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투쟁의 장인 상무대 옛터에 재현된 5․18기념공원, 표지석, 5․18자유공원, 등의 재현공간과 기념물에 대해 ‘누가 무엇을 어떻게 보여 주는가’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기 위해 문헌들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06626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85-320(3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억투쟁의 장인 상무대 옛터에 재현된 5․18기념공원, 표지석, 5․18자유공원, 등의 재현공간과 기념물에 대해 ‘누가 무엇을 어떻게 보여 주는가’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기 위해 문헌들과 ...
기억투쟁의 장인 상무대 옛터에 재현된 5․18기념공원, 표지석, 5․18자유공원, 등의 재현공간과 기념물에 대해 ‘누가 무엇을 어떻게 보여 주는가’에 대한 문제를 풀어보기 위해 문헌들과 관련자료 들을 살펴보고 관계자들과 면담, 현장답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무대 옛터의 기념공간조성은 국가주도하에 광주광역시가 주체가 되어 진행하였으며, 미래의 장으로 계획하여 역사성과 교육성을 강조하는 공간이 되고자 하였다. 그러나 국가가 무상양여한 공간이 축소되고 도시계획으로 인해 두 공원으로 분리 조성되고, 가장 중요한 사적인 법정과 영창 등이 이전하여 복원되어 장소성이 훼손되고, 역사성, 교육성 등이 낮아졌다. ‘무엇을 어떻게 보여주는 가’를 나타내는 재현 공간의 특성은 호명의 혼란성이 나타나고 전통과 현대가 함께 존재하는 공간이 되었다.
재현공간이 된 이후에도 운영 주체인 광주광역시는 광주시민에게 배상차원에서 무상양여한 부지 중 무각사를 매각함으로써 장소의 결절이 또 다시 일어났다. 지역발전론을 내세워 5․18자유공원의 이전도 검토되다가 시민단체의 반발로 중지되었다. 표지석 역시 택지 개발 등 도시계획으로 인해 2번이나 이설되었다.
상무대 옛터의 5․18기념공간화 과정을 고찰한 결과 5․18기념사업의 의미인 ‘항쟁, 대동, 민족․민주정신’을 ‘어떻게 보여주고 느끼게 하는가’에 대한 검토를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적극적인 시민참여의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viewed represented historical places and memorials such as May 18 Memorial Park, stone monument, and May 18 Liberty Park at the old site of Sangmudae, the arena of the struggle of memory in order to find ‘who to show to, and what and ...
This article reviewed represented historical places and memorials such as May 18 Memorial Park, stone monument, and May 18 Liberty Park at the old site of Sangmudae, the arena of the struggle of memory in order to find ‘who to show to, and what and how to show? To solve the problem, the study examined related documents and material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officials and field researches. The memorial spatialization of the old site of Sangmudae was constructed by Gwangju Metropolitan City, led by the government with a plan to construct the place for future historicity and educability. But, unfortunately in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the site given as free concession from the government was reduced and divided into two parks because of the urban planning,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sites, the courtroom and stockade were transferred and restored, which damaged the placeness and lowered the historicity and educability.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ed placeness telling ‘what to show and how to show’ encountered confusion in calling-up, in the space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coexist.
