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동산 보유에 대한 조세제도 =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6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ewing real estate as a taxation object and imposing tax on the possessed real estate is a tax type commonly observed in any country. Historically, this kind of tax has been a useful source of taxation. However, today,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

      Viewing real estate as a taxation object and imposing tax on the possessed real estate is a tax type commonly observed in any country. Historically, this kind of tax has been a useful source of taxation. However, today,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is severely resisted, since tax is obligatorily imposed on the possessed real estate despite the complete absence of real profits. This is the reason for which the necessity of reasonable management of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is emphasized.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itself forms a part of traditional state coffers aiming at financing resources of the State. Nonetheless,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of our country differs from that of other countries. In Korea, this taxation has been widely used as political means to control real estate market or regulate speculative investment in real estate. As a result, it has gone through many changes so far.
      Regarding the binary system of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composed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property tax, the Constitutional Court made the constitutional discordance adjudication in 2008 with respect to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ation, and the same year, the legislators considered the decision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amended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ct. This brought a great change in the Act. Since then, the frame of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pursuant to the amended tax law of 2008 has been faithfully maintained for more than a decade, and our society has not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system of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Since real estate speculation fever arose in some regions since 2017, and the new government also heralded the reform in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process, this subject of reform of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became an object of social attention agai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and its improvement plans.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were classified into two plans: The first plan supports the binary system identical to the current system while the second plan supports unification of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Firstly, as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problems regarding the division of items of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the first plan proposed the operation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property tax under local taxes, by changing the current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which is the national tax, into the local tax. With respect to the maintenance plan for the binary system,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of strengthening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maintaining the current property tax. The second plan, as a unification plan for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proposes the operation of integrating the current national tax,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the local tax, the property tax into one tax item. This plan proposes that the integrated property taxes should be defined as normal taxes composed of City and Gun taxes (including Gun taxes of Metropolitan City) and Gu taxes, and a part (50%) of the integrated property taxes should be defined as special property taxes to operate as a joint tax.
      Secondly,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problem of concentrated tax revenue as the first plan proposed that the property tax should be belonged to tax revenue of the corresponding local government, and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should be operated as a joint tax. The second plan proposed that a part of the integrated property taxes should be defined as special property taxes to operate as a joint tax.
