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비교 = Comparison of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29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r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terminal Care management plan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and basic data necessary for terminal Care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from August 2020 to February 2021, and was conducted on 245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working at S city long-term care hospitals. This study collected data analyzed them with descriptive statistic, t-test, χ2,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SPSS 20.0 program. As a result, terminal care stress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was high, and the terminal care score was 3.29 and 3.35. In the terminal care score of nursing staf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of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Therefore, this will require a management plan for the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erminal car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r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terminal Care managemen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r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terminal Care management plan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 and basic data necessary for terminal Care education. Data collection was from August 2020 to February 2021, and was conducted on 245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working at S city long-term care hospitals. This study collected data analyzed them with descriptive statistic, t-test, χ2,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SPSS 20.0 program. As a result, terminal care stress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was high, and the terminal care score was 3.29 and 3.35. In the terminal care score of nursing staf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of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Therefore, this will require a management plan for the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erminal car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and nursing staff.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두 군 간의 관계 및 차이를 파악하여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 관리방안과, 임종간호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8월부터 2021년 2월까지로 S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간호제공자 2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χ2, ANOVA, Pearson's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는 높은 수준 이었으며, 임종간호수행 점수는 3.29점, 3.35점으로 간호제공자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 관리 및 임종간호 교육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두 군 간의 관계 및 차이를 파악하여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 관리방안과, 임종간호 ...

      본 연구는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두 군 간의 관계 및 차이를 파악하여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 관리방안과, 임종간호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8월부터 2021년 2월까지로 S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간호제공자 2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χ2, ANOVA, Pearson's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간호사와 간호제공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는 높은 수준 이었으며, 임종간호수행 점수는 3.29점, 3.35점으로 간호제공자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요양병원 실정에 맞는 임종간호 관리 및 임종간호 교육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성옥 ; 이병숙 ; 김종임 ; 신성례, "환자안전 중심 간호인력 정책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간호행정학회 20 (20): 215-226, 2014

      2 고문정 ; 문소현,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정신간호학회 25 (25): 327-337, 2016

      3 손유정 ; 박정숙, "임상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소 27 (27): 124-133, 2021

      4 손연주 ; 김경아,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완화의료인식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간호학회 28 (28): 256-265, 2021

      5 하신영 ; 송준아,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간호학회 20 (20): 217-228, 2018

      6 임희영 ; 윤미진 ; 권영채,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29-336, 2019

      7 김현숙 ; 김계하,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실태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250-258, 2019

      8 이향련 ; 이연옥 ; 최은영 ; 박영미,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비교 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7 (7): 26-35, 2007

      9 홍은미 ; 전미덕 ; 박은심 ; 류은정, "암 병동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 환자간호 태도" 대한종양간호학회 13 (13): 265-272, 2013

      10 김원순 ; 조헌하 ; 권수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 (19): 154-162, 2016

      1 장성옥 ; 이병숙 ; 김종임 ; 신성례, "환자안전 중심 간호인력 정책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간호행정학회 20 (20): 215-226, 2014

      2 고문정 ; 문소현,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정신간호학회 25 (25): 327-337, 2016

      3 손유정 ; 박정숙, "임상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소 27 (27): 124-133, 2021

      4 손연주 ; 김경아,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완화의료인식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간호학회 28 (28): 256-265, 2021

      5 하신영 ; 송준아,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간호학회 20 (20): 217-228, 2018

      6 임희영 ; 윤미진 ; 권영채,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29-336, 2019

      7 김현숙 ; 김계하, "요양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 실태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250-258, 2019

      8 이향련 ; 이연옥 ; 최은영 ; 박영미,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비교 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7 (7): 26-35, 2007

      9 홍은미 ; 전미덕 ; 박은심 ; 류은정, "암 병동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불안, 임종 환자간호 태도" 대한종양간호학회 13 (13): 265-272, 2013

      10 김원순 ; 조헌하 ; 권수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 (19): 154-162, 2016

      11 백유경 ; 최은정, "내과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임종간호수행"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8 (18): 267-275, 2015

      12 우영화 ; 김경희 ; 김기숙,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6 (16): 33-41, 2013

      13 김동환 ; 이한주, "간호등급제가 요양병원의 간호인력 확보수준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0 (20): 95-105, 2014

      14 정미자 ; 은영,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1 (41): 673-683, 2011

      15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16 B. J. Byun, "The impact of understanding death of workers at elderly care facilities and well-dying on work performance during terminal care" Daegu Haany University 2016

      17 Franz Faul,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41 (41): 1149-1160, 2009

      18 A. T. Berman, "Kozier & Erb's fundamentals of nursing : concepts, process, and practice" 2016

      19 M. Callahan, "Knowledge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by student registered nurse anesthetists" 70 (70): 15-20, 2011

      20 J. Im, "Influencing Factor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ing Staff" Kwangju Women's University 2019

      21 K. S. Park, "Factors influencing Korean nurses' attitudes towards hospice care" 61 (61): 563-569, 2014

      22 B. J. Byun, "Factors affecting the exhaustion of the nurse in the senior hospital" 5 (5): 105-119, 2013

      23 H. S. Kim, "End-of-Life Care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Burnout among Critical Care Nurs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4

      24 H. L. Aiken, "Educational levels of hospital nurses and surgical patient mortality" 290 (290): 1617-1623, 2003

      25 S. Y. Chung,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mance of ICU nurse" Hanyang University 2013

      26 S. J. Park,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mance of Nurs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6

      27 Y. O. Lee,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Kyung Hee University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