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 = The Aspects of Familism Presented in Women’s Novels in the 196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5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960s was when modernization really began in Korea an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s industrialization changed the structure and roles of the family, new familyism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familyism revealed in women’s novels in the 1960s. As family structures and roles changed with industrialization, a new form of familyism emerged. At this, this study aimed to observe aspects of familyism that appear in women’s novels of the 1960s.
      Also, if women’s novels showed tendencies of conservatism in the 1950s due to effects of the war, the 1960s were a period of reflection upon this and awareness of the female identity and awareness of social criticism were embodied into their work. Aspects of familyism in the 1960s can be organized into two types in women’s novels. First, industrialization brought with it tendencies of systemized ideal family images as gender division began with males being put in charge of economic activities and females being put in charge of housework and childcare.
      Second, the materialized family and family selfishness became subjects of social criticism. First, female characters in Kang Shin-jae’s 「A Fairy Tale of a Desolate Day」 and Han Mal sook’s 「A Day of a Woman」, and 「The Day the Baby Came」 acknowledge the suppression of female sacrifice within married life and the systemized family along with the female identity. However, they tend to acknowledge and present problems instead of displaying an active will to escape suppression.
      Kang Shin-jae’s 「Extravagance」, Hahn Moo-sook’s 「In Line」, and Pak Kyong-ni’s 「Aristocrats」 criticize materialized families and states of mammonism. This was a strategy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1960s and it reflected familyism, which established frugality as a virtue and was cautious of social conditions based on materialism.
      번역하기

      The 1960s was when modernization really began in Korea an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s industrialization changed the structure and roles of the family, new familyism emerged. The purpo...

      The 1960s was when modernization really began in Korea an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s industrialization changed the structure and roles of the family, new familyism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familyism revealed in women’s novels in the 1960s. As family structures and roles changed with industrialization, a new form of familyism emerged. At this, this study aimed to observe aspects of familyism that appear in women’s novels of the 1960s.
      Also, if women’s novels showed tendencies of conservatism in the 1950s due to effects of the war, the 1960s were a period of reflection upon this and awareness of the female identity and awareness of social criticism were embodied into their work. Aspects of familyism in the 1960s can be organized into two types in women’s novels. First, industrialization brought with it tendencies of systemized ideal family images as gender division began with males being put in charge of economic activities and females being put in charge of housework and childcare.
      Second, the materialized family and family selfishness became subjects of social criticism. First, female characters in Kang Shin-jae’s 「A Fairy Tale of a Desolate Day」 and Han Mal sook’s 「A Day of a Woman」, and 「The Day the Baby Came」 acknowledge the suppression of female sacrifice within married life and the systemized family along with the female identity. However, they tend to acknowledge and present problems instead of displaying an active will to escape suppression.
      Kang Shin-jae’s 「Extravagance」, Hahn Moo-sook’s 「In Line」, and Pak Kyong-ni’s 「Aristocrats」 criticize materialized families and states of mammonism. This was a strategy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1960s and it reflected familyism, which established frugality as a virtue and was cautious of social conditions based on material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로,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었다.이로 인해 가족의 구조와 역할이 변하고,새로운 가족주의도 등장하게 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960년대는 1950년대 보수화된 여성의식에 대한 반성이 이루어졌던 시기로 여성의 정체성 인식과 사회비판 의식이 작품에 형상화되었다.1960년대 가족주의는 여성소설에서 두 가지 양상으로 드러나는데,첫째 중산층 가족의 남성은 경제활동,여성은 가사와 양육이라는 성별분업이 시작되면서 이상화된 가족의 모습이 제도화되었다는 것,둘째 물화된 가족과 가족 이기주의가 사회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다.우선 강신재의 「황량한 날의 동화」,한말숙의 「어느 여인의 하루」,「아기 오던 날」 에서 여성인물들은 결혼 생활과 제도화된 가족 내 여성의 희생을 억압으로 인지하고여성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된다.하지만 억압에 대해 적극적인 탈주 의지를 보이기보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제시하는 데 머물러 있는 경향이 있다.강신재의 「호사」,한무숙의 「대열 속에서」,박경리의 「귀족」에서는 물화된 가족과 배금주의 세태를 비판한다.이는 1960년대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검약을 미덕으로 삼고 물질만능주의의 세태와 가족 이기주의를 경계했던 풍조가 형상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이 시기 여성소설은 가족의 문제를 사회 문제로 확장해 인식하고 억압된 여성의 위치에 대해 문제 제기함으로써 여성 의식의 진일보한 면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있다.
      번역하기

      196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로,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었다.이로 인해 가족의 구조와 역할이 변하고,새로운 가족주의도 등장하게 된다....

