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시대 예술의 미디어 고고학적 해석 : 전(前)영화사적 광학 장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5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media archaeology, a diachronic study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and media, and analyze artworks based on the art theory derived from media archaeology.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artists before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media archaeology, a diachronic study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and media, and analyze artworks based on the art theory derived from media archaeology.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artists before the emergence of film in 1895 who used various optical instruments as motifs for their works. Media archaeology recently emerged as a new methodology for studying artistic practices. As such, media archaeology needs to be expand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explained in the context of key trends of contemporary art.
      The main body of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factors that triggered discussions on media archaeology, as well as related issue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dia archaeology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media, even though it mainly concerns itself with analogue media and those that came before them. This part presents the gist and issues of media archaeology that penetrate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Media archaeology constitutes a key research theme in two circles: the German media theory, which analyzes contemporary media with focus on hardware and technologies; and the new film history theory, which explores the history of equipment and technologies in cinema. The German media theory and the new film history are based on materialistic media analysis and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This study overviews the key points of the theories by focusing on the arguments put forward by scholars who represent the respect theories. The following paragraphs explain the art trends and the types of artistic practices as interpreted from the media archaeology perspective. These artists work with materials such as abandoned electronic devices, cultures out of fashion, and old records, by reviving them with unique technologies. Such artworks are called ‘zombie media,’ because these media have returned from death. Lastly, this study proposes new types of works distinguished from zombie media, and assesses the possibility of in-depth expansion of media archaeology. The artists mentioned in this part creatively revived ancient optical devices and the cultures and history associated with those devices by connecting them with contemporary technologies and artistic trends. In new film history studies, precinema instruments and optical devices used as painting aids or for observation of nature are called “precinema optical devices”. This study focuses on eight artists and their major works, along with a small number of other artists for comparison. While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types of media archaeology art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dds three new types based on the different times of emergence and types of the technologies and the need for new production methods.
      In addition, as the means of interpreting the artists’ achievements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trends beyond the media archaeology art theory, this study relies on the concepts of remediation and post-production. Remediation explain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old and new media associated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re are two strategies for remediation: immediacy and hypermediacy. Media archaeologists create multi-layered interface structures between old and new media and between media and humans as their aesthetic strategies. This approach shows that they employ the hypermediacy strategy.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ntemporary art trends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post-production. Originating from the film industry, the concept is widely used as a means of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that is, the use of already completed art work and cultural productions as material and subject matters for new proj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phenomenon surrounding art and technology. Underlying this study is the intention to distinguish between the value of novelty in the context of stellar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the new sensations encouraged by new technologies. This study also seeks to prove that, in art, novelty can be expressed by reviving old or forgotten technologies from the past. In other words, media archaeology and the media archaeology art theory are aimed at taking a wider and more nuanced view of technologies, and contempla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 dart. This study seeks to show that media archaeology holds relevance beyond its theoretical contributions, because it evokes viewers’ imaginations beyond common beliefs and stereotypes, and provide artists with inspiration and motivation for creating new works. In this sense, while this scop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media archaeology art and precinema optical devices, it may be linked with the issue of media in art and other fundamental and critical questions about novelty in 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술 미디어의 역사를 통시적 시각으로 연구한 미디어 고고학 이론을 소개하고 이론에서 파생된 예술론을 통한 예술 작품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분석 대상은 1895년 등...

