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왕묘(關王廟) 악장의 형성과 개찬의 의미 -정조와 고종대를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Formation and Revision of Music for Gwanwangmyo Shrine - With Emphasis on the Times of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60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 관왕묘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에 의해 수입되었다. 이후 이 제례는 한동안 관심 밖에 있다가 숙종대 부활하여 영조대에는 소사(小祀)로 지정되고 정조와 고종대에는 제례를 재정비하면서 악장을 갖게 되었다. 정조는 관왕묘를 중사(中祀)에 준하는 수준으로 올려놓았고 악장을 직접 짓기도 하였다. 기존관왕묘제에는 악장은 없었지만 숙종, 영조, 사도세자의 송시(訟詩)들과 자신이 지은 묘비명을 참고하여 악장으로 삼은 것이다. 정조의 악장은 3장으로 전대 송시들을 집대성한 것이다. <왕재곡>은 관우의 무공과 충의를, <힐향곡>은 조선과 명과의 특별한 관계와 의리를, <석가곡>은 관우를 무신(武神)으로 삼아 노래 전체에 무묘제(武廟祭) 악장으로서의 위상을 부여하였다. 애초 관우는 ‘왜적 격퇴’의 이미지로 수용되었지만 정조는 이보다 의리, 충절, 정의, 무용 등을 중심으로 관우의 초상을 삼았다. 궁극적으로 정조는 관왕묘악장을 통해 문무겸치(文武兼治) 의지와 상무(尙武) 정책을 천명함으로써 장용영을 중심으로 자신의 실질적 군사력을 강화하려 하였다. 고종은 대한제국 선포 이후 황제국에 맞게 관왕묘를 관제묘로 개편하고 악장을 개찬하였다. 이 악장에서 관우는 한나라 무인(武人)으로서의 모습은 퇴색되고그 대신 조선의 왕과 같은 이미지에 신령스러움이 더해져 천신(天神)으로 조각되었다. 이렇게 신앙의 차원으로 변모된 관제묘의 악장은 시종 국가적 차원에서 복을 갈망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고종이 이 악장을 통해 소망한 것은 일본 세력의 국내 차단이라 할 수 있다. 청일전쟁, 을미사변을 거치면서 느꼈던 일본의 성장과위협 그리고 반감 등이 작용한 것이다. 따라서 ‘왜적 격퇴’라는 관우의 초상을 빌려 일본 세력을 제압하고 천제신의 이미지로 전제국가를 건설하려 했던 것이다. 정조와 고종은 한나라 무장 관우에게서 ‘중화 존숭, 충의 가치, 실질적 무력’ 등을 악장으로 형상화하고 난국을 해결하려 한 점에서 정치문학인 악장으로서의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악장이 시대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제례악장의 권위와 실효가 반감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인물을 허황되게 포장하여 악장의 진지함과 진실성을 잃은 것은 물론 중세에 유효했던 중화 수호, 충의 등의성리학적 이념을 여전히 고수함으로써 근대적 문제와 고민을 해결할 수 없었다. 결국 정조와 고종은 막대한 국가 예산을 국가 제례에 지출하면서 강한 국가와 군주가 되지 못했으니 그들의 관왕묘제와 악장은 비효율적인 국가사업이자 실패한정책의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에 관왕묘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에 의해 수입되었다. 이후 이 제례는 한동안 관심 밖에 있다가 숙종대 부활하여 영조대에는 소사(小祀)로 지정되고 정조와 고종대에는 제례를 ...