      196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로,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었다.이로 인해 가족의 구조와 역할이 변하고,새로운 가족주의도 등장하게 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960년대는 1950년대 보수화된 여성의식에 대한 반성이 이루어졌던 시기로 여성의 정체성 인식과 사회비판 의식이 작품에 형상화되었다.1960년대 가족주의는 여성소설에서 두 가지 양상으로 드러나는데,첫째 중산층 가족의 남성은 경제활동,여성은 가사와 양육이라는 성별분업이 시작되면서 이상화된 가족의 모습이 제도화되었다는 것,둘째 물화된 가족과 가족 이기주의가 사회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다.우선 강신재의 「황량한 날의 동화」,한말숙의 「어느 여인의 하루」,「아기 오던 날」 에서 여성인물들은 결혼 생활과 제도화된 가족 내 여성의 희생을 억압으로 인지하고여성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된다.하지만 억압에 대해 적극적인 탈주 의지를 보이기보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제시하는 데 머물러 있는 경향이 있다.강신재의 「호사」,한무숙의 「대열 속에서」,박경리의 「귀족」에서는 물화된 가족과 배금주의 세태를 비판한다.이는 1960년대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검약을 미덕으로 삼고 물질만능주의의 세태와 가족 이기주의를 경계했던 풍조가 형상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이 시기 여성소설은 가족의 문제를 사회 문제로 확장해 인식하고 억압된 여성의 위치에 대해 문제 제기함으로써 여성 의식의 진일보한 면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리, "환상의 시기" 나남 1994

      2 정진성, "한국현대여성사" 한울 2004

      3 이정덕, "한국 가족윤리 변천사4-1950년 6.25동란 이후부터 1960년대 말까지" 대한가정학회 37 (37): 45-24, 1999

      4 이정석, "이종택 동시선집에 나타난 1960년 전후의 가족의식 비교" 한국아동문학학회 13 : 69-90, 2007

      5 하이디 하트만, "여성해방이론의 쟁점" 태암 1990

      6 한말숙, "신과의 약속" 휘문출판사 1968

      7 최은경, "소설에 나타난 1950.60년대 한국 가족 윤리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3 (3): 25-41, 1998

      8 사라 러딕, "모성적 사유" 철학과 현실사 2002

      9 한무숙, "대열 속에서" 을유문화사 1992

      10 강신재, "강신재 단편선집" 삼익출판사 1974

      1 박경리, "환상의 시기" 나남 1994

      2 정진성, "한국현대여성사" 한울 2004

      3 이정덕, "한국 가족윤리 변천사4-1950년 6.25동란 이후부터 1960년대 말까지" 대한가정학회 37 (37): 45-24, 1999

      4 이정석, "이종택 동시선집에 나타난 1960년 전후의 가족의식 비교" 한국아동문학학회 13 : 69-90, 2007

      5 하이디 하트만, "여성해방이론의 쟁점" 태암 1990

      6 한말숙, "신과의 약속" 휘문출판사 1968

      7 최은경, "소설에 나타난 1950.60년대 한국 가족 윤리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3 (3): 25-41, 1998

      8 사라 러딕, "모성적 사유" 철학과 현실사 2002

      9 한무숙, "대열 속에서" 을유문화사 1992

      10 강신재, "강신재 단편선집" 삼익출판사 1974

      11 제이버 구브리움, "가족이란 무엇인가:사회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가족담론" 하우 1997

      12 박민자, "가족의 의미, 가족과 한국사회" 경문사 2001

      13 미셀 바렛, "가족은 반사회적인가" 여성사 1994

      14 공미혜, "가족 이기주의에 대한 여성학적 비판" 한국가족학회 4 : 1-20, 1992

      15 장미영, "박경리 1960․70년대 장편소설 연구 -가족관계의 갈등과 화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6) : 273-298, 2011

      16 김성렬, "가족 소재 소설로 읽는 한국 근현대 소설의 과거ㆍ현재ㆍ미래" 한국문예창작학회 7 (7): 171-199, 2008

      17 김경숙, "『사상계』 게재 희곡에 재현된 가족담론과 가족해체양상-한로단의 '교류', '가족'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소 (38) : 35-69, 2021

      18 유용태, "『現代朝鮮女流文學選集』의 근대 미의식과 정전적 의의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633-642, 2020

      19 최경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여성교양' 담론 연구 : 연애·결혼·가족서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20 심혜경, "1960년대 문화영화와 젠더, 그리고 가족-국가" 현대영화연구소 14 (14): 69-105, 2018

      21 김경일, "1960년대 기층 민중의 가계와 빈곤의 가족 전략"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8) : 179-21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