방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638-651, 2017

      14 통계청, "인구총조사, 국내인구이동통계, 주택매매가격지수, 초중고사교육비조사"

      15 장대익,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는 왜 아이들이 사라지는가?" 2021

      16 박진경,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유형별 지역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17 이정록, "인구과소지역의 인구이동과 인구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남 고흥군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26 (26): 172-184, 2020

      18 전경구, "인구감소지역의 스마트 쇠퇴를 위한 축소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8 (28): 1-28, 2016

      19 임형백, "인구감소시대에 축소도시를 활용한 도시계획"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87-114, 2017

      20 임석회, "인구감소도시의 유형과 지리적 특성 분석" 국토지리학회 52 (52): 65-84, 2018

      21 안정근,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따른 지방 중소도시 발전방안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13 (13): 323-334, 2015

      22 권상철, "우리나라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시기별 유출지역 특성과이주자 선별성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571-584, 2005

      23 정준호, "연령, 시간, 코호트효과를 고려한 소득 불평등: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 23 (23): 166-181, 2020

      24 구동회, "도시발전단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 국토지리학회 52 (52): 481-497, 2018

      25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I"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19

      26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27 정수열,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와 근린주거환경 격차: 서울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9 (19): 729-742, 2016

      28 한주성, "과소지역의 한계취락 출현과 지역재생 ‐ 경상북도 의성군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 53 (53): 327-346, 2018

      29 Beauregard, R. A., "Urban population loss in historical perspective : United States 1820-2000" 41 : 514-528, 2009

      30 Hollander, J. B., "The bounds of smart decline : a foundational theory for planning shrinking cities" 21 (21): 349-367, 2011

      31 Groβmann, K., "Shrinking cities : Notes for the future research agenda" 35 : 221-225, 2013

      32 Kondo, K., "Does agglomeration discourage fertility? evidence from the Japanese General Social Survey 2000-2010" 19 : 677-704, 2019

      33 Schlappa, H., "Co-producing the cities of tomorrow : fostering collaborative action to tackle decline in Europe’s shrinking cities" 24 (24): 162-17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