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30895
용인 :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상담학과 , 2020. 2
2020
한국어
158.3 판사항(23)
경기도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vi, 47 장 : 삽화 ; 30 cm.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주영
참고문헌 : 장 31-38
I804:11017-00000019493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329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불안,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과 SPSS PROCESS Macro 3.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검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 후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의 결과 자기개념 명확성,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는 사회불안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개념 명확성은 자기제시기대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동기 – 기대 차이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불안과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동기 –기대 차이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제시기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며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는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불안과의 상관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가 지니는 개별 상관보다 각각 높게 나왔다.
둘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제시동기-기대 차이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자기개념 명확성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자기제시동기 - 기대의 차이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개념이 불확실하고 일관되지 않은 대학생들을 사회적 상황에서 높은 자기제시동기를 가지나 이에 대한 효능감이 부족하여 사회불안 증상을 경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상담 개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check the mediated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ncy in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check the mediated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ncy in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329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non-capital areas were surveyed using measures such as self-concept clarity, social anxiety,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19.0 and the SPSS PROCESS Macro 3.4 program to perform correlative analyses of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an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mediation after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three-step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ncy, and social anxiety. Self-concept clarity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and significant amulet correlation with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ncy. Social anxiety,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wer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and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were higher than individual correlations,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Second, self-concept clarity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and also mediating effects of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university students whose self-concepts are uncertain and inconsistent can experience social anxiety symptoms as they have high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but low self-presentational expectancy in social situations.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involvement in social anxiety counseling.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