      Thirdly, the improvement plans for division of taxation object proposed that the division standards of land should be set in a clear and reasonable manner and the separately taxable objects should be absorbed as independent summing-up taxation objects. Simultaneously, the current separately taxable objects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tax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of local taxes, and should be managed in a systematic and constant way. Moreover, this plan proposes that the regulation of the Housing Act in the application regulations of property tax of local tax law should be removed or the studio apartments (the so-called "Officetels" in Korea) should be stipulated in the separate provision as in Article 31, Clause 1 under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of local taxes defined regarding rental houses, and the housing condition regarding the residential housing of property taxes should be adopted to distinguish between dwelling-purpose housing and investment property-purpose housing.
      Fourthl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ax burden problems, the burden of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in Korea turned out to be smaller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Also, the adoption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the reform of property tax, which were implemented under the policy proposition of "decrease in the transfer tax and increase in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did not necessarily bring about tax burden in the overall taxation objects. Land among taxation objects creates the problem of vertical equity of tax burden in the section where the tax assessment standard increases, therefore, this plan proposed that vertical equity of tax burden should be raised by subdividing the section of tax assessment standard and raising tax rate. To tighten up vertical equity of tax burden by type of land, it proposed that the disparity of tax rate among land taxation objects should be eased. In addition, though tax burden regarding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requires a more detailed review due to the issues related to commercial buildings and tax burden shifting, it proposed tax burden which is more reinforced that the current level.
      Fifthly, as improvement plans for problems of tax assessment standard, it proposed that tax assessment standard ratio should be increased. As specific plans, it proposed that the assessment level of standard land and standard housing price which form the foundation of calculation of the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price and individual housing price should be raised, and the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price should be applied in the calculation method of individual housing price. Moreover, as adjustment plans for assessment level of taxation standard among taxation objects, it proposed that ratio disclosure system of housing price public notice should be abolished,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standard market price of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should be improved.
      Sixthly, as improvement plans for ceiling system of tax burden, it proposed that housing tax burden ceiling should be raised to the level of other taxation objects, and this ceiling system of tax burden should be gradually abolished. Furthermore, as plans for preventing sudden increase of tax burden of taxpayers caused by sharp rise of market price of real estate, it proposed that a proper devise for restricting the sharp increase of tax assessment standard in the process of tax assessment standard should be prepared.
      Lastly, it proposed that the unit of assessment of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system of accumulative taxation of a married couple and not the system of accumulative taxation per person, since a family consisting a household leads a life by economic situation of the entire members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community. The system of accumulative taxation of a married couple regarding the taxation on the possession of real estate brings about the increase of tax burden, therefore, it proposed that a proper prevention system should be prepa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1
      • 차 례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제3절 선행연구의 검토 및 시사점 3
      • 제2장 부동산과 조세제도 8
      • 제1절 개관 8
      • 제2절 부동산의 의의 9
      • I. 부동산의 개념 9
      • II. 자산으로서 부동산 10
      • III. 자산으로서 부동산의 특징 11
      • 1. 공공성 11
      • 2. 고가성 12
      • 3. 분포의 불균등 12
      • 4. 자산 보유로 인한 높은 사용가치 13
      • IV. 토지공개념 14
      • 1. 의의 및 이론적 근거 14
      • 2. 토지공개념 3법 16
      • 3. 토지공개념 입법의 위헌성 논란 17
      • 4. 현황과 전망 19
