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초고령화가 일반화된 사회 속에서 농촌 지역과 해당 지역의 노 인들은 비교적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문화예술교 육의 경우 대체적으로 센터를 중심으로 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68765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문화예술교육전공 , 2025. 2
2025
한국어
농촌 지역 ; 문화예술교육 ; 프로그램 개발 ; 노인 교육 ; 지역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충청북도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gram for Rural Elderly
ⅷ, 107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고영신
참고문헌 : p. 101-104
I804:43012-0000000425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초고령화가 일반화된 사회 속에서 농촌 지역과 해당 지역의 노 인들은 비교적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문화예술교 육의 경우 대체적으로 센터를 중심으로 한 ...
오늘날 초고령화가 일반화된 사회 속에서 농촌 지역과 해당 지역의 노 인들은 비교적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문화예술교 육의 경우 대체적으로 센터를 중심으로 한 교육 사업과 인프라가 활성화 되어있는 반면, 농촌 지역의 경우 대부분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해당 지역의 노인들은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렇 기에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농촌 지역의 소외된 잠재적인 노인 학습자들 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삶의 터전으로 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지곡마을을 노인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곡마을 소리정원’을 개발하고 실 행한 과정을 통해 농촌 지역 노인 학습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인 ‘문 화공동체’, ‘예술성’, ‘자아정체성’ 3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례 관찰 연구를 채택하였 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진천군 백곡면 지곡마을 노인 2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수업 관찰, 참여자 기록물 분석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이 농촌 지역 노인 학습자에 게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문화 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었다. ‘지곡마을 소리정원’ 프로그램은 이웃 간 정서적 연결과 사회 적 유대감을 형성하며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에 기여함을 살펴볼 수 있었 다. 둘째, 노인 학습자의 예술성을 함양하는 것에 기여하였다. 셋째, 자 아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었다. 반복적인 일상에 머물던 참여자들은 수업 을 통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삶의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환경적 제약을 극복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활 성화할 수 있었다.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농촌 지역의 접근성 문 제를 해결하며,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 지역 노인 대상 문화예술교육이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 을 넘어 지역사회와 개인에게 실질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문 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 모델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가 농촌 지역에서의 문 화예술교육 활성화 및 정책적 지원 확대로 이어지길 바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