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삶의 형식과 법의 지배 = Form of Life and Rule of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0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well known that ‘Form of Life’ is a Wittgensteinean concept introduced in his book ‘Philosophical Investigation’. He argued on the book the reason why we follow mathematical rules such as addition and subtract not in extraordinary direct...

      It is well known that ‘Form of Life’ is a Wittgensteinean concept introduced in his book ‘Philosophical Investigation’. He argued on the book the reason why we follow mathematical rules such as addition and subtract not in extraordinary directions like rule-skeptics but in one standard direction, is the agreement of ‘Form of Life’. However, it is hardly known that ‘Form of Life’ is a very useful concept when we struggle to understand the mechanism how ‘Rule of Law’ can be realized in so complicated forms of our life. That is, ‘Form of Life’ can explain how we can agree with each other when interpreting and applying diverse forms of rules.
      H. L. A Hart argued that legal rules can be divided into ‘core of certainty’ and ‘penumbra of doubt’. According to him, ‘core of certainty’ is a standard instance in which legal rule can be applied automatically and indisputably without vagueness. He calls this instance a plain case and defines it as the familiar one constantly recurring in similar contexts. But I think, there is no explanation about the mechanism how we confirm that a case is a plain and familiar case in Hart's argument. Regarding this problem, it seems that thanks to the agreement of ‘Form of Life’ we can confirm which case is a plain and familiar case.
      In addition to Hart's case, we can find various cases in which ‘Form of Life’ makes us think and act in conformity with each other. Firstly, our normative judgement usually agree with each other. Homicide is generally prohibited although there are some variations in the forms of sanction against homicide for all times and places. Secondly, if the reasons of an legal argument are given in a form which anyone can understand easily, we can decide which one is a better reason. If so, there will be no disagreement in our judgement. Thirdly, even the principle of equal human dignity can be derived naturally from our ‘Form of Life’. I believe, from these considerations, we can conclude that one normative prerequisite that makes the basic principle of “Rule of Law” effective is the agreement of ‘Form of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비트겐슈타인에 의하면 인간의 자연사로 이루어진 ‘단일하고 공통된’ 삶의 형식에 준거해 ‘다양한’ 언어게임이 펼쳐짐으로써 언어는 유의미하게 된다는 것이라고 한다. 삶의 형식은 ...

      비트겐슈타인에 의하면 인간의 자연사로 이루어진 ‘단일하고 공통된’ 삶의 형식에 준거해 ‘다양한’ 언어게임이 펼쳐짐으로써 언어는 유의미하게 된다는 것이라고 한다. 삶의 형식은 언어사용에 숙달할 수 있는 능력과 또 그로 인해 다양한 언어게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삶의 형식은 삶의 양식과는 다르다. 사람들마다 삶의 양식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겠지만, 그러한 삶의 양식들은 모두 단일한 종으로서 인간의 공통된 삶의 형식에 속하는 것들이다. 즉 삶의 양식은 삶의 형식이 인간의 삶을 통해 구현된 것이다. 요컨대 인간의 삶의 형식은 단일하고 고정된 것이지만 구체적으로 그것이 구현되는 가운데 다양한 삶의 양식을 낳으며, 여러 갈래의 다종다기한 삶의 양식들 간에는 ‘언어게임처럼’ 상호 교차․중첩하는 가족유사성이 있다. 언어사용이나 덧셈, 뺄셈과 같은 규칙-따르기에서 우리가 동일한 방향으로 규칙을 따르는 것은 바로 삶의 형식에 일치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더 이상의 정당화나 근거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처럼 삶의 형식에 의해 내려지는 판단은, 아무런 의심이 없고 무엇을 해야 할 지 확신을 갖고 내리게 되는 ‘자동적’ 판단이 된다.
      삶의 형식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통찰은 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빛’을 던져준다. 법은 다양한 해석과 적용을 낳지만 무엇이 법인가에 대한 우리의 규범적 판단은 핵심적인 부분에서 일치한다. 법률의 단순한 해석에서부터 핵심규범의 실제적 적용에 이르기까지 삶의 형식이 판단의 일치를 가능케 해 주기 때문이다. 하트의 중심부 사례가 대표적인 예이다. 나아가 어떠한 법적 논증이든지, 그 논거가 “누구나 이해가 가능한 형태”로 제시되면, 다시 말해 우리의 ‘삶의 형식’에 비추어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는 형태”로 제시된다면 우리는 그 논증의 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한 법적 문제에 대한 판단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규범적 가치판단의 영역이 그러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우리는 제3자의 입장이 되어 대립되는 상대방의 입장이 어떤 이유에서 그러한 결론에 이르렀는지를 ‘내려다볼 수 있는’ 능력이 있고, 그리하여 상호 간에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메타판단의 일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이해를 가능케 해 주는 것도 바로 우리의 공통된 삶의 형식 덕분이다. 이것은 흡사 우리가 공통된 삶의 형식을 배경으로 다종다기한 언어게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과 유사하다. 그리고 산술적, 언어적 규칙-따르기가 ‘자동적’ 판단과정이듯이 ‘동등한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명제도 삶의 형식에 비추어 특별한 정당화나 근거제시가 불필요한 ‘자명한’ 명제가 된다.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본래적 의미의 삶의 형식’을 확장해 우리에게 규범적 판단의 일치를 가능케 해 주는 ‘확장된 의미의 삶의 형식’을 제안해 보았다. 전자가 주로 언어사용에 있어서의 판단의 일치를 가능하게 해 주는 개념이라면 후자는 (언어사용을 포함해) 규범적 판단의 일치를 가능하게 해 주는 개념이다. 필자가 본고에서 논급한 주요 사례들은 삶의 형식이 규범적 판단의 일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들이다. 이처럼 우리들이 (확장된 의미의) 삶의 형식을 공유하는 이상, 법의 불확정성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돈, "형법강의" 법문사 404-, 2010