      • 제3절 법률상 부동산의 의의 20
      • I. 민법 등 다른 법 영역에서의 부동산의 이해 20
      • 1. 민법 20
      • 2. 민법 이외 법률에서의 부동산의 이해 23
      • II. 조세법상 부동산의 이해 25
      • 1. 의의 25
      • 2. 부동산 26
      • 3. 부동산에 대한 권리 30
      • 4. 사실상 부동산 31
      • III. 소결 33
      • 제4절 부동산에 대한 조세제도 33
      • I. 조세제도의 의의 33
      • II. 조세제도의 기능 34
      • 1. 재정수요 조달기능 34
      • 2. 국가 정책의 실현 35
      • III. 부동산 관련 조세제도 36
      • 1. 의의 36
      • 2. 유형별 부동산 관련 조세 체계 37
      • IV. 소결 46
      • 1. 취득세와 부가가치세 46
      • 2. 거래세와 보유세 47
      • 3. 개인과 법인의 양도차익과세의 상이 49
      • 제3장 부동산 보유세의 의의 및 이론적 근거 50
      • 제1절 개관 50
      • 제2절 부동산 보유세의 일반 51
      • I. 부동산 보유세의 의의 51
      • II. 부동산 보유세의 특징 52
      • III. 부동산 보유세의 기능 54
      • 1. 재정확충기능 55
      • 2. 부의 재분배 기능 56
      • 3. 부동산 시장 조절 기능 57
      • 4. 소득세의 보완적 기능 58
      • 제3절 부동산 보유세의 이론적 근거 60
      • I. 의의 60
      • II. 응익과세원칙 60
      • 1. 응익과세원칙의 의의 60
      • 2. 응익과세원칙의 내용 61
      • 3. 응익과세원칙의 한계 63
      • 4. 응익과세원칙과 부동산 보유세 64
      • III. 응능과세원칙 65
      • 1. 응능과세원칙의 의의 65
      • 2. 응능과세원칙의 내용 66
      • 3. 응능과세원칙의 한계 68
      • 4. 응능과세원칙과 부동산 보유세 69
      • IV. 소결 69
      • 제4절 부동산 보유세의 헌법적 의의 71
      • I. 의의 71
      • II.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72
      • 1. 의의 72
      • 2.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법적 성격 73
      • 3. 부동산 보유세와의 관계 76
      • 4. 헌법재판소 판례 78
      • 5. 평가 79
      • III. 재산권 보장 80
      • 1. 의의 80
      • 2. 재산권의 법적 성격 80
      • 3. 부동산 보유세와의 관계 82
      • 4. 헌법재판소의 판례 83
      • 5. 평가 85
      • IV. 평등권 86
      • 1. 의의 86
      • 2. 평등권의 법적 성격 88
      • 3. 부동산 보유세와의 관계 88
      • 4. 헌법재판소의 판례 90
      • 5. 평가 91
      • V.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호 93
      • 1. 의의 93
      • 2.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호에 관한 권리의 법적 성격 94
      • 3. 부동산 보유세와의 관계 95
      • 4. 헌법재판소의 판례 96
      • 5. 평가 97
      • VI. 거주이전의 자유 98
      • 1. 의의 98
      • 2. 거주이전의 자유에 대한 법적 성격 98
      • 3. 부동산 보유세와의 관계 99
      • 4. 헌법재판소의 판례 99
      • 5. 평가 100
      • VII. 국가균형발전 101
      • 1. 의의 101
      • 2. 헌법적 근거 102
      • 3. 부동산 보유세와의 관계 103
      • 4. 헌법재판소의 판례 104
      • 5. 평가 105
      • 제4장 현행 부동산 보유세의 변천과 내용 106
      • 제1절 개관 106
      • 제2절 부동산 보유세의 변천 107
      • I. 일제강점기 시대 107
      • 1. 도입배경 107
      • 2. 내용 108
      • 3. 평가 109
      • II. 해방 이후 토지과다보유세 도입 이전 110
      • 1. 도입배경 110
      • 2. 내용 112
      • 3. 평가 115
      • III. 1987년 토지과다보유세의 도입 이후 종합토지세 도입 이전 116
      • 1. 도입배경 116
      • 2. 내용 117
      • 3. 평가 119
      • IV. 1990년 종합토지세의 도입 이후 종합부동산세 도입 이전 121
      • 1. 도입배경 121
      • 2. 내용 121
      • 3. 평가 127
      • V. 2005년 종합부동산세의 도입 이후 129
      • 1. 도입배경 129
      • 2. 종합부동산세의 도입 및 통합재산세 출범 130
      • 3. 부동산 보유세의 강화 133
      • 4. 종합부동산세법에 대한 헌법재판소 헌법불합치 결정 135
      • 5. 헌법재판소결정 이후 부동산 보유세 완화 경향 137
      • 제3절 부동산 보유세의 내용 142
      • I. 재산세 142
      • 1. 일반론 142
      • 2. 재산세의 기본내용 144
      • 3. 세액과 세율 161
      • 4. 부과 및 징수 165
      • II. 재산세 공동과세 166
      • 1. 도입배경 166
      • 2. 내용 166
      • 3. 평가 167
      • III. 종합부동산세 168
      • 1. 일반론 168
      • 2. 종합부동산세의 기본내용 170
      • 3. 부과 및 징수 174
      • 제5장 현행 부동산 보유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76
      • 제1절 개관 176
      • 제2절 세목분할 178
      • I. 현황 178
      • II. 문제점 179
      • III. 종합부동산세의 지방세 전환 시도 180
      • IV. 개선방안 181
      • 1. 부동산 보유세제의 이원화 체계 유지 181
      • 2. 부동산 보유세의 일원화 183
      • 제3절 보유세 세수의 편중 185
      • I. 현황 185
      • II. 문제점 190
      • III. 개선방안 192
      • 1. 종합부동산세 공동과세 192
      • 2. 재산세 공동과세 194
      • 제4절 과세대상 구분의 문제 196
      • I. 현황 196
      • 1. 보유세 과세대상구분 일반론 196
      • 2. 토지의 구분 196
      • 3. 주택의 구분 200
      • II. 문제점 200
      • 1. 토지의 구분 200
      • 2. 주택의 구분 203
      • III. 개선방안 204
      • 1. 토지구분체계의 명확화 204
      • 2. 주택구분체계의 명문화 205
      • 제5절 부동산 보유세 세부담의 적정성 207
      • I. 현황 207
      • 1. 국가 간 비교 207
      • 2. 국내 부동산 보유세 세부담의 시간적 비교 209
      • 3. 과세표준현실화율과 세율을 고려한 부동산 보유세의 세부담 216
      • II. 문제점 223
      • 1. 부동산 보유세의 낮은 세부담 223
      • 2. 과세대상별 224
      • III. 개선방안 226
      • 제6절 과세표준 229
      • I. 현황 229
      • 1. 개관 229
      • 2. 시가표준액 230
      • 3. 공정시장가액비율 231
      • II. 문제점 231
      • 1. 낮은 과세표준현실화율 231
      • 2. 과세대상 간 과세표준현실화율의 차이 233
      • 3. 낮은 공정시장가액비율 235
      • III. 개선방안 236
      • 1. 과세표준현실화율 제고 236
      • 2. 과세대상 간 공시가격 현실화율의 차이 조정 238
      • 3. 공정시장가액비율의 인상 239
      • 제7절 세부담상한제도 240
      • I. 현황 240
      • II. 문제점 242
      • III. 개선방안 243
      • 제8절 과세단위 문제 244
      • I. 현황 244
      • II. 문제점 245
      • III. 개선방안 246
      • 제6장 결 론 248
      • 참고문헌 251
      • 영문초록 25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창희, "세법강의", 세경사, 제14판, 박영사, 2016