      본 논문은 기술 미디어의 역사를 통시적 시각으로 연구한 미디어 고고학 이론을 소개하고 이론에서 파생된 예술론을 통한 예술 작품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 분석 대상은 1895년 등장한 필름 영화를 기준으로 그보다 이전에 등장했던 여러 광학 장치를 모티브로 제작하는 예술가와 작품들이다. 이는 최근 미디어 고고학이 예술적 실행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의 미디어 고고학 예술 연구의 질적, 양적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동시대 예술의 주요 흐름 속에서도 설명이 요구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문은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미디어 고고학의 논의를 촉발한 시대적 배경과 학문적 전통 그리고 주요 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디어 고고학은 아날로그 미디어를 포함 그 이전의 모든 오래된 미디어를 주된 대상으로 하지만 역설적으로 지금의 디지털 미디어 등장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논문 전체를 관통하는 미디어 고고학 이론의 내용과 문제의식을 논의하게 된다. 미디어 고고학은 현재 미디어를 분석하는데 장치와 기술을 중심에 두고 연구하는 독일계 매체 이론과 영화학에서 영화를 이루는 장치 기술의 역사를 탐구하는 신(新)영화사 연구 두 분야의 주요한 연구 주제이다. 독일계 매체 이론과 신영화사의 연구는 공히 유물론적 시각의 매체 분석과 고고학적 역사 이해를 기초로 하는데 각 분야를 대표하는 학자의 주장을 중심으로 주요 논제를 정리했다. 다음은 미디어 고고학의 방법론으로 해석한 예술 작품의 동향과 실천 유형을 설명했다. 이 분야 예술가들은 주로 폐기된 전자기기, 유행이 지난 문화, 오래된 기록물 등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며 이들을 독창적 기술로 되살리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이런 방식으로 되살아난 예술 작품은 죽음으로부터 구원받은 미디어라는 의미로 좀비 미디어라 명명된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연구된 좀비 미디어와 구분된 새로운 유형의 작품을 제시하고 이것으로 미디어 고고학 예술론의 깊이 있는 확장성을 타진해 보았다. 논문에 제시된 여러 사례는 고대의 광학 장치와 이를 둘러싼 문화와 역사를 현대의 기술과 현대의 예술적 흐름에 접목하여 창의적으로 되살리는 작업을 하는 예술가와 작품이다. 필름 영화 이전에 상영회와 회화의 보조 도구 또는 자연 과학적 관찰용으로 고안되었던 광학 장치를 통틀어 신(新)영화사 연구에서는 ‘전(前)영화사적 광학 장치’라 부르고 있다. 모두 8명의 예술가를 선별하여 이들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기술하되 비교를 위하여 소수의 다른 작가도 포함했다. 분석 방식은 선행 연구된 미디어 고고학 예술의 유형을 기초로 하고 있으나 기술의 등장 시기와 종류가 달라지며 새로운 제작방식이 요구됨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을 추가하여 서술하였다.
      나아가 이들의 미학적 성취를 미디어 고고학 예술론 외에 동시대 예술의 흐름으로 해석하기 위한 장치로 재매개(remediation)와 포스트 프로덕션(post production) 개념을 빌어와 재분석을 시도하였다. 기술의 발전에 수반되는 오래된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의 상호관계를 설명한 재매개 개념은 크게 비매개와 하이퍼 매개의 전략적 특징으로 나누어진다. 미디어의 매개성을 최대한 드러내면서 과거와 현재의 미디어, 미디어와 인간 사이의 다층적 인터페이스(interface) 구조를 미학적 전략으로 구성한 예술가의 작업 방식은 미디어 고고학 예술이 하이퍼 매개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미디어 고고학 예술의 동시대적 흐름으로 설명하기 위해 포스트 프로덕션 개념과 연계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원래 영화제작의 후반 작업을 의미하는 포스트 프로덕션은 이미 완성된 예술 또는 문화적 생산물을 작품 제작의 소재와 주제로 활용하는 현대 미술의 특징을 설명하는 개념어로 널리 쓰이고 있다.
      본 논문은 예술과 기술의 동시대적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눈부신 과학 기술의 발전 속에 예술에서 말하는 새로움의 가치를 기술의 새로움이 조장하는 감각적 새로움과 구분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 그리고 예술에서 말하는 새로움이 오래되었거나 잊힌 과거의 기술을 되살려 표현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려 했다. 이는 기술을 좀 더 광범위하고 섬세하게 살펴 예술과의 관계에 대해 성찰하자는 미디어 고고학과 예술론의 메시지이다. 연구를 통해 미디어 고고학은 이론으로서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상식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상상력을 자극하고 예술가에게 작품 제작의 영감과 동기를 주기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천명하려 했다. 그런 차원에서 본 연구는 비록 미디어 고고학 예술과 전영화사적 광학 장치라는 제한적 분야에 한정되어 있지만, 결과적으로 예술에서의 매체의 문제 그리고 예술적 새로움의 근본적이고 비판적 질문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구성 4
      • 1. 미디어 고고학의 주요 모티브 4
      • 2. 미디어 고고학의 예술적 실행 7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구성 4
      • 1. 미디어 고고학의 주요 모티브 4
      • 2. 미디어 고고학의 예술적 실행 7
      • 3. 전(前)영화적 광학 장치의 예술적 재매개 8
      • 제2장 미디어 고고학의 주요 논점 9
      • 제1절 미디어 고고학의 등장 9
      • 1. 시대적 배경 9
      • 2. 미디어 고고학 전(前)사 11
      • 제2절 미디어 고고학의 연구 분야 14
      • 1. 유물론적 매체이론 14
      • 2. 신영화사 (New Film History) 21
      • 제3장 미디어 고고학의 예술적 실행 24
      • 제1절 좀비 미디어 (Zombie Media) 26
      • 1. 계획된 진부화(planned obsolescence) 27
      • 2. 폐기된 미디어의 예술적 재매개 29
      • 3. 재매개 된 좀비 미디어의 유형 31
      • 제4장 전(前)영화사적 광학 장치의 예술적 재매개 40
      • 제1절 다양한 광학 장치의 전(前)영화사적 역사 40
      • 제2절 예술가와 작품 50
      • 제3절 전(前)영화사적 광학 장치의 고고학적 재매개 유형 97
      • 제4절 미디어 고고학 예술의 극복 혹은 보완 102
      • 1. 하이퍼 매개(hyper media) 전략 103
      • 2. 포스트 프로덕션(post production) 측면 108
      • 제5장 결 론 116
      • 참고문헌 121
      • 국문초록 126
      • ABSTRACT 12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리처드 그루신, 제이 데이비드 볼터, "재매개』",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재현 역, 2006