      우리나라에 관왕묘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에 의해 수입되었다. 이후 이 제례는 한동안 관심 밖에 있다가 숙종대 부활하여 영조대에는 소사(小祀)로 지정되고 정조와 고종대에는 제례를 재정비하면서 악장을 갖게 되었다. 정조는 관왕묘를 중사(中祀)에 준하는 수준으로 올려놓았고 악장을 직접 짓기도 하였다. 기존관왕묘제에는 악장은 없었지만 숙종, 영조, 사도세자의 송시(訟詩)들과 자신이 지은 묘비명을 참고하여 악장으로 삼은 것이다. 정조의 악장은 3장으로 전대 송시들을 집대성한 것이다. <왕재곡>은 관우의 무공과 충의를, <힐향곡>은 조선과 명과의 특별한 관계와 의리를, <석가곡>은 관우를 무신(武神)으로 삼아 노래 전체에 무묘제(武廟祭) 악장으로서의 위상을 부여하였다. 애초 관우는 ‘왜적 격퇴’의 이미지로 수용되었지만 정조는 이보다 의리, 충절, 정의, 무용 등을 중심으로 관우의 초상을 삼았다. 궁극적으로 정조는 관왕묘악장을 통해 문무겸치(文武兼治) 의지와 상무(尙武) 정책을 천명함으로써 장용영을 중심으로 자신의 실질적 군사력을 강화하려 하였다. 고종은 대한제국 선포 이후 황제국에 맞게 관왕묘를 관제묘로 개편하고 악장을 개찬하였다. 이 악장에서 관우는 한나라 무인(武人)으로서의 모습은 퇴색되고그 대신 조선의 왕과 같은 이미지에 신령스러움이 더해져 천신(天神)으로 조각되었다. 이렇게 신앙의 차원으로 변모된 관제묘의 악장은 시종 국가적 차원에서 복을 갈망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고종이 이 악장을 통해 소망한 것은 일본 세력의 국내 차단이라 할 수 있다. 청일전쟁, 을미사변을 거치면서 느꼈던 일본의 성장과위협 그리고 반감 등이 작용한 것이다. 따라서 ‘왜적 격퇴’라는 관우의 초상을 빌려 일본 세력을 제압하고 천제신의 이미지로 전제국가를 건설하려 했던 것이다. 정조와 고종은 한나라 무장 관우에게서 ‘중화 존숭, 충의 가치, 실질적 무력’ 등을 악장으로 형상화하고 난국을 해결하려 한 점에서 정치문학인 악장으로서의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악장이 시대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제례악장의 권위와 실효가 반감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인물을 허황되게 포장하여 악장의 진지함과 진실성을 잃은 것은 물론 중세에 유효했던 중화 수호, 충의 등의성리학적 이념을 여전히 고수함으로써 근대적 문제와 고민을 해결할 수 없었다. 결국 정조와 고종은 막대한 국가 예산을 국가 제례에 지출하면서 강한 국가와 군주가 되지 못했으니 그들의 관왕묘제와 악장은 비효율적인 국가사업이자 실패한정책의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wanwangmyo Shrine was imported to Korea by a general from the Ming Dynas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4. This ritual did not attract attention for a while, but was revived by King Sukjong. King Yeongjo designated it as a small national ritual and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revised the ritual ceremony to create music for it. King Jeongjo heightened the class of Gwanwangmyo Shrine into a mid-sized natural ritual and composed music himself. Gwanwangmyo Ritual did not have music originally, but he referred to the odes of King Sukjong, King Yeongjo, and Prince Sado and his own monument names to compose the music. King Jeongjo’s music has three parts and is a collection of odes of previous times. <Wangjaegok> sings the military service and loyalty of Guan Yu, <Hilhyanggok> sings the special relationship and faith between Joseon and the Ming Dynasty, and <Seokgagok> sings about Guan Yu as the military god. The entire song of Seokgagok was to be performed for the Mumyoje Ceremony. Guan Yu was originally a symbol of ‘defeating the Japanese invaders,’ but King Jeongjo portrayed Guan Yu based on his faith, loyalty, justice, and military performance. Ultimately, King Jeongjo declared his dedication to ruling with both literary and military personnel and the military first policy through his music for Gwanwangmyo Shrine and intended to strengthen his military powers with Jang Yong Young. King Gojong revised Gwanwangmyo into Gwanjemyo and re-compiled the music after he declared the foundation of Daehan Empire. In his music, Guan Yu was portrayed not so much as a military figure, but as a deity with holiness added to the image of a king. The music for Gwanjemyo was heightened to the level of a religion and focused on wishing for national prosperity. King Gojong wished to keep the Japanese invaders out through this music. He was affected by the growth and threats of Japan and his antipathy against Japan through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the murder of Queen Myeongseong. Therefore, he intended to borrow from Guan Yu’s symbol to ‘defeat the Japanese invaders’ and build an autocratic state with the image of a god. It was significant that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adopted the ``devotion to China, value of loyalty, and true military power`` of General Guan Yu for the political music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hardships. However, the music did not consider the shift in time and rather lessened the authority and effect of ritual music. They extravagantly portrayed a character to lose the seriousness and truthfulness of music and bound to the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with devotion to China or loyalty that was only valid in the medieval times. For these reasons, they failed to overcome the modern issues. In the end,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poured enormous national budget into the national rituals and failed to build a powerful kingdom. Their Gwangwangmyo Ritual and music represent an inefficient national project and a failed policy.
      번역하기

      Gwanwangmyo Shrine was imported to Korea by a general from the Ming Dynas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4. This ritual did not attract attention for a while, but was revived by King Sukjong. King Yeongjo designated it as a small national ritual...

