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정식 시에 나타난 민족의 형상 - 조국건설의 과제 앞에 선 한 해방기 지식인의 특별한 선택과 그 시적 투영 = The Figure of the Korean People as Embodied in Seol Jeong-Shik`s Poetry - The Unique Choice of a Pained Intellectual Faced with the Task of Nation Construction, and It`s Realization Through Poetic Cre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intellectuals of the Emancipation Period (1945-1950) were fac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build the new independent state. Seol Jeong-Shik, one of the most active intellectuals of the time, approached this tas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

      The Korean intellectuals of the Emancipation Period (1945-1950) were faced with the responsibility to build the new independent state. Seol Jeong-Shik, one of the most active intellectuals of the time, approached this tas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demp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saw poetry as the optimal medium. The basis for his thoughts and devices were as follows: 1. The task of people``s redemption originated from his judgement that the Korean People did not have an authentic figure for the new era. 2. It seems that in Seol``s thought, the authentic figure of the people was not that of a specific tribe but rather represented universal humanity, although its concrete aspects were not yet determined. 3. He believed that to arrive at the authentic figure, Korean people should be at once entirely denied and entirely respected. They should be entirely denied for their resurrection, but should also be entirely affirmed as they would rescue themselves without others`` intervention. 4. For the achievement of this re-birth of Korean People through the simultaneous directly-opposed self-identifications, Seol considered that the intellectuals had to take a role of the catalyst who was willing to be sacrificed by the people in return for his severe reproach to the latter, and, by this sacrifice, make them realize their fault and stand out toward self-remediation. Seol came thereby to presume the achievements of Jesus Christ as the symbol of the intellectuals`` task. 5. At the same time, he took the poetry for the optimum medium of the intellectuals`` task for the self-awakening of the people. Therefore, his poetry was composed basically by the oxymoron that included both the statement and counterstatement about the people. This oxymoron put the multi layered meanings and the complex resonances on his po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훈, "화두 1, 2, 최인훈 전집 제 14, 15권" 문학과지성사 2008

      2 곽명숙, "해방기 한국 시의 미학과 윤리 ― 오장환과 설정식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3) : 37-67, 2012

      3 임화, "조선 민족 문학 건설의 기본 과제에 관한 일반 보고, In 건설기의 조선문학" 조선문학가동맹 1946

      4 김기림, "전집 2 시론" 심설당 1988

      5 이태준, "이태준 전집 3: 사상의 월야, 해방 전후" 소명출판 2015

      6 김기림, "우리 시의 방향 , ‘조선문학가동맹’이 개최한 ‘전국문학자대회’(1946.02.18)에서의 강연문" 1946

      7 최두석, "오장환 전집 2. 산문․번역" 창작과비평사 1989

      8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성경"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5

      9 곽효환, "설정식의 초기 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7) : 5-30, 2012

      10 김영철, "설정식의 시세계" 14 : 1989

      1 최인훈, "화두 1, 2, 최인훈 전집 제 14, 15권" 문학과지성사 2008

      2 곽명숙, "해방기 한국 시의 미학과 윤리 ― 오장환과 설정식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3) : 37-67, 2012

      3 임화, "조선 민족 문학 건설의 기본 과제에 관한 일반 보고, In 건설기의 조선문학" 조선문학가동맹 1946

      4 김기림, "전집 2 시론" 심설당 1988

      5 이태준, "이태준 전집 3: 사상의 월야, 해방 전후" 소명출판 2015

      6 김기림, "우리 시의 방향 , ‘조선문학가동맹’이 개최한 ‘전국문학자대회’(1946.02.18)에서의 강연문" 1946

      7 최두석, "오장환 전집 2. 산문․번역" 창작과비평사 1989

      8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성경"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5

      9 곽효환, "설정식의 초기 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7) : 5-30, 2012

      10 김영철, "설정식의 시세계" 14 : 1989

      11 설희관, "설정식 문학전집" 산처럼 2013

      12 정명교, "사르트르 실존주의와 앙가주망론의 한국적 반향" 국제비교한국학회 23 (23): 195-223, 2015

      13 김동석, "뿌르조아의 인간상" 탐구당서점 1949

      14 신승엽, "민족문학을 넘어서" 2000

      15 "건설기의 조선문학" 조선문학가동맹 19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DONG BANG HAK CHI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7 2.15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