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자궁태반기술의 상용화가 십년 뒤로 다가왔다. 이는 재생산 과정에서 모체를 거의 완전히 삭제할 수 있는 기술이며, 다양한 논의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연구자는 이 기술 안에 들어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자궁태반기술의 상용화가 십년 뒤로 다가왔다. 이는 재생산 과정에서 모체를 거의 완전히 삭제할 수 있는 기술이며, 다양한 논의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연구자는 이 기술 안에 들어 있...
인공자궁태반기술의 상용화가 십년 뒤로 다가왔다. 이는 재생산 과정에서 모체를 거의 완전히 삭제할 수 있는 기술이며, 다양한 논의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연구자는 이 기술 안에 들어 있는 인간과 임신에 대한 시선이 여성과 나아가 인간 모두의 도구화라는 점을 비판하였다. 이를 위해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역사적 관점과 여성주의의 접근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점은 사회 및 국가의 출산율 강조와 일부 기독교계에서 기독교인의 출산을 기독교 공동체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도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재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임신을 단지 도구로서의 인간을 생산하기 위한 과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숨인 루아흐가 모체와 태아의 상호소통 과정에서 모든 것을 주관하시고 돕는 과정으로 다시 보자고 요청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이를 위한 교육 방안을 엘리자베스 무어의 이론을 토대로 1) 비판하기: 기존의 재생산에 대한 교회 역사적 전통 및 현재의 사회와 국가의 일반적 이해에 대한 비판 2) 재구성하기: 임신 과정은 하나님의 숨인 루아흐가 함께 하는 존귀한 상호 길러냄의 과정이며 모든 인간은 하나님의 숨인 루아흐가 살아있도록 돕는 존재로, 기독교 공동체는 하나님의 루아흐가 살아 숨쉬는 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3) 하나님과 세계에 대한 재신화화: 세계와 인간 모두를 숨쉬게 하시는 하나님의 루아흐에 감사하며 그 안에 존재하는 모든 피조물들의 화해와 평화를 꿈꾸어보기의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mmercialization of artificial uterus/placenta technology is ten years away. This is a technology that can almost completely delete the parent body in the process of reproduction, and it is causing various discussions. The researcher criticized t...
The commercialization of artificial uterus/placenta technology is ten years away. This is a technology that can almost completely delete the parent body in the process of reproduction, and it is causing various discussions. The researcher criticized that the perspective on humans and pregnancy contained in this technology is the instrumentalization of women and even humans. To this end, the historical perspective and feminist approach to pregnancy and childbirth were examined. It was also intended to reconsider that this perspective is not different from the emphasis on the birth rate of society and the state and that some Christian circles want to use Christian childbirth as a tool to expand the scope of the Christian community. And asked to see pregnancy again as not just a process for producing humans as a tool, but a process in which Ruach, the breath of God, supervises, controls and helps everything in the process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fetus.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Elizabeth Moore's theory, the education plan for this is 1) Criticized: Criticism of the church's historical tradition of reproduction and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ociety and state 2) Reconstructing: The process of conception is a process of noble mutual growth with Ruach, the breath of God, and all human beings help Ruach, the breath of God, to be alive, and the Christian community can become a community where Ruach, the breath of God, lives and breathes. 3) Re-mythologization of God and the world: Thanks to God's Ruach, which breathes both the world and human beings, three suggestions were made to dream of reconciliation and peace among all creatures that exist in it.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여성신학회, "혐오와 여성신학" 동연 2018
2 배은경,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시간여행 2012
3 고원석, "현대 기독교교육 방법론"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8
4 이용희, "한국교회 ‘출산율 3.0’을 꿈꾸며: 303 프로젝트" 크리스천투데이
5 최순양, "한국개신교의 ‘가족강화’ 신앙교육과 여성" 종교와문화연구소 (25) : 45-67, 2015
6 강남순, "페미니즘과 기독교" 동녘 2018
7 박신경, "태교의 기독교교육적 의미" 16 : 307-333, 2001
8 Heine, S, "초기 기독교 세계의 여성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998
9 Bordo, S,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또하나의문화 2003
10 정재영, "저출산의 원인과 대책 - 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 -"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15 : 181-201, 2008
1 한국여성신학회, "혐오와 여성신학" 동연 2018
2 배은경,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시간여행 2012
3 고원석, "현대 기독교교육 방법론"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8
4 이용희, "한국교회 ‘출산율 3.0’을 꿈꾸며: 303 프로젝트" 크리스천투데이
5 최순양, "한국개신교의 ‘가족강화’ 신앙교육과 여성" 종교와문화연구소 (25) : 45-67, 2015
6 강남순, "페미니즘과 기독교" 동녘 2018
7 박신경, "태교의 기독교교육적 의미" 16 : 307-333, 2001