After the representatio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the operation body sold Mugaksa Temple located at the site that was given for free as compensation to Gwangju citizens, which caused another disconnection. The plan to transfer May 18 Liberty Park with a regional development theory was stopped by civic groups’ resist. And the stone monument was transferred two times due to the urban development plan including land development.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May 18 memorial spatialization at the old site of Sangmudae shows that there required a review on ‘how to show and how to let people feel’ ‘the resistance, solidarity, people, and democratic spirit’ as the meaning of May 18 memorial project. To do so, there highly needs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중석,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7
2 원종호, "한국기념공간의 구성특성과 기억문화론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 오월성역화를 위한 연대모임, "진실은 발자국에 고여 있다"
4 김영진, "오월의 하늘" 쿰란출판사 2010
5 조동범, "옛 기무부대와 국군광주병원 공원화에 있어 숲, 고원, 도시재생, 시민이 있는 전략의필요성,『옛 기무부대․국군통합병원 공원화, 무엇을 담을 것인가?』 발표 자료집"
6 "연합뉴스, 2017년 6월 15일 기사"
7 박명규, "역사적 경험의 재해석 상징화-동학농민전쟁의 기념물" 한국사회사학회 51 : 1997
8 손호철, "세계 민주성지를 통해 본 5․18기념사업의 방향, In 진실은 발자국에 고여 있다. -오월성역화 문제와 관련한 광주시민 활동보고서" 오월성역화를 위한 연대모임 1994
9 임영진,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라인원색 2008
10 신승원, "르페브르의 변증법적 공간 이론과 공간정치―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소 6 (6): 63-98, 2014
1 서중석,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7
2 원종호, "한국기념공간의 구성특성과 기억문화론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 오월성역화를 위한 연대모임, "진실은 발자국에 고여 있다"
4 김영진, "오월의 하늘" 쿰란출판사 2010
5 조동범, "옛 기무부대와 국군광주병원 공원화에 있어 숲, 고원, 도시재생, 시민이 있는 전략의필요성,『옛 기무부대․국군통합병원 공원화, 무엇을 담을 것인가?』 발표 자료집"
6 "연합뉴스, 2017년 6월 15일 기사"
7 박명규, "역사적 경험의 재해석 상징화-동학농민전쟁의 기념물" 한국사회사학회 51 : 1997
8 손호철, "세계 민주성지를 통해 본 5․18기념사업의 방향, In 진실은 발자국에 고여 있다. -오월성역화 문제와 관련한 광주시민 활동보고서" 오월성역화를 위한 연대모임 1994
9 임영진,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라인원색 2008
10 신승원, "르페브르의 변증법적 공간 이론과 공간정치―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소 6 (6): 63-98, 2014
11 양정선, "도시경관을 위한 환경색채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5.18기념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4 (14): 41-50, 2013
12 "뉴시스, 2017년 8월 20일 기사"
13 정호기,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 한국에서의 민주화 운동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14 정근식, "기억의 문화, 기념물과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97) : 277-305, 2006
15 정호기, "기무부대 이전 부지 역사공원활용을 위한 간담회 자료집" 5․18기념재단 2007
16 정호기, "기념사업으로 본 ‘5ㆍ18’의 의미 변용 : 민주성지, 문화도시, 인권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71 (71): 52-74, 2015
17 윤선자, "근대문화유산의 현황과 보존방안 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57) : 195-223, 2011
18 "광주일보, 1998년 12월 11일 기사"
19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장소마케팅연구센터, "광주의 오월을 걷자 Ver 2" 5․18기념재단 2013
20 한국현대사사료연구소, "광주민중항쟁사료전집" 풀빛 1990
21 김도형, "광주교도소 이전적지를 활용한 현대미술관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22 "광주광역시도시공사"
23 하정호,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담은 꿈의 공원을 짓자,『옛 기무부대․국군통합병원공원화, 무엇을 담을 것인가?』, 발표 자료집"
24 이무용, "공간의 문화 정치학" 논형 2005
25 "경향신문, 1993년 5월 13일 기사"
26 "㈜아시아뉴스통신, 2011년 9월 4일 기사"
27 정호기, "‘오월운동’과 5․18기념사업 그리고 기념공동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창간) : 2002
28 나간채, "5・18기념사업과 5월운동" 5.18연구소 11 (11): 1-37, 2011
29 김영택, "5월 18일, 광주-광주민중항쟁, 그 원인과 전개과정-" 역사공간 2010
30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5․18사적지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중․장기 종합 계획" 광주광역시 2012
31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5․18기념사업 종합 계획" 광주광역시 1995
32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5․18기념사업 마스터 플랜" 광주광역시 2016
33 "5․18 기념재단"
34 "5․18 기념문화센터"
35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5․18 관련 事蹟地 조사 및 보존에 관한 기본 조사․설계 계획" 광주광역시 1997
36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5․18 관련 事蹟地 조사 및 보존에 관한 기본 조사․설계 계획" 광주광역시 1997
37 장희정, "5·18의 문화적 기억을 위한 연구 :"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1
38 최정기, "5·18기념공간과 사회적 갈등―기념공간 관련 논쟁 및 갈등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8 (8): 51-78, 2008
39 민형배, "5·18 기념공간의 형성과 지역정체성 : 1990년대 이후 쟁점과 과제" 한국동북아학회 9 (9): 2004
40 광주광역시의회사무처, "2009년도 공유재산관리계획 추가안 (3차)(광주광역시장 제출), 제181회 광주광주역시의회(임시회) 행정자치위원회회의록"
조선 후기 ‘예언가 남사고’의 탄생과 그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42 | 0.81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