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문화콘텐츠 디자인 프로젝트의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Content Platform of Local Cultural Content Design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1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l cultural content design project can provide various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unique tangible and intangible contents through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of design.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providing and managing digitized content and applying location-based digital media technology was necessary for the content sharing and project revitalization of “O!Daejeon,” which has been in progress for the past 6 years. In the proposed digital content platform resulting from the study, detailed strategies were set for content-oriented information design using metadata, location-based content provision using digital maps, and field experience using mixed reality content. This digital content platform will be a good reference source for sharing the accumulated content and preparing the project revitalization plan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operation of similar design projects in the future.
      번역하기

      Local cultural content design project can provide various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unique tangible and intangible contents through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of design.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providing and managing digitiz...

      Local cultural content design project can provide various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unique tangible and intangible contents through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of design.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providing and managing digitized content and applying location-based digital media technology was necessary for the content sharing and project revitalization of “O!Daejeon,” which has been in progress for the past 6 years. In the proposed digital content platform resulting from the study, detailed strategies were set for content-oriented information design using metadata, location-based content provision using digital maps, and field experience using mixed reality content. This digital content platform will be a good reference source for sharing the accumulated content and preparing the project revitalization plan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operation of similar design project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 문화콘텐츠 디자인 프로젝트는 디자인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통해 지역만의 독창적인 유·무형적 콘텐츠 개발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6년간 진행해온 대전의 문화콘텐츠 디자인 프로젝트 <오!대전>의 콘텐츠 공유와 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하여 디지털화된 콘텐츠의 제공 및 관리와 위치 기반 디지털 미디어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제안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에서는 메타데이터 활용 콘텐츠 중심 정보 설계, 디지털 지도 활용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그리고 혼합현실 활용 콘텐츠 현장 체험을 세부 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은 향후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들의 운영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축적된 콘텐츠의 공유와 프로젝트 활성화 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지역 문화콘텐츠 디자인 프로젝트는 디자인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통해 지역만의 독창적인 유·무형적 콘텐츠 개발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

      지역 문화콘텐츠 디자인 프로젝트는 디자인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통해 지역만의 독창적인 유·무형적 콘텐츠 개발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6년간 진행해온 대전의 문화콘텐츠 디자인 프로젝트 <오!대전>의 콘텐츠 공유와 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하여 디지털화된 콘텐츠의 제공 및 관리와 위치 기반 디지털 미디어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제안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에서는 메타데이터 활용 콘텐츠 중심 정보 설계, 디지털 지도 활용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그리고 혼합현실 활용 콘텐츠 현장 체험을 세부 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은 향후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들의 운영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축적된 콘텐츠의 공유와 프로젝트 활성화 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영, "혼합현실 콘텐츠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46) : 181-206, 2017

      2 정수희 ; 이병민,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일본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소 28 (28): 55-80, 2016

      3 박수진, "지역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역할 연구- 디앤디파트먼트의 일본 비전 프로젝트 사례분석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129-139, 2013

      4 신정아, "로컬콘텐츠 기획 및 제작 방안 연구 -이문동 문화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3) : 89-111, 2018

      5 이승민,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보존 메타데이터 패키지 구축" 한국정보관리학회 32 (32): 21-47, 2015

      6 Jeungah Ryoo, "Theory and the reality in local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8 : 39-57, 2006

      7 "Innovative use cases of augmented reality"

      1 김희영, "혼합현실 콘텐츠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46) : 181-206, 2017

      2 정수희 ; 이병민,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일본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소 28 (28): 55-80, 2016

      3 박수진, "지역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역할 연구- 디앤디파트먼트의 일본 비전 프로젝트 사례분석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129-139, 2013

      4 신정아, "로컬콘텐츠 기획 및 제작 방안 연구 -이문동 문화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3) : 89-111, 2018

      5 이승민, "디지털 아카이빙을 위한 보존 메타데이터 패키지 구축" 한국정보관리학회 32 (32): 21-47, 2015

      6 Jeungah Ryoo, "Theory and the reality in local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8 : 39-57, 2006

      7 "Innovative use cases of augmented real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5-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Associ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