      Gwanwangmyo Shrine was imported to Korea by a general from the Ming Dynas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4. This ritual did not attract attention for a while, but was revived by King Sukjong. King Yeongjo designated it as a small national ritual and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revised the ritual ceremony to create music for it. King Jeongjo heightened the class of Gwanwangmyo Shrine into a mid-sized natural ritual and composed music himself. Gwanwangmyo Ritual did not have music originally, but he referred to the odes of King Sukjong, King Yeongjo, and Prince Sado and his own monument names to compose the music. King Jeongjo’s music has three parts and is a collection of odes of previous times. <Wangjaegok> sings the military service and loyalty of Guan Yu, <Hilhyanggok> sings the special relationship and faith between Joseon and the Ming Dynasty, and <Seokgagok> sings about Guan Yu as the military god. The entire song of Seokgagok was to be performed for the Mumyoje Ceremony. Guan Yu was originally a symbol of ‘defeating the Japanese invaders,’ but King Jeongjo portrayed Guan Yu based on his faith, loyalty, justice, and military performance. Ultimately, King Jeongjo declared his dedication to ruling with both literary and military personnel and the military first policy through his music for Gwanwangmyo Shrine and intended to strengthen his military powers with Jang Yong Young. King Gojong revised Gwanwangmyo into Gwanjemyo and re-compiled the music after he declared the foundation of Daehan Empire. In his music, Guan Yu was portrayed not so much as a military figure, but as a deity with holiness added to the image of a king. The music for Gwanjemyo was heightened to the level of a religion and focused on wishing for national prosperity. King Gojong wished to keep the Japanese invaders out through this music. He was affected by the growth and threats of Japan and his antipathy against Japan through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the murder of Queen Myeongseong. Therefore, he intended to borrow from Guan Yu’s symbol to ‘defeat the Japanese invaders’ and build an autocratic state with the image of a god. It was significant that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adopted the ``devotion to China, value of loyalty, and true military power`` of General Guan Yu for the political music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hardships. However, the music did not consider the shift in time and rather lessened the authority and effect of ritual music. They extravagantly portrayed a character to lose the seriousness and truthfulness of music and bound to the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with devotion to China or loyalty that was only valid in the medieval times. For these reasons, they failed to overcome the modern issues. In the end,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poured enormous national budget into the national rituals and failed to build a powerful kingdom. Their Gwangwangmyo Ritual and music represent an inefficient national project and a failed poli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재전서(弘齋全書)"

      2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3 정옥자,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一志社 1993

      4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5 이유나, "조선 후기 關羽신앙 연구" 한국동학학회 (20) : 1-16, 2006

      6 정옥자, "정조와 정조대 제반정책" 서울학연구소 (51) : 1-24, 2013

      7 "악장가사(樂章歌詞)"

      8 김명준, "악장가사 연구" 다운샘 2004

      9 "대한예전(大韓禮典)"

      10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續五禮儀序例)"

      1 "홍재전서(弘齋全書)"

      2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3 정옥자,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一志社 1993

      4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5 이유나, "조선 후기 關羽신앙 연구" 한국동학학회 (20) : 1-16, 2006

      6 정옥자, "정조와 정조대 제반정책" 서울학연구소 (51) : 1-24, 2013

      7 "악장가사(樂章歌詞)"

      8 김명준, "악장가사 연구" 다운샘 2004

      9 "대한예전(大韓禮典)"

      10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續五禮儀序例)"

      11 심승구,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 한국공연문화학회 (24) : 265-308, 2012

      12 박가영, "관왕묘 의례 복식의 변천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한국복식학회 62 (62): 32-45, 2012

      13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8

      14 "경모궁관왕묘비(景慕宮關王廟碑)"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15 송지원, "音樂學論叢" 韶巖權五聖博士華甲紀念會 論文集刊行委員會 391-420, 2000

      16 韓㳓劤, "韓國通史" 乙酉文化史 1987

      17 홍윤기, "東廟의 明 使臣이 지은 懸板에 대한 考證과 그 외교적 문화적 의미에 관하여" 중국학연구소 (49) : 103-128, 2015

      18 김정임, "朝鮮時代 <日月五峯圖> 役割의 擴散과 展開 -關王廟를 中心으로" 한국문화사학회 (43) : 87-113, 2015

      19 한종수, "朝鮮後期 肅宗代 關王廟 致祭의 性格" 한국역사민속학회 (21) : 73-106, 2005

      20 이성형, "朝鮮 知識人의 詩文에 投影된 ‘關王廟’ -明淸 交替期를 中心으로-" 근역한문학회 38 : 257-289, 2014

      21 이성형, "對明義理論의 推移와 朝鮮 關王廟-宣祖~肅宗 年間을 中心으로-" 한국한문학회 (53) : 353-390, 2014

      22 김명자, "安東의 關王廟를 통해 본 지역사회의 동향" 한국민속학회 42 : 75-10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6 1.16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2 1.77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