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테마환경과 옥외광고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e Environments and Outdoor Adverti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88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is contributed to changing our social and culture environment. The high-speed development of economy and technology frees us from their simple “Work”. Also, our tasks and life environment require a new life pattern. Therefore, there are some projects in actively progress to provide complex themed environments within a city that will provide people with continuous fresh experiences and stimulate imagination by using a variety of elements from city life environment. One of the choices to accomplish this project is Outdoor Advertising. As the outdoor advertising in a themed environment takes advantage of delivering the image of sculptures as well as achieving a main goal of delivering information contai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a themed environment and outdoor environment and to arrange a background for drawing conditions for outdoor advertising purpose in order to create a themed environments through the abstracted design elements. Therefore, through those processes, this study is to focus on how figurative meanings and elements of outdoor advertising have an impact on the creation of a themed environment and how they play a role in it.
      번역하기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is contributed to changing our social and culture environment. The high-speed development of economy and technology frees us from their simple “Work”. Also, our tasks and life environment require a new li...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is contributed to changing our social and culture environment. The high-speed development of economy and technology frees us from their simple “Work”. Also, our tasks and life environment require a new life pattern. Therefore, there are some projects in actively progress to provide complex themed environments within a city that will provide people with continuous fresh experiences and stimulate imagination by using a variety of elements from city life environment. One of the choices to accomplish this project is Outdoor Advertising. As the outdoor advertising in a themed environment takes advantage of delivering the image of sculptures as well as achieving a main goal of delivering information contai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a themed environment and outdoor environment and to arrange a background for drawing conditions for outdoor advertising purpose in order to create a themed environments through the abstracted design elements. Therefore, through those processes, this study is to focus on how figurative meanings and elements of outdoor advertising have an impact on the creation of a themed environment and how they play a role in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기술과 정보문화의 발달은 사회, 문화적 환경이 급변하는데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람(사용자, 이용자)들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단순한 ‘일’로부터 해방되고 있으며 업무나 생활환경에서 새로운 차원의 생활 패턴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환경의 배경에서는 도시의 생활환경에 다양한 소재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또는 비일상적 경험을 제공하고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도심복합 테마환경 제공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동행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옥외광고물(outdoor advertising)이다. 옥외광고물은 그 주된 정보 전달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뿐 아니라 상징조형의 형태로 또한 정보커뮤니케이션 컨테이너로서 그 이미지를 전달하는 확장된 기능을 일상적 환경과 의미가 부여된(목적성이 있는) 환경에서 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첫째, 테마환경의 정의와 배경 그리고 당위성과 옥외광고물과의 상관관계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둘째, 이론적으로 체계화된 디자인 요소들을 테마환경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물의 조건들을 구조화에 대한 해석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옥외광고물의 환경차원의 의미와 조형적 요소들이 테마환경과 어떠한 역할 관계를 수행하는지에 대한 상관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번역하기

      과학기술과 정보문화의 발달은 사회, 문화적 환경이 급변하는데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람(사용자, 이용자)들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단순한 ‘일’로부터 해방...

      과학기술과 정보문화의 발달은 사회, 문화적 환경이 급변하는데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람(사용자, 이용자)들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단순한 ‘일’로부터 해방되고 있으며 업무나 생활환경에서 새로운 차원의 생활 패턴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환경의 배경에서는 도시의 생활환경에 다양한 소재를 통하여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또는 비일상적 경험을 제공하고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도심복합 테마환경 제공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동행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옥외광고물(outdoor advertising)이다. 옥외광고물은 그 주된 정보 전달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뿐 아니라 상징조형의 형태로 또한 정보커뮤니케이션 컨테이너로서 그 이미지를 전달하는 확장된 기능을 일상적 환경과 의미가 부여된(목적성이 있는) 환경에서 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첫째, 테마환경의 정의와 배경 그리고 당위성과 옥외광고물과의 상관관계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둘째, 이론적으로 체계화된 디자인 요소들을 테마환경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물의 조건들을 구조화에 대한 해석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옥외광고물의 환경차원의 의미와 조형적 요소들이 테마환경과 어떠한 역할 관계를 수행하는지에 대한 상관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화, "테마의 시대" 세진사 1996

      2 "옥외광고협회"

      3 서울특별시, "옥외광고물등 관리법규집"

      4 서범석, "옥외광고론" 나남출판 2001

      5 류승희, "옥외광고 디자인 전략" 조형사 1995

      6 "영국 옥외광고협회"

      7 신정철, "도시미관 증진을 위한 가로간판 정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2

      8 김홍련, "그래픽 문자디자인" 태학원 2000

      9 코래드광고전략연구소, "광고대사전" 나남출판 1996

      10 박돈서, "건축의 색·도시의 색" 기문당 1996

      1 이정화, "테마의 시대" 세진사 1996

      2 "옥외광고협회"

      3 서울특별시, "옥외광고물등 관리법규집"

      4 서범석, "옥외광고론" 나남출판 2001

      5 류승희, "옥외광고 디자인 전략" 조형사 1995

      6 "영국 옥외광고협회"

      7 신정철, "도시미관 증진을 위한 가로간판 정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2

      8 김홍련, "그래픽 문자디자인" 태학원 2000

      9 코래드광고전략연구소, "광고대사전" 나남출판 1996

      10 박돈서, "건축의 색·도시의 색" 기문당 1996

      11 이강일, "公共 · 환경디자인事典" HUMO 1996

      12 Rob Carter, "Typographic Design : Form and Communication" Van Nostrand Reinhold 1985

      13 Yukio Ota, "Pictogram Design" Kashiwashobo 1987

      14 미국Siebert & Ballard, "Making a Good Layout"

      15 서울특별시 도시개발공사, "DMC 디지털 미디어시티 - DIGITAL MEDIA STREET 기본계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