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oT 시대 기업 내부 네트워크의 가시성 확보를 위한 단말 식별 시스템 설계 =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for Corporate Internal Network Visibility in IoT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93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for network visibility that can maintain the secure internal net work environment in the IoT era. Recently, the area of enterprise network is getting huge and more complicated. Not only desktops and smartphones but also business pads, barcode scanners, APs, Video Surveillance, digital doors, security device s, and lots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re rapidly pouring into the business network, and there are highly risk of security threa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that includes the process and module -specific functions to identify the exploding device in the IoT era.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in-depth visibility of the devices and their own vulnerabilities to the IT manager in company. These information help to mitigate the risk of the pot ential cyber security threats in the internal network and offer the unified security management against the business risks.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for network visibility that can maintain the secure internal net work environment in the IoT era. Recently, the area of enterprise network is getting huge and more complicated. Not only desktop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for network visibility that can maintain the secure internal net work environment in the IoT era. Recently, the area of enterprise network is getting huge and more complicated. Not only desktops and smartphones but also business pads, barcode scanners, APs, Video Surveillance, digital doors, security device s, and lots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re rapidly pouring into the business network, and there are highly risk of security threa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that includes the process and module -specific functions to identify the exploding device in the IoT era.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in-depth visibility of the devices and their own vulnerabilities to the IT manager in company. These information help to mitigate the risk of the pot ential cyber security threats in the internal network and offer the unified security management against the business ris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안전한 기업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네트워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기업 네트워크의 영역은 점점 더 넓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더 이상 데스크톱과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업무용 패드, 바코드스캐너, AP, Video Surveillance, 디지털 도어, 방범장치, 기타 IoT 장비 등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안위협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시대의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단말 을 식별할 수 있는 프로세스 및 모듈별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업의 보안 관리 자에게 다양한 단말의 정보 및 취약점 등을 제공하여 사내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사이버 위협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위협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안전한 기업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네트워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기업 네트워크의 영역은...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안전한 기업 내부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네트워크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기업 네트워크의 영역은 점점 더 넓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더 이상 데스크톱과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업무용 패드, 바코드스캐너, AP, Video Surveillance, 디지털 도어, 방범장치, 기타 IoT 장비 등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안위협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시대의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단말 을 식별할 수 있는 프로세스 및 모듈별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식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업의 보안 관리 자에게 다양한 단말의 정보 및 취약점 등을 제공하여 사내 네트워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사이버 위협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위협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슬기, "사물인터넷 기기 보안평가를 위한 기술요소 기반의 모델 설계 및 체크리스트 적용" 한국융합보안학회 18 (18): 49-58, 2018

      2 전정훈, "사물 인터넷의 보안 위협 요인들에 대한 분석" 한국융합보안학회 15 (15): 47-53, 2015

      3 최관, "기업의 산업기밀정보 유출예방에 관한 연구: 사물인터넷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융합보안학회 17 (17): 101-110, 2017

      4 Trend Micro, "Trend Micro Research Finds Major Lack of IoT Security Awareness"

      5 Atzori, L., "The internet of things: A survey" 54 (54): 2787-2805, 2010

      6 Zhou, L., "Multimedia traffic security architecture for the internet of things" 25 (25): 35-40, 2011

      7 Kim, H., "Modified cyber kill chain model for multimedia service environments" 78 (78): 3153-3170, 2019

      8 Cox, G, "Managing the risks of shadow IoT" 14-17, 2019

      9 Gartner, "Gartner Says the Internet of Things Installed Base Will Grow to 26 Billion Units By 2020"

      10 Disterer, G., "BYOD bring your own device" 9 : 43-53, 2013

      1 한슬기, "사물인터넷 기기 보안평가를 위한 기술요소 기반의 모델 설계 및 체크리스트 적용" 한국융합보안학회 18 (18): 49-58, 2018

      2 전정훈, "사물 인터넷의 보안 위협 요인들에 대한 분석" 한국융합보안학회 15 (15): 47-53, 2015

      3 최관, "기업의 산업기밀정보 유출예방에 관한 연구: 사물인터넷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융합보안학회 17 (17): 101-110, 2017

      4 Trend Micro, "Trend Micro Research Finds Major Lack of IoT Security Awareness"

      5 Atzori, L., "The internet of things: A survey" 54 (54): 2787-2805, 2010

      6 Zhou, L., "Multimedia traffic security architecture for the internet of things" 25 (25): 35-40, 2011

      7 Kim, H., "Modified cyber kill chain model for multimedia service environments" 78 (78): 3153-3170, 2019

      8 Cox, G, "Managing the risks of shadow IoT" 14-17, 2019

      9 Gartner, "Gartner Says the Internet of Things Installed Base Will Grow to 26 Billion Units By 2020"

      10 Disterer, G., "BYOD bring your own device" 9 : 43-53, 2013

      11 Park, W., "An exploratory research on advanced smart media security design for sustainable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 75 (75): 6059-6070, 2016

      12 Olalere, M., "A review of bring your own device on security issues" 1-11, 2015

      13 Shaji, R. S., "A methodological review on attack and defense strategies in cyber warfare" 25 (25): 3323-3334,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 한국융합보안학회
      영문명 : Korea Information Assurance Society -> Korea Convergence Security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2-07-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안논문지 -> 융합보안 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Information Assurance -> Journal of convergence security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4-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1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증논문지 -> 정보*보안논문지 KCI등재후보
      2006-1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증논문지 -> 정보*보안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Information Assurance -> Journal of The Information and Secur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51 0.14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