      2 한상수, "함무라비 법전" 인제대학교 출판부 33-, 2008

      3 데이비드 버스, "진화심리학" 웅진 지식하우스 110-, 2012

      4 마이클 셔머, "진화경제학" 한국경제신문 232-236, 2009

      5 장국화, "중국법률사상사" 아카넷 43-49, 2003

      6 김동현,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자유의지와형사책임론의 문제" 법학연구소 51 (51): 269-315, 2010

      7 조지 카텝/, "인간의 존엄" 말글빛냄 26-, 2012

      8 김도균, "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전환: 로널드 드워킨의 눈으로 읽기 ― 법의 통일성(Law’s Integrity)을 향하여 ―" 한국법철학회 13 (13): 89-132, 2010

      9 문종두, "언어사용에 대한 비트겐 슈타인의 충분한 연구" 3 (3): 130-, 2010

      10 문종두, "언어 사용과 삶" 청문각 169-170, 2007

      1 이상돈, "형법강의" 법문사 404-, 2010

      2 한상수, "함무라비 법전" 인제대학교 출판부 33-, 2008

      3 데이비드 버스, "진화심리학" 웅진 지식하우스 110-, 2012

      4 마이클 셔머, "진화경제학" 한국경제신문 232-236, 2009

      5 장국화, "중국법률사상사" 아카넷 43-49, 2003

      6 김동현,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자유의지와형사책임론의 문제" 법학연구소 51 (51): 269-315, 2010

      7 조지 카텝/, "인간의 존엄" 말글빛냄 26-, 2012

      8 김도균, "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전환: 로널드 드워킨의 눈으로 읽기 ― 법의 통일성(Law’s Integrity)을 향하여 ―" 한국법철학회 13 (13): 89-132, 2010

      9 문종두, "언어사용에 대한 비트겐 슈타인의 충분한 연구" 3 (3): 130-, 2010

      10 문종두, "언어 사용과 삶" 청문각 169-170, 2007

      11 안성조, "사이코패스의 형사책임능력" 한국형사법학회 20 (20): 167-196, 2008

      12 한인섭, "비판법학" 20 : 1997

      13 권경휘,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고찰과 법이론" 한국법철학회 10 (10): 2007

      14 이영철, "비트겐슈타인 선집 제6권(확실성에 관하여)" 책세상 2006

      15 이영철, "비트겐슈타인 선집 제4권(철학적 탐구)" 책세상 2006

      16 심헌섭, "분석과 비판의 법철학" 법문사 573-, 2001

      17 양창수, "법치주의의 저편" (창간) : 172-, 2005

      18 김도균, "법치주의의 기초: 역사와 이념" 서울대학교출판부 13-14, 2008

      19 안성조, "법적 불확정성과 법의 지배 - The law is reason unaffected by desire Laws, when good, should be supreme -" 한국법철학회 10 (10): 61-114, 2007

      20 Brian Bix, "법이론에 있어서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고찰의 적용(그리고 잘못된 적용)" 연세대학교 15 (15): 2005

      21 이상돈, "법의 춤" 법문사 176-, 2012

      22 허버트 하트, "법의 개념" 아카넷 403-, 2002

      23 김현철, "법가치의 객관성에 대한 내재적 실재론의 가능성" 법학연구소 10 (10): 253-265, 2006

      24 로널드 드워킨,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문학과 지성사 22-23, 2012

      25 권영준, "민사재판에 있어서 이론, 법리, 실무" 법학연구소 49 (49): 313-354, 2008

      26 김정오, "미국 비판법학의 흐름과 동향" 1994

      27 스티븐 핑커, "마음의 과학" 와이즈베리 38-, 2012

      28 이인탁, "롤즈 정의론의 평등주의적 측면" 12 : 81-, 1984

      29 마이클 가자니가, "뇌로부터의 자유" 추수밭 117-, 2012

      30 조규창, "논리와 직관" 법문사 1998

      31 안성조, "기초법연구 제1권" 경인문화사 20-28, 2009

      32 김도균, "권리의 문법" 박영사 128-, 2008

      33 안성조, "괴델정리의 법이론적 함의" 법학연구소 49 (49): 683-731, 2008

      34 안성조, "‘법문의 가능한 의미’의 실재론적 의의 ―The elimination of the normative is attempted mental suicide―" 한국법철학회 12 (12): 73-124, 2009

      35 Scott Hershovitz, "Wittgenstein on Rules: The Phantom Menace" 22 (22): 2002

      36 Saul A. Kripke, "Wittgenstein on Rules and Private Language" Harvard University Press 97-, 1982

      37 안성조, "Tolerance and Rule of Law as a Condition for Prosperity - Some Lessons from Imperial Governance -" 