      2 마셜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김상호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3 니꼴라 부리요, "포스트프로덕션", 정연심ㆍ손부경 역, 그레파이트온핑크, 2016

      4 Elsaesser , Thomas, "Media archaeology as Symptom", Vol . 14 , Issue 2, 2016

      5 마크 해치, "메이커 운동 선언", 정향 역, 한빛미디어, 2014

      6 김규식, "사진에 관한 실험", 보스토크프레스, 2021

      7 빅터 스토이치타, "그림자의 짧은 역사", 이윤희 역, 현실문화, 2006

      8 토마스 엘세서, "『디지털 시대의 영화 2002』,", (한나래, 2002) 김성욱 외 옮김, 2002

      9 McLuhan , Marshall, "Understading Media : The Extensions of Man", 1994

      10 정준희, "「인공유물 연쇄로서의 미디어」", 언론정보연구 Vol. 54, No. 1, 2017

      1 리처드 그루신, 제이 데이비드 볼터, "재매개』",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재현 역, 2006

      2 마셜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김상호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3 니꼴라 부리요, "포스트프로덕션", 정연심ㆍ손부경 역, 그레파이트온핑크, 2016

      4 Elsaesser , Thomas, "Media archaeology as Symptom", Vol . 14 , Issue 2, 2016

      5 마크 해치, "메이커 운동 선언", 정향 역, 한빛미디어, 2014

      6 김규식, "사진에 관한 실험", 보스토크프레스, 2021

      7 빅터 스토이치타, "그림자의 짧은 역사", 이윤희 역, 현실문화, 2006

      8 토마스 엘세서, "『디지털 시대의 영화 2002』,", (한나래, 2002) 김성욱 외 옮김, 2002

      9 McLuhan , Marshall, "Understading Media : The Extensions of Man", 1994

      10 정준희, "「인공유물 연쇄로서의 미디어」", 언론정보연구 Vol. 54, No. 1, 2017

      11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 그 신화의 구조", 문예출판사, 이상률, 1992

      12 프리드리히 키틀러, "『광학적 미디어: 년 베를린 강의』,", (현실문화연구(현문서가), 2011) 윤원화 옮김, 1999

      13 구수담, 김형기, "「라이트 아트에서 빛의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 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 5, 2019

      14 김차규, "「그리스 오토마타: 안티키테라 기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9, No.3, 2018

      15 데이비드 호크니, "명화의 비밀 – 호크니가 파헤친 거장들의 비법", 남경태 역, 한길아트, 2003

      16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 사진의 작은 역사 외", 최성만 역, 길, 2007

      17 심혜련, "「포스트 디지털 매체 시대 미학의 특징 = 경계 허물기」", 실천문학 123권, 2016

      18 김희영, "「분절된 시간: 동시대성에 대한 미디어 고고학적 이해」", 서양미술사 학회논문집 Vol0, No. 48, 2018

      19 셀린 들라보, "착각을 부르는 미술관 착시와 환상, 신비감을 부여하다", 시그마 북스, 김성희 역, 2012

      20 김희영, "미술사와 뉴미디어 아트 간의 재매개된 담론적 조응관계", 미술사와 시각문화Vol. 14, 2014

      21 세르주 라투슈, "낭비 사회를 넘어서: 계획적 진부화라는 광기에 관한 보고서", 민음사, 정기헌 역, 2014

      22 조지미, "「크리스티앙 볼탕스키(Christian Boltanski) 작품에 나타난 존재의 양면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3 정찬철, "「영화역사학의 기술적 전환 = 테크노-시네마 그리고 테크노-시네마 -아트 」", 영화연구 Vol. 0, No. 72, 2017

      24 정희라, "「카라 워커(Kara Walker, 1969∼ )의 실루엣 작품 연구: 1994∼ 1998 년 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사문화비평 Vol. 6, 2015

      25 신형섭, "「동시대 예술에서 재현된 1880 년대 옵티컬 장치의 미디어 고고학적 방법론을 통한 해석」", 한국예술연구소 Vol- No.31, 2021

      26 이상면, "「마술환등 영상의 환상성과 계몽성 - 근대 영상기구 마술환등의 과학기술적 발전과 영상문화의 변화」", 영상문화 Vol. 0, No. 17,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