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아르바이트 경험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6307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 청소년학과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Relationship of the juvenile working experience and career maturity

      • 형태사항

        vi, 76 p.: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순종
        참고문헌 : p.61-67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iggest worries in adolescents may be their career paths. Adolescents are wondering about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what kinds of jobs are available in our nation, which one is appropriate for them, and also interested in finding out what to prepare for the job of their choice.
      The reality of our nation’s education, however, is focused on standardized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Parents are interested in grades rather than curious about what the adolescents are interested in or what they can do well. Adolescents enter college that is appropriate for their grades without knowing what they can do well and what is right for their aptitude because they are tied up with grades and tests. Even in college, they are focused on building up their curriculum vitae for future employment rather than finding out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If they choose their job and work based on their curriculum vitae they have been building, they may not be able to adapt to their job and suffer because the job does not fit their aptitu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and occupational maturity of adolescents, and the effects of social backgrounds (capital) on career maturity, and find out and compare what activities help choosing career and what the adolescents are actually doing. In addition, the actual status of adolescents’ part-time jobs and the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having a part-time job and legal protection according to the adolescents’ social capital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al backgrounds (capital) on career maturity revealed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depending on the economic capital.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the higher the maturity on future occupation. Social capital also revealed that the more friends one has,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is. In case of cultural capital, the group that does concrete cultural activities showed higher career maturity than the group that does simple cultural activities such as playing games or watching TV.
      Among the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career path, the most frequent activities adolescents did were, in the order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taking aptitude test, reading books or magazines related to career, and taking career counseling. Active and specific activities showed low performance level. The adolescents recognized, however, that active and specific activitie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and onsite field training will help in determining their career, while activities such as aptitude test and counselling will provide the least help.
      They think that the activities they do most in reality will not influence their career decision. These activities were determined no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career decision.
      Regarding adolescents’ part-time job experiences, 15% of the entire respondents had an experience of part-time job, and they had part-time job twice on average.
      For those who had part-time jobs, the types of their jobs were mostly serving or delivering jobs at general restaurants such as Bunsikjeom (a noodle snack bar), followed by serving at a café or distributing flyers. The results above show that the types of part-time jobs these adolescents took were limited.
      The motivation for adolescents taking a part-time job is to make spending money. Taking a part-time job for experience was 1/3 of all respondent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investigated more pract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reer maturity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y social backgrounds (capital), and by the motivation of taking part-time job.
      번역하기

      The biggest worries in adolescents may be their career paths. Adolescents are wondering about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what kinds of jobs are available in our nation, which one is appropriate for them, and also interested in finding out what to...

      The biggest worries in adolescents may be their career paths. Adolescents are wondering about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what kinds of jobs are available in our nation, which one is appropriate for them, and also interested in finding out what to prepare for the job of their choice.
      The reality of our nation’s education, however, is focused on standardized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Parents are interested in grades rather than curious about what the adolescents are interested in or what they can do well. Adolescents enter college that is appropriate for their grades without knowing what they can do well and what is right for their aptitude because they are tied up with grades and tests. Even in college, they are focused on building up their curriculum vitae for future employment rather than finding out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If they choose their job and work based on their curriculum vitae they have been building, they may not be able to adapt to their job and suffer because the job does not fit their aptitud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and occupational maturity of adolescents, and the effects of social backgrounds (capital) on career maturity, and find out and compare what activities help choosing career and what the adolescents are actually doing. In addition, the actual status of adolescents’ part-time jobs and the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having a part-time job and legal protection according to the adolescents’ social capital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al backgrounds (capital) on career maturity revealed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depending on the economic capital.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the higher the maturity on future occupation. Social capital also revealed that the more friends one has,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is. In case of cultural capital, the group that does concrete cultural activities showed higher career maturity than the group that does simple cultural activities such as playing games or watching TV.
      Among the activities that are related to career path, the most frequent activities adolescents did were, in the order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taking aptitude test, reading books or magazines related to career, and taking career counseling. Active and specific activities showed low performance level. The adolescents recognized, however, that active and specific activitie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and onsite field training will help in determining their career, while activities such as aptitude test and counselling will provide the least help.
      They think that the activities they do most in reality will not influence their career decision. These activities were determined no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career decision.
      Regarding adolescents’ part-time job experiences, 15% of the entire respondents had an experience of part-time job, and they had part-time job twice on average.
      For those who had part-time jobs, the types of their jobs were mostly serving or delivering jobs at general restaurants such as Bunsikjeom (a noodle snack bar), followed by serving at a café or distributing flyers. The results above show that the types of part-time jobs these adolescents took were limited.
      The motivation for adolescents taking a part-time job is to make spending money. Taking a part-time job for experience was 1/3 of all respondent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investigated more pract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reer maturity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y social backgrounds (capital), and by the motivation of taking part-time job.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청소년시기에 가장 큰 고민은 진로에 관한 고민일 것이다. 나의 적성과 흥미는 무엇이고 우리나라의 직업의 종류는 무엇이 있고 그 중에서 나에게는 어떤 직업이 맞는지를 청소년들을 궁금해 하고 그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은 획일화된 대학입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청소년이 관심 있고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해 하기보다는 성적에만 관심을 갖고 있다. 청소년들은 성적과 시험에 얽매여서 자신이 무엇을 잘하며 자신에게 맞는 적성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성적에 맞는 대학에 입학하여 대학에서도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게 아니라 미래 취업을 위한 스펙만 만드는데 열중하며 그동안 쌓아왔던 스펙으로 직업을 선택하고 그 직업을 실제로 수행하다보면 자신의 적성에 맞지 않아 직장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경우들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진로·직업성숙도에 대한 실태 및 사회적 배경(자본)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진로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활동이 무엇이고 어떤 활동을 실제로 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고 또한 청소년아르바이트 실태 및 청소년들의 사회적 자본 차이에 따라 아르바이트 동기 및 법적보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배경(자본)에 따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경제적 자본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차이를 보였다. 경제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미래의 직업에 대한 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 역시 친구의 수가 많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자본의 경우 게임이나 TV시청 같은 단순한 문화 활동을 하는 집단보다 보다 구체적인 문화 활동을 하는 경우에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관련 활동 중에서 가장 많이 수행한 활동으로 적성검사나 진로관련 책이나 잡지 열독, 진로관련 상담 등의 활동 순으로 청소년들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이고 구체적 활동은 낮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청소년들이 인식하기로는 직업훈련 및 사업체 파견형식의 현장실습 등의 적극적이고 구제척인 활동이 진로결정에 도움이 될 거라 인식하였고, 적성검사나 상담 등의 활동은 가장 적게 도움을 줄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이 정작 진로결정을 하는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거라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활동 등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데 크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의 15%만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었고, 평균 2회의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경우 아르바이트 유형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전반적으로 분식점 등 일반 음식점에서의 서빙, 배달 아르바이트가 주요 일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고, 카페 서빙 및 전단지 돌리기가 그 뒤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 종류가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동기를 살펴보면 금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을 위해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는 전체 응답의 3분의 1에만 해당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경(자본)에 따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아르바이트 동기에 따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더 실질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폈다는 점에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청소년시기에 가장 큰 고민은 진로에 관한 고민일 것이다. 나의 적성과 흥미는 무엇이고 우리나라의 직업의 종류는 무엇이 있고 그 중에서 나에게는 어떤 직업이 맞는지를 청소년들을 궁금...