      2 한수웅, "「헌법학」", 한성, 법문사, 2016

      3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박영사, 2017

      4 최우정, "「기본권론」", 준커뮤니케이션즈, 2016

      5 최문기, "「민법강의Ⅰ」", 세종출판사, 2016

      6 전태영, "「세금이야기」", 생각의나무, ㈜생각의나무, 2005

      7 이동식, "「조세정의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5

      8 홍성방, "「한국세제사」", 한국조세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2

      9 홍성방, "「헌법학개론」", 박영사, 박영사, 2017

      10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11판, 박영사, 2016

      1 이창희, "세법강의", 세경사, 제14판, 박영사, 2016

      2 한수웅, "「헌법학」", 한성, 법문사, 2016

      3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박영사, 2017

      4 최우정, "「기본권론」", 준커뮤니케이션즈, 2016

      5 최문기, "「민법강의Ⅰ」", 세종출판사, 2016

      6 전태영, "「세금이야기」", 생각의나무, ㈜생각의나무, 2005

      7 이동식, "「조세정의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5

      8 홍성방, "「한국세제사」", 한국조세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2

      9 홍성방, "「헌법학개론」", 박영사, 박영사, 2017

      10 정종섭, "「헌법학원론」", 제11판, 박영사, 2016

      11 방승주, "헌법과 조세정의", 한국헌법학회, 헌법학연구 제15권 제4호, 한국헌법학회, 2009

      12 석종현, "「손실보상법론」", 삼영사, 제2판, 삼영사, 2005

      13 방경식, 장희순, "「부동산학 총론」", 부연사, 부연사, 2016

      14 이동식, "『조세법과 헌법』", 준커뮤니케이션즈, 준커뮤니케이션즈, 2012

      15 전동흔, "「지방세실무해설」", 영화조세통람, 2014

      16 이동식, "「일반조세법」제4판", 준커뮤니케이션즈, 2016

      17 이동식, "「독일의 지방세 제도」", 한국지방세연구원, 2012

      18 김태호, "「지방세 이론과 실무」", 세경사, 세경사, 2014

      19 김철수, "「학설판례 헌법학 (상)」", 박영사, 2009

      20 홍성방, "「한국지방세60년사 제1권」", 한국지방세연구원, 경성문화사, 2017

      21 홍성방, "「한국지방세60년사 제2권」", 한국지방세연구원, 경성문화사, 2017

      22 이동수, "“시장 친화적 토지공개념”",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38집, 2007

      23 권혁진, 우명동, "종합부동산세 개편방안 연구", 지방세네트워크포럼 2014-12호, 한국 지방세연구원, 2015

      24 이병규(Lee, Byeong Gyu), "지역균형발전의 헌법적 고찰", 21세기영어영문학회, 공법학연구 제16권 제2호, 한국비교공법학 회, 2015

      25 김남두, "번역, 「재산권 사상의 흐름」", 천지, 1993

      26 김남진, "“토지공개념의 사상적 기반”", 사법행정 제32권 제11호, 한국사법행정학회, 1991

      27 김은철, "婚姻과 家族에 대한 憲法的 保護",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논총 제21집 제1호, 조선대학교 법 학연구원, 2014

      28 박상수, "“지방세 과표 제도의 발전방향”", 과표 포럼 제2015-01호, 한국지방세연구 원, 2015

      29 김안제, "“선진지방 자치발전과 균형발전연구”", 자치발전 제14권 제1호, 한국자치 발 전 연구원, 2007

      30 박상수, 이선화, "“과세대상별 재산과세 실표세율 추정”", 정책과제 2014-08호, 한국지 방세연구원, 2014

      31 노영훈, "“토지세 과세대상유형 분류 개선방안”", 지방재정과 지방세 제15호, 한국지방 재정공제회, 2009

      32 하능식, "토지보유세 과세대상 구분체계 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기본과제 2015-07호, 한국지방 세연구원, 2016

