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울진군 연안에 서식하는 참가자미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의 식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07220

      • 저자
      • 발행사항

        강릉 :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해양생명공학과,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해양생명공학과 , 해양생명공학과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26 cm

      • UCI식별코드

        I804:42001-000000010911

      • 소장기관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리 연안에 서식하는 참가자미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12월, 2020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1619개체를 측정하였고, 그 중 832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참가자미의 먹이생물은 거미불가사리류(Ophiuroide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갯지렁이류(Polychaeta), 이매패류(Bivalvia)가 우점종을 차지하였고, 그 외, 단각류(Amphipoda), 어류(Pisces), 산호충류 (Anthozoa), 기타먹이생물(게류(Brachyura), 두족류(Cephalopoda), 쿠마류(Cumacea), 주걱벌레붙이류(Tanaidacea)등이 발견되었으며, 2019년 공복율은 7.5%, 2020년 공복율은 12.0%를 나타내었다.
      체장에 따른 먹이조성은 4개 계급 중 3개 계급이 포함되는 10cm에서 39cm에서는 거미불가사리류를 주로 섭이하였고, 40cm이상 계급에서는 거미불가사리류와 이매패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월별에 따른 먹이조성은 3월에서 6월에는 개체수비와 습중량비가 동일하게 갯지렁이류와 단각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9월에서 이듬해 1월에는 개체수비에서 거미불가사리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습중량비는 거미불가사리류와 어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은 봄에 개체수비와 습중량비 모두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여름에 개체수비는 기타 분류군을, 습증량비는 거미불가사리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가을에 개체수비는 거미불가사리류를, 습중량비는 어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겨울에는 개체수비, 습중량비 모두 기타 분류군을 주로 섭이하였다.
      참가자미의 산란기는 1월부터 5월까지이며, 주 산란기는 2월부터 4월이다.
      산란기에 따른 먹이조성은, 미숙 시기와 중숙 시기에는 거미불가사리류, 완숙 시기에는 갯지렁이류와 단각류, 방후 시기에는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2020년 4월에서 5월에는 모두 난바다곤쟁이류가 극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세대염기서열에서는 홍가자미(Hippoglossus hippoglossus)의 비율이 극우점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외 거미불가사리류와 갯지렁이류, 단각류가 소량 발견되었다.
      안정동위원소는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 2020년 난바다곤쟁이류의 탄소 안정동위원소(δ¹³C)의 (-)값이 가장 큰 것으로 보아 먹이생물 중 가장 낮은 영양단계를 나타내었고, 질소 안정동위원소(δ¹⁵N)의 값은 모든 계절에서 거미불가사리류, 갯지렁이류, 이매패류 순으로 나타내었다. 단각류가 출현한 여름, 가을, 겨울에는 거미불가사리류, 갯지렁이류, 이매패류, 단각류 순으로 영양단계를 나타내었다.
      참가자미의 근육조직과 먹이생물의 안정동위원소 값을 비교해보면, 저서성 어종인 참가자미와 먹이생물의 서식장소가 저층으로 서로 일치했으며, 난바다곤쟁이류는 저층보다 얕은 수심에 서식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즉, 참가자미가 상위 포식자의 위치로 거미불가사리류, 이매패류, 갯지렁이류, 단각류, 난바다곤쟁이류를 섭이하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리 연안에 서식하는 참가자미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12월, 2020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1619개체를 측정하였...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리 연안에 서식하는 참가자미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12월, 2020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1619개체를 측정하였고, 그 중 832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참가자미의 먹이생물은 거미불가사리류(Ophiuroide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갯지렁이류(Polychaeta), 이매패류(Bivalvia)가 우점종을 차지하였고, 그 외, 단각류(Amphipoda), 어류(Pisces), 산호충류 (Anthozoa), 기타먹이생물(게류(Brachyura), 두족류(Cephalopoda), 쿠마류(Cumacea), 주걱벌레붙이류(Tanaidacea)등이 발견되었으며, 2019년 공복율은 7.5%, 2020년 공복율은 12.0%를 나타내었다.
      체장에 따른 먹이조성은 4개 계급 중 3개 계급이 포함되는 10cm에서 39cm에서는 거미불가사리류를 주로 섭이하였고, 40cm이상 계급에서는 거미불가사리류와 이매패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월별에 따른 먹이조성은 3월에서 6월에는 개체수비와 습중량비가 동일하게 갯지렁이류와 단각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9월에서 이듬해 1월에는 개체수비에서 거미불가사리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습중량비는 거미불가사리류와 어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은 봄에 개체수비와 습중량비 모두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여름에 개체수비는 기타 분류군을, 습증량비는 거미불가사리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가을에 개체수비는 거미불가사리류를, 습중량비는 어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겨울에는 개체수비, 습중량비 모두 기타 분류군을 주로 섭이하였다.
      참가자미의 산란기는 1월부터 5월까지이며, 주 산란기는 2월부터 4월이다.
      산란기에 따른 먹이조성은, 미숙 시기와 중숙 시기에는 거미불가사리류, 완숙 시기에는 갯지렁이류와 단각류, 방후 시기에는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2020년 4월에서 5월에는 모두 난바다곤쟁이류가 극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세대염기서열에서는 홍가자미(Hippoglossus hippoglossus)의 비율이 극우점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외 거미불가사리류와 갯지렁이류, 단각류가 소량 발견되었다.
      안정동위원소는 계절별로 분석한 결과, 2020년 난바다곤쟁이류의 탄소 안정동위원소(δ¹³C)의 (-)값이 가장 큰 것으로 보아 먹이생물 중 가장 낮은 영양단계를 나타내었고, 질소 안정동위원소(δ¹⁵N)의 값은 모든 계절에서 거미불가사리류, 갯지렁이류, 이매패류 순으로 나타내었다. 단각류가 출현한 여름, 가을, 겨울에는 거미불가사리류, 갯지렁이류, 이매패류, 단각류 순으로 영양단계를 나타내었다.
      참가자미의 근육조직과 먹이생물의 안정동위원소 값을 비교해보면, 저서성 어종인 참가자미와 먹이생물의 서식장소가 저층으로 서로 일치했으며, 난바다곤쟁이류는 저층보다 얕은 수심에 서식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즉, 참가자미가 상위 포식자의 위치로 거미불가사리류, 이매패류, 갯지렁이류, 단각류, 난바다곤쟁이류를 섭이하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List of Figures
      • List of Table
      • List of appendix
      • Abstract
      • List of Figures
      • List of Table
      • List of appendix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1. 시료채집 및 측정
      • 2. 위내용물 분석
      • 3.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 4. 동위원소 시료 준비 및 분석
      • Ⅲ. 결과
      • 1. 체장 조성
      • 2. 체장과 체중의 관계식
      • 3. 위내용물 조성
      • 1) 참가자미의 먹이생물 조성
      • 2)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
      • ⑴ 체장에 따른 먹이조성의 변화
      • ⑵ 월별에 따른 먹이조성의 변화
      • ⑶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의 변화
      • ⑷ 산란기에 따른 먹이조성의 변화
      • 4.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 5. 안정동위원소의 값
      • Ⅳ. 고찰
      • Ⅴ. 국문요약
      • Ⅵ. 참고문헌
      • Ⅶ. 감사의 글
      • Ⅷ.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