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431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효과(인지영역, 정의적 영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효과(인지영역, 정의적 영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구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논문 49편을 대상으로 총 9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효과크기에 대한 변인 간 차이는 ANOVA검정을 적용하였으며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 효과의 향상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81로 큰 편이었고, U3값이 79.16%를 나타내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29.16%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은 사회, 과학, 실과 등 비교적 전 교과영역에서 학습효과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 중등, 고등, 성인 교육에서 비교적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면대면 학습환경 뿐만아니라 웹기반, 불랜디드 학습환경에서도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대상 인원과 관련하여 문제중심학습은 학습대상의 인원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의 종속변인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는 인지적 효과가 .69, 정의적 효과가 1.10로 나타나 문제중심학습은 인지적 학습효과 및 정의적 학습효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양적연구만을 대상으로 분석되었지만 보다 명확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적 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of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using meta-analysis method. Forty nine MA and Ph.D degre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7 were analyzed and 93 effect sizes w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of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using meta-analysis method. Forty nine MA and Ph.D degre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7 were analyzed and 93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verifica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were carried out with F-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turned out to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effect. The total mean effect size was as big as .8819 and the value of U3 was 79.16%. The teaching-learning group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increased learning effect by 29.16%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ognitive domain was .69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medium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Thir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ffective domain was 1.10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high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Forth, in terms of subjec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for social studies, science, home economics, and others.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for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medium effect size of over .68. Fifth, in terms of learning environmen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to be used for all face-to-face, computer-mediated,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6591.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regardless of the treatment duration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7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홍숙, "협동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목포대학교 2006

      2 김현서, "협동학습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2003

      3 손미, "초등학생의 온라인 교육정보자료의 선정 및 활용 지도를 위한 교수전략의 구안" 6 (6): 131-149, 2000

      4 이수연, "초등학교 환경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환경 문제에 대한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2003

      5 박병선,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2001

      6 정정섭, "초등학교 과학과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2004

      7 임천수, "초등학교 과학과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자의 탐구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2002

      8 이옥선, "초등실과 생활기술영역의 PBL학습모형구안과 적용효과" 부산교육대학교 2006

      9 황주연, "초등 사회과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아동의 이해력과 적용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2000

      10 손현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04

      11 강경민, "중학교 기술 교과 ‘제료의 이용’ 단원에서 PBL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2003

      12 강명희, "자원기반 학습환경에서 탐구훈련모형의 활용이 탐구능력과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16 (16): 3-18, 2000

      13 최영회, "자연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적용의 인지,정의적 효과성에 관한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2000

      14 최욱,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 학습모형" 39 (39): 259-284, 2001

      15 최욱,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 논쟁 수업이 균형 있는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19 (19): 261-283, 2003

      16 이주연, "음악 감상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학습지도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공주교육대학교 2007

      17 조한진,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을 이용한 응급의학 교육과정의 개발" 경희대학교 2006

      18 조진미,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면대면 문제중심학습간의 학습태도 및 비판적 사고력에 대한 비교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2002

      19 박성열, "웹기반 교수-학습 관련 변인이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1 (21): 127-152, 2005

      20 이길수, "웹기반 PBL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사례연구" 경희대학교 2006

      21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22 나용주, "사회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과 탐구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2000

      23 최욱, "사회고 논쟁 문제의 해결과정에 인터넷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이 경제이해력과 논변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37 (37): 101-126, 2005

      24 전성희,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초등 사회과 5학년의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2005

      25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26 양혜주, "문제중심학습의 수업과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유형 분석-초등학교 5학년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7

      27 박진선,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중학교 음악과 교수 학습 연구" 연세대학교 2005

      28 장진철, "문제중심학습모형에 따른 놀이학습이 문제해결력 및 학습성향에 미치는 영향:초등학교 1학년 ‘수학’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2004

      29 강인애, "문제중심학습과 구성주의 이론.21세기를 향한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7

      30 김윤경, "문제중심학습(PBL)에 의한 수업이 학생들의 내적동기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고등학교 가정과"주거의 계획과 관리"단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2

      31 금은주, "문제중심학습 가정과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고등학교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1

      32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33 송혜향, "메타분석법" 청문각 1998

      34 이윤재, "기술 가정과 ‘재료의 이용’ 단원에서 문제기반학습이 학생 실습 작품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2007

      35 임철일,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2판)" 교육과학사 2003

      36 김종윤, "e-Learning 활용 문제중심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와 문제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2007

      37 이상미, "Web-based PBL에 의한 수업개발 및 적용:영어에 대한 흥미도 및 호감도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중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06

      38 Cohen,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Revised Edition)" Academic Press 1982

      39 Li, Y., "Random effects linear regression meta-analysis models with application to the nitrogen dioxide health effects studies" 44 (44): 261-270, 1994

      40 Joseph, L., "Quantitative synthesis in systemic reviews" 127 (127): 820-826, 1997

      41 Glass,G.,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in social research" Sage 1976

      42 Glass,G., "Integration of research studies: Meta-analysis of research" Sage 1981

      43 Cordeiro, P., "Increasing the transfer of learning through Program-based learning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ERIC 1996

      44 Colditz, G. A., "Heterogeneity in meta-analysis of data from epidemiologic studies: A commentary" 142 (142): 371-382,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