      33 이동식, "“응능과세원칙”, 공법연구 제32집 제5호", 한국공법학회, 2004

      34 신옥주, "“헌법상 혼인과 가족제도에 관한 고찰”",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아주법학 제9권 제3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35 표명환 ( Pyo Muoung Hwan ), "국가의 기본권개입의 한계와 정당성 심사",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법과정책 제22권 제3호, 제주대 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6

      36 노영훈, "한국 조세정책 50년 제1권: 조세정책의 평가", 한국조세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 구보고서 제1997권 제8호, 한국조세재정연구원, 1997

      37 김성수, "“부동산 보유과세 개편에 대한 입법과제”", 한국공법학회, 법연구 제33집 제2호, 한국공법학 회, 2005

      38 마정화, "“부동산 보유세제의 헌법적 의미와 과제”", 한국지방세연구원, 한국지방세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제2014권 제6호,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39 김현숙, 노영훈, "“소득과 주택자산 소유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연구 보고서 제2005권 제6호,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05

      40 김한수, 김은지, 조윤제, 정희웅, 채미옥, "단독주택 공시가격 산정방법 개선방안 연구", 한국감정원, 부동산분석 제2권 제2호, KAB부동산연구원, 2016

      41 김남철, "“8 31부동산 종합대책에 대한 공법적 검토”",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제34집 제3호, 한국공 법학회, 2006

      42 박상수, "“재산세 과표 결정의 문제점 및 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기본연구보고 서 제2015권 제3호, 한국지방세연구원, 2016

      43 김웅희, "조세국가의 형성과 규범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헌법학연구 제17권 제1호, 한국헌법학회, 2011

      44 전강수(Jun Gang-Soo), "부동산 정책의 역사와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한국사회경제학회, 사회경제평론 제29권 제 1호, 2007

      45 이영우(Lee Young-Woo),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실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토지공법연구 제38집, 2007

      46 노영훈, "“부유세와 소득 및 자산관련 조세개혁 방향”", 재정포럼 제191권, 한국조세재 정연구원, 2012

      47 김성수, "“토지공개념과 종합부동산세의 입법적 과제”", 고시연구사(연구), 고시연구 제31권 제3호, 고시 연구사, 2004

      48 마정화, 유현정, "“응익과세의 관점에서 본 지방세법 개편방향”", 한국지방세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제 2015권 제6호, 한국지방세연구원, 2016

      49 송상훈, "지방세제 선진화를 위한 종합부동산세 개편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정책연구 제2010권 제12 호, 경기연구원, 2010

      50 노영훈, "“지방세 체계의 전반적 평가와 개편의 필요성”", 지방세 제1호, 지방재정공제 회, 2007

      51 이선화, "“부동산 자산 분포 및 재산과세 부과특성 분석”", 한국지방세연구원, 지방세연구원, 한국지방세 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5권 9호, 2016

      52 옥무석, "“종합부동산세의 입법방향과 지방자치의 이념”", 한국지방자치법학회, 지방자치법연구 제4권 제1 호,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4

      53 차진아(Cha, Ji-Na), "사회국가의 실현구조와 토지공개념의 헌법상 의미", 한국비교공법학회, 공법학연구 제19권 제1 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54 장영은, 정준호, 이강용,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의 불평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 학보 제69권, 한국부동산학회, 2017

      55 박상수, "“재산세 과세대상 확대방안:상각자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지방세 네트워크 포럼 2015-02, 한국지방세연구원, 2015

      56 변혜정, "“경제위기에 대응한 부동산 세제 변화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원광법학 제29권 제4 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57 이동식, "“조세입법의 헌법적 한계”, 세무학연구 제27권 제3호", 한국세무학회, 2010

      58 김웅희, "부동산 조세입법의 “ 정책적 평가와 입법상의 문제”", 한국조세연구포럼, 조세연구 제13권 제3 호, 한국조세연구포럼, 2013

      59 노영훈, "“부유세와 종합부동산세-부유세의 조세정책적 의미”", 한국조세연구원, 2013

      60 유태현, "“우리나라 부동산 보유세제의 당면과제와 발전방향”",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학술발 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016

