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에 대한 연구 = Examining the Problem Making b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49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명의 중학교 2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의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분석 틀을 중심으로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에서 나타난 확장성과 정교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영재 학생들이 문제 만들기에서 변경한 조건들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를 ‘수평적 문제 만들기’와 ‘수직적 문제 만들기’ 및 하위 범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학교 영재 학생들의 수학 문제 만들기는 확장성과 정교성의 측면에서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 학생들은 새로운 문제를 만들 때 원래 문제보다 복잡성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만들며, 원래 문재에 제시된 조건들을 개별적으로는 고려하지만 종합적으로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19명의 중학교 2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의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분석 틀을 중심으로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

      본 연구의 목적은 19명의 중학교 2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의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분석 틀을 중심으로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에서 나타난 확장성과 정교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영재 학생들이 문제 만들기에서 변경한 조건들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를 ‘수평적 문제 만들기’와 ‘수직적 문제 만들기’ 및 하위 범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학교 영재 학생들의 수학 문제 만들기는 확장성과 정교성의 측면에서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 학생들은 새로운 문제를 만들 때 원래 문제보다 복잡성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만들며, 원래 문재에 제시된 조건들을 개별적으로는 고려하지만 종합적으로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making of 19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xpansion and sophistication of the problems made by gifted students, focusing on the analysis framework proposed in the previous research. Next, the problem making by gifted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horizontal problem making' and ‘vertical problem mak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roblem making by gifted students was not enough in terms of extension and sophistication. In addition, gifted students made problem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complexity than original problems when creating new problems, and considered the conditions presented in the original text separately but not comprehensiv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making of 19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xpansion and sophistication of the problems made by gifted students, foc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making of 19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xpansion and sophistication of the problems made by gifted students, focusing on the analysis framework proposed in the previous research. Next, the problem making by gifted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horizontal problem making' and ‘vertical problem mak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roblem making by gifted students was not enough in terms of extension and sophistication. In addition, gifted students made problem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complexity than original problems when creating new problems, and considered the conditions presented in the original text separately but not comprehens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문규, "초등 5학년 수학영재 학생이 만든 수학문제에 관한 조사⋅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701-721, 2013

      2 임근광, "종이접기 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전략 분석" 한국영재학회 20 (20): 461-486, 2010

      3 에르든예프, "유추를 통한 수학탐구" 도서출판 승산 2010

      4 이대희, "영재학급 학생들이 What-If-Not 전략을 사용하여 만든 변형 루미큐브 게임 사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7 (17): 285-299, 2013

      5 송상헌, "수학영재들이 NIM 게임 과제에서 만든 문제 만들기 사례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7 (17): 51-66, 2007

      6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7 박미미, "수학 문제유추에 의한 관계적 구조의 지도" 서울대학교 2015

      8 최왕균, "수 퍼즐 문제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초등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사고특성 분석 : 문제설정과 일반화사고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Renzulli, J. S.,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Creative Learning Press 1986

      10 Brown, S. I., "The Art of Problem Posing" Lawe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1 임문규, "초등 5학년 수학영재 학생이 만든 수학문제에 관한 조사⋅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701-721, 2013

      2 임근광, "종이접기 프로그램에서 수학영재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전략 분석" 한국영재학회 20 (20): 461-486, 2010

      3 에르든예프, "유추를 통한 수학탐구" 도서출판 승산 2010

      4 이대희, "영재학급 학생들이 What-If-Not 전략을 사용하여 만든 변형 루미큐브 게임 사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7 (17): 285-299, 2013

      5 송상헌, "수학영재들이 NIM 게임 과제에서 만든 문제 만들기 사례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7 (17): 51-66, 2007

      6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7 박미미, "수학 문제유추에 의한 관계적 구조의 지도" 서울대학교 2015

      8 최왕균, "수 퍼즐 문제 만들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초등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사고특성 분석 : 문제설정과 일반화사고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Renzulli, J. S.,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Educational Excellence" Creative Learning Press 1986

      10 Brown, S. I., "The Art of Problem Posing" Lawe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11 백대현, "Problem Posing by Mathemat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 Case Study" 대한수학교육학회 12 (12): 259-271, 2010

      12 Alvarez, S. A., "Note on an n-dimensional Pythagorean theorem"

      13 Polya, G., "How to Solve it" Doubleday & Company, Inc 1957

      14 Gagne, F.,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Allyn and Bacon 65-80, 1991

      15 Sheffield, L. J., "Extending the Challenge in Mathematics : Developing Mathematical Promise in K-8 Students" Texas Associ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003

      16 Sheffield, L. J., "Developing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3 1.50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