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aor, E.,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경문사 2000
2 민세영, "쌍곡선의 구적법에 의한 자연로그의 도입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12 (12): 6-94, 2002
3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8]"
4 이동근, "변화율 관점에서 농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표현의 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333-354, 2016
5 우정호, "미적분Ⅱ" 두산동아(주) 2014
6 이강섭, "미적분Ⅱ" MiraeN
7 신항균, "미적분Ⅱ" 지학사 2014
8 류희찬, "미적분Ⅱ" 천재교과서 2014
9 김창동, "미적분Ⅱ" 교학사 2014
10 김원경, "미적분Ⅱ" 비상교육 2014
1 Maor, E.,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경문사 2000
2 민세영, "쌍곡선의 구적법에 의한 자연로그의 도입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 12 (12): 6-94, 2002
3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8]"
4 이동근, "변화율 관점에서 농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표현의 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6 (26): 333-354, 2016
5 우정호, "미적분Ⅱ" 두산동아(주) 2014
6 이강섭, "미적분Ⅱ" MiraeN
7 신항균, "미적분Ⅱ" 지학사 2014
8 류희찬, "미적분Ⅱ" 천재교과서 2014
9 김창동, "미적분Ⅱ" 교학사 2014
10 김원경, "미적분Ⅱ" 비상교육 2014
11 이준열, "미적분Ⅱ" 천재교육 2014
12 황선욱, "미적분Ⅱ" 신사고 2014
13 정상권, "미적분Ⅱ" 금성출판사 2014
14 우정호, "미적분Ⅰ" 두산동아(주) 2014
15 이병수, "무리수 e의 교수 례" 5 : 300-320, 1997
16 Glasersfeld, E., "급진적 구성주의" 원미사 1995
17 권점례, "과정 중심 평가에서 계산기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18 이동근, "거리함수와 속력함수에서, 거리와 속력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표현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881-901, 2016
19 Harel, G., "Type of students’justification" 91 (91): 670-675, 1998
20 Hackenberg, A. J.,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raction knowledge and equation solving" 2009
21 Balacheff, N., "Procesus de preve et situations de validation" 18 : 147-176, 1987
22 Blum, W., "Preformal Proving:Example and reflection" 7 : 183-203, 1991
23 Dennis, A., "Justifying and prov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9 : 1996
24 Cajori, F., "History of the exponential and logarithmic concepts" 20 (20): 5-14, 1913
25 Klein, F.,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Dover Publications 1924
26 Knuth, E. J., "Characteriz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proof" 91 (91): 714-717, 1998
27 Eves, H.,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Rinehart and company, inc 1960
28 Samandeni, Z., "Action proof in primary mathematics teaching and in teacher training" 4 (4): 32-34,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