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론문은 중국에서 출판된 중국인학습자를 위한 한국개황교재 6종을 대상으로 교재내용의 문화구성비률과 고빈도의 문화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문화구성의 내용비률은 성취문화, 행동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29861
2019
Korean
학술저널
39-47(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론문은 중국에서 출판된 중국인학습자를 위한 한국개황교재 6종을 대상으로 교재내용의 문화구성비률과 고빈도의 문화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문화구성의 내용비률은 성취문화, 행동문...
본 론문은 중국에서 출판된 중국인학습자를 위한 한국개황교재 6종을 대상으로 교재내용의 문화구성비률과 고빈도의 문화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문화구성의 내용비률은 성취문화, 행동문화, 관점문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바 성취문화가 평균 80.1%로 다른 문화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고빈도의 문화교육내용도 전통문화가 중심이였다. 이러한 교재내용의 분석을 통해 교재에서 존재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중국조선어문》에 발표된 의미론, 어휘론 관련 론문에 대하여
조한 대조언어학의 현황과 과제 - 《중국조선어문》(1990년-2018년)에 게재된 론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