      61 이동식, "“부동산 보유세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토지공법학회", 한국토지공법학회 제 52회 학술대회, 2007

      62 마정화, 박정우, "“조세평등주의와 응익과세의 관계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지방자치법학회, 지방자치법연 구 제15권 제3호,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5

      63 노영훈, "“지방재산세 제도의 개혁방안, 지방세 제2006권 제1호”",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06

      64 남기업, 이진수, "“주요국의 부동산세제 비교연구-보유세실효세율비교-”", 토지+자유연 구소, 2017

      65 임승빈,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의 논리적합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3

      66 한수웅, "“오늘날의 헌법국가에서 제도보장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논문집 제41 집 제3호,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67 구균철, 박상수, "“종합부동산세의 지방세 전환에 따른 합리적인 운영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과제 2014-02호,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68 김태호, "“지방세법상 취득세의 취득개념과 과세물건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69 이부하, "“헌법상 토지재산권 보장 및 그 제한 법률에 대한 합헌성”", 공법연구 제43집 제1호,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70 이동식, "“포괄주의 조세입법의 헌법적 쟁점”, 조세법연구 제14권 제3호", 한국세법학 회, 2008

      71 이동식, "헌법적 관점에서 바라본 부동산세제”, 조세법연구 제12권 제1호", 한국세법 학회, 2006

      72 이동식, "“조세의 유도적 기능의 허용과 한계”, 조세법연구 제19권 제3호", 한국세법학 회, 2013

      73 김명용, "“참여정부의 토지공개념 정책에 대한 공법적 평가와 향후 방향”",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제34집 제3호, 한국공법학회, 2006

      74 박훈, "“현행 종합부동산세의 내용과 문제점”, 조세법연구 제12권 제1호", 한국세법 학회, 2006

      75 노영훈, "“부동산보유 및 거래세제의 변화에 따른 지방정부의 재정적 과제”", 한국지방재정학회, 제권 제1호, 한국지방재정학회 (2007), 2007

      76 이동식, "“거주용 주택에 대한 과세의 새로운 접근”, 세무학연구 제25권 제4호", 한국 세무학회, 2008

      77 권혁진, 유태현, "“토지분 재산세 과세대상 분류 실태와 합리적 개선 방향에 관한 연 구”", 한국국제회계학회, 국제회계연구 제41집, 한국국제회계학회, 2012

      78 유태현, "“재산세 과세대상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상각자산의 과세를 중심으로-”", 세 무와 회계연구 제6권 제3호, 2014

      79 이동식, 이상신, 박훈, "“종합부동산세법의 헌법합치성에 관한 소고”, 조세법연구 제13 권 제2호", 한국세법학회, 2007

      80 김성수, "“토지의 공개념과 토지에 대한 공법적 규제-토지관련 세제를 중심으로-”", 벽 파 김정건 박사 화갑기념논문집, 1993

      81 정지선, "“재산세 공동과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방자치법연구 제12권 제4호",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2

      82 이동식, "“독일 세법상 소위 ‘반액과세원칙’에 대한 검토”, 조세법연구 제15권 제1호", 한국세법학회, 2009

      83 박훈, "“ 재산세 주요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과세대상 및 세부담상한제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세연구원,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84 이우진, "“토지공개념제 재정립을 위한 법적 검토-토지초과이득세제 재도입을 중심으 로-”",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34집, 한국법학회, 2009

      85 박명호, "“부동산 보유세제의 장기적인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보유세의 기능을 중심 으로-”", 한국조세연구원, 2011

      86 이동식, "“부동산 무상거래와 관련한 취득세 과세표준제도의 문제점”, 조세법연구 제 20권 제1호", 한국세법학회, 2014

      87 조정인, "“소득분배의 불평등과 기회불평등의 인식이 한국인들의 재분배정책 선호에 끼치는 영향력”", 정치정보연구 제17권 제2호, 한국정치정보학회, 2014

      88 김철주, "“종합부동산세 좌절 과정 분석: 종합부동산세 도입추진 세력의 여론 관리 전 략 전술을 중심으로”",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글로벌사회복지연구 제6권 제1호, 극동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소, 2016

      89 최명근(Choe Myung Keun), 김상겸(Kim Sang Kyum), "우리나라 보유세제 개편을 위한 연구 : 종합부동산세 도입정책에 대한 평가 및 정책제언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