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비판적 능력을 습득해 가는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설 테스를 텍스트로 선정하여 수업을 하면서 텍스트에 나타난 외모, 성, 계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63472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2013. 2
2013
한국어
서울
iii, 80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최석무
참고문헌(장 73-76)과 부록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비판적 능력을 습득해 가는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설 테스를 텍스트로 선정하여 수업을 하면서 텍스트에 나타난 외모, 성, 계급...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비판적 능력을 습득해 가는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설 테스를 텍스트로 선정하여 수업을 하면서 텍스트에 나타난 외모, 성, 계급의 세가지 측면에서 어떤 편견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반응은 어떠한지, 그리고 수업에서 크리티컬 리터러시적 요소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개작 영화 테스를 감상하면서 텍스트 수업에서 습득한 비판적 사고를 영화 감상에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능력과 영미문학에 대한 흥미도가 얼마나 향상되었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재로는 Oxford University Press 출판사에서 나온 테스를 사용하였다. 실제 활동은 읽기전, 읽기중, 읽기후의 세가지 활동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자유로운 대화와 의사표현 등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기 때문에 가급적 수업을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였다. 읽기 전 활동으로는 책의 겉표지와 영화의 포스터 만으로 학생들이 느낀 점을 파악하여 자유로이 토론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외모가 초라하면 하층계급이고 우아하면 상류계급일 것이라는 편견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음을 자각하였다. 읽기 중 활동에서는 외모, 성, 계급에 대한 편견들이 무엇인지 알아보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해보았다.
외모에 대한 편견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업진행은 문제제기식 질문을 하고 학생들이 답을 하면 그것에 대해 강의가 아닌 다시 질문을 던지면서 대화식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외모지상주의의 사회적 관점을 자각하였고 이러한 편견이 사람들의 정체성의 파악에 얼마나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성에 관한 편견을 알아보기 위해서 소그룹 토론, 스위칭, 연결 줄기와 같은 다양한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이상적인 여성상에 대한 편견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여성의 순결과 여성의 사회적인 차별에 대하여 분명하게 자각하였다.
마지막으로 나머지 이야기, 대안적 텍스트 작성해보기와 같은 활동을 통해 계급에 관한 편견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계급 중시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높은 계급을 지닌 남주인공과 가난한 여주인공으로 이루어진 설정이 가져올 수 있는 편견에 대해서 비판했다. 읽기 후 활동에서는 개작 영화를 보면서 소설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영화는 상업적이고 그 당시의 순결관이나 계급적 편견보다 남녀간의 감정과 갈등에 더 치중하고 있는 것임을 발견했다.
설문조사에서는 크리티컬 리터러시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이 영미문학 수업에 관한 흥미가 더 높아졌고 비판적 사고능력과 영어실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다는데 긍정적이었다. 실제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학생들이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스스로 의문이 생겨서 질문하는 과정들을 보면서 학생들이 비판적 의식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