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구의 경제수준에 따른 의료비 부담과 부문별 비용의 추이 = Changes in the level and the composition of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43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mited coverag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leads to high out-of-pocket payment for health care.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 Data from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2003 through 2011 were analyzed and total household expenditure excluding health expenditure was used as a proxy measure for income. The unit of analysis was household. We examined changes in spending for inpatient care, ambulatory care, and prescription drugs as well as total health expenditures, taking account of income level.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financial burden for total health expenditures and differential changes by health services across income levels. First, financial burden for health expenditures in the lowest income group increased higher than that in other income groups. Second, while highest increase in spending for inpatient care was found in the highest income group, spending for prescription drugs increased highest in the lowest income group. Spending for ambulatory care increased similarly across income levels. Difference in health expenditures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income group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inpatient care spending, which would be related to substantial non-covered servic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people in low income group have limited access and utilization for health care services except for prescription drugs. The results call for more generous catastrophic coverage and extend covered services to assure better access to health services and decrease in financial burden for health care in low income group.
      번역하기

      Limited coverag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leads to high out-of-pocket payment for health care.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 Data from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2003 through 2011...

      Limited coverag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leads to high out-of-pocket payment for health care.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health expenditures by income level. Data from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rom 2003 through 2011 were analyzed and total household expenditure excluding health expenditure was used as a proxy measure for income. The unit of analysis was household. We examined changes in spending for inpatient care, ambulatory care, and prescription drugs as well as total health expenditures, taking account of income level.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financial burden for total health expenditures and differential changes by health services across income levels. First, financial burden for health expenditures in the lowest income group increased higher than that in other income groups. Second, while highest increase in spending for inpatient care was found in the highest income group, spending for prescription drugs increased highest in the lowest income group. Spending for ambulatory care increased similarly across income levels. Difference in health expenditures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income group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inpatient care spending, which would be related to substantial non-covered servic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people in low income group have limited access and utilization for health care services except for prescription drugs. The results call for more generous catastrophic coverage and extend covered services to assure better access to health services and decrease in financial burden for health care in low income grou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성현, "한국의 보건의료의 부담과 수혜의 공평성"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59-81, 2004

      2 여유진, "한국에서의 소비지출 불평등에 관한 연구 : 집합적 소비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진구, "저소득층의 의료 이용과 욕구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5-33, 2008

      4 손수인, "저소득층의 과부담의료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5 허순임, "우리나라 성인의 미 충족의료 현황: 연령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3 (13): 1-16, 2007

      6 유경준, "우리나라 빈곤변화 추이와 요인분석" 215 : 2009

      7 김수정, "우리나라 가구 의료비부담과 미충족 의료 현황: 의료보장 형태와 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7 (17): 47-70, 2011

      8 채수미, "외래내원 천식환자의사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의료이용의 형평성" 한국보건사회학회 (22) : 183-203, 2007

      9 이용재, "소득계층별 건강보험 본인부담과 이용의 형평성"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173-199, 2006

      10 김태일, "소득 계층별 의료비 부담의 추이와 정책 과제" 한국보건행정학회 18 (18): 23-48, 2008

      1 문성현, "한국의 보건의료의 부담과 수혜의 공평성"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59-81, 2004

      2 여유진, "한국에서의 소비지출 불평등에 관한 연구 : 집합적 소비의 사회복지적 함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김진구, "저소득층의 의료 이용과 욕구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5-33, 2008

      4 손수인, "저소득층의 과부담의료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5 허순임, "우리나라 성인의 미 충족의료 현황: 연령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3 (13): 1-16, 2007

      6 유경준, "우리나라 빈곤변화 추이와 요인분석" 215 : 2009

      7 김수정, "우리나라 가구 의료비부담과 미충족 의료 현황: 의료보장 형태와 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7 (17): 47-70, 2011

      8 채수미, "외래내원 천식환자의사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의료이용의 형평성" 한국보건사회학회 (22) : 183-203, 2007

      9 이용재, "소득계층별 건강보험 본인부담과 이용의 형평성"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173-199, 2006

      10 김태일, "소득 계층별 의료비 부담의 추이와 정책 과제" 한국보건행정학회 18 (18): 23-48, 2008

      11 권순만, "보건의료이용의 형평성" 9 (9): 13-24, 2003

      12 신영전, "미 충족의료의 현황과 관련요인 -1차, 2차 한국복지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95-122, 2009

      13 이원영, "도시가계의 소득계층별 과부담의료비 실태" 한국사회보장학회 21 (21): 105-132, 2005

      14 김진구, "노인들의 건강 및 의료이용의 형평성" 사회과학연구소 27 (27): 65-87, 2011

      15 김윤희, "경제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과부담 의료비 지출 추이 분석"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5 (15): 59-77, 2009

      16 양봉민, "건강보험의 목표보장률 및 실현방안"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17 Xu K,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 multi country analysis" 362 (362): 111-117, 2003

      18 최기춘, "2008년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Economics Policy -> Th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8 1.153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