8 Heine, S, "초기 기독교 세계의 여성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998
9 Bordo, S,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또하나의문화 2003
10 정재영, "저출산의 원인과 대책 - 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 -"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15 : 181-201, 2008
11 안성준,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법학연구소 51 (51): 413-458, 2016
12 백소영, "인공자궁/태반 기술 시대, “참여적 모성”에 대한 윤리적 제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51) : 167-199, 2021
13 하재성, "인간의 성(sexuality)에 대한 복음주의적 관점에서의 재조명"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8 : 295-323, 2012
14 김상득, "인간생명의 시작에 관한 성경적 이해 - 생명윤리 물음에 관한 실천적 함의를 중심으로 -" 기독교학문연구회 15 (15): 35-56, 2010
15 박신경, "인간교육의 첫 단계로서의 태교 -Comenius의 ‘태아학교(Schola geniturae)’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4) : 65-91, 2013
16 한국여성신학회, "영성과 여성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99
17 강혜경, "여성주의 윤리 시각에서 본 여성의 모성" 한국여성연구원 25 (25): 81-116, 2008
18 김은실, "여성의 몸, 몸의 문화정치학" 또하나의문화 2001
19 이연정, "여성시각에서 본 모성론" 6 : 160-183, 1995
20 장필화, "여성, 몸, 성" 또하나의문화 1999
21 Mies, M, "에코 페미니즘" 창작과 비평사 2000
22 이강봉, "엄마·아빠 없는 인공출산 시대 도래" 사이언스타임즈
23 Bechtel, G, "신의 네 여자" 여성신문사 2004
24 Kristeva, J,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25 Firestone, S, "성의 변증법" 풀빛 1983
26 Grenz, S, "성윤리학" 살림 2003
27 한국여성신학회, "성과 여성신학" 대한기독교서회 2001
28 한국기독교부모교육연구회, "성경적 태교" 양서원 1995
29 이정배, "생명의 하느님과 한국적 생명신학" 새길 2004
30 김린, "사회적 모성과 밈" 716 : 28-31, 2018
31 윤지영, "비혼 선언의 미래적 용법 :페미니스트 변이체들의 반란" 한국하이데거학회 (46) : 349-391, 2017
32 김희성, "부활신앙으로 본 신약의 성령론" 대한기독교서회 2000
33 이정관, "부모 됨의 의미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72) : 49-70, 2022
34 Chodorow, N, "모성의 재생산"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8
35 이경아, "모성의 사회적 확장에 관한 탐색적 연구" 17 : 125-147, 2000
36 Gernsheim, B. E, "모성애의 발명" 알마 출판사 2006
37 이건희, "되짚어본 2017년의 위대한 발견들" 머니S
38 Irigaray, L, "나, 너, 우리: 차이의 문화를 위하여" 동문선 1996
39 Giddens, A, "기로에 선 자본주의" 생각의 나무 2000
40 김선아, "기독교적 가정교육의 새로운 모델 - 코메니우스의 유아와 어머니 이해의 대상관계 이론적 재해석을 중심으로" 1 : 284-311, 2007
41 Little, S, "기독교교육 교수방법론" 한국장로교출판사 1988
42 조선강, "기독교 태아교육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3 : 135-163, 1992
43 MacHaffie, B, "기독교 전통 속의 여성"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44 민영진, "구약의 영 이해" 4 : 154-161, 1984
45 김혜윤, "구약성경의 ‘루아흐’(דוח)―의미론적 고찰과 개념상의 진화 연구―" 신학과사상학회 (68) : 9-49, 2011
46 차준희, "구약사상 이해" 대한기독교서회 2011
47 황재희, "교회교육 파노라마: 성품태교 해피맘 스쿨"
48 노미선, "고학력 30대 비혼여성의 성별/나이의 위치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9 조은주, "가족과 통치" 창비 2018
50 Moore, M. E, "“Feminist theology and education” in Theological approaches to Christian Eeucation" Abingdon Press 1990
51 정유경, "‘가임기 여성지도’ 이렇게 탄생했다" 한겨레
52 Mackin, T, "What is marriage?" Paulist 1982
53 Corea, G, "The mother machine: reproductive technologies from asrtificia iInsemination to artificial wombs" Harper & Row 1985
54 Schaeffer, F. A, "The great evangelical disaster" Crossway Books 1984
55 George, W., "The future of artificial wombs in British" 25 : 2017
56 Mcfague, S, "The body of god" Fortress Press 1983
57 Harris, M, "Teaching and religious imagination" HarperSanfrancisco 1987
58 Wimberly, A. E, "Soul stories: African American Christian education" Abingdon Press 1994
59 Haraway, D, "Simians, cyborgs, and women: the reinvention of nature" Routledge 1991
60 Ruether, R, "Sexism and god-talk: toward a feminist theology" Beacon Press 1983
61 Plant, S, "On the matrix: cyberfeminist simulation in the gendered cyborg: a reader" The Open U 2000
62 Ball, P, "It's unnatural! from IVF to artificial wombs, why do advances in "reprotech" still conjure up visions of monsters or hitler clones in NEW SCIENTIST"
63 Wahrman, M. Z, "Fruit of the womb: Artificial reproductive technologies & jewish law" 9 (9): 2005
64 Nelson, L. J., "Forced medical treatment of pregnant women: Compelling each to live as seems good to the rest" 37 : 1986
65 Mies, M, "Ecofeminism" Zed 1993
66 Sawicki, J, "Discipling foucault: Feminism, power, and the body" Routelrdge 1991
67 Bushnell, H, "Christian nurture" Baker Book House Company 1979
68 Grumet, M. R, "Bitter milk: Women and teaching"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8
69 조명기, "21세기 현대 한국사회와 기독교적 결혼관: 이쉬야웨와 이샤야웨를 지향하는 궁극적 존재의 회복으로서 결혼"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10 : 222-249, 2008
일간지 담론분석을 통해 본 미래 교회 방향성에 대한 성찰
진리를 추구하는 삶을 위한 탈진실 시대의 리터러시 : 활동적 장년층의 허위정보 인식을 중심으로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근대적 내면성과 기독교 영성의 함의
기독교 학교 교육의 이론적 토대로써 코메니우스의 교육철학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