      청소년시기에 가장 큰 고민은 진로에 관한 고민일 것이다. 나의 적성과 흥미는 무엇이고 우리나라의 직업의 종류는 무엇이 있고 그 중에서 나에게는 어떤 직업이 맞는지를 청소년들을 궁금해 하고 그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은 획일화된 대학입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청소년이 관심 있고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해 하기보다는 성적에만 관심을 갖고 있다. 청소년들은 성적과 시험에 얽매여서 자신이 무엇을 잘하며 자신에게 맞는 적성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성적에 맞는 대학에 입학하여 대학에서도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게 아니라 미래 취업을 위한 스펙만 만드는데 열중하며 그동안 쌓아왔던 스펙으로 직업을 선택하고 그 직업을 실제로 수행하다보면 자신의 적성에 맞지 않아 직장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경우들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진로·직업성숙도에 대한 실태 및 사회적 배경(자본)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진로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활동이 무엇이고 어떤 활동을 실제로 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고 또한 청소년아르바이트 실태 및 청소년들의 사회적 자본 차이에 따라 아르바이트 동기 및 법적보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배경(자본)에 따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경제적 자본에 따라 진로성숙도에 차이를 보였다. 경제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미래의 직업에 대한 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 역시 친구의 수가 많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자본의 경우 게임이나 TV시청 같은 단순한 문화 활동을 하는 집단보다 보다 구체적인 문화 활동을 하는 경우에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관련 활동 중에서 가장 많이 수행한 활동으로 적성검사나 진로관련 책이나 잡지 열독, 진로관련 상담 등의 활동 순으로 청소년들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이고 구체적 활동은 낮은 수행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청소년들이 인식하기로는 직업훈련 및 사업체 파견형식의 현장실습 등의 적극적이고 구제척인 활동이 진로결정에 도움이 될 거라 인식하였고, 적성검사나 상담 등의 활동은 가장 적게 도움을 줄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이 정작 진로결정을 하는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거라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활동 등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데 크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의 15%만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었고, 평균 2회의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경우 아르바이트 유형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전반적으로 분식점 등 일반 음식점에서의 서빙, 배달 아르바이트가 주요 일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고, 카페 서빙 및 전단지 돌리기가 그 뒤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 종류가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동기를 살펴보면 금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을 위해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는 전체 응답의 3분의 1에만 해당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경(자본)에 따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아르바이트 동기에 따라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더 실질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폈다는 점에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문제 4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문제 4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진로성숙도 6
      • 제2절 청소년 아르바이트 14
      • 제3절 사회적 자본 22
      • 제3장 연구방법 24
      • 제1절 연구모형 24
      • 제2절 자료에 대한 설명 24
      • 제3절 변수에 대한 설명 24
      • 제4절 자료 분석방법 27
      • 제4장 연구결과 28
      • 제1절 일반적 특성 28
      • 제2절 진로성숙도 30
      • 제3절 청소년 아르바이트 40
      • 제4절 사회적 배경(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50
      • 제5절 아르바이트 동기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53
      • 제5장 결론 및 제언 56
      • 제1절 요약 및 결론 56
      • 제2절 제언 59
      • 참고문헌 61
      • 부 록 68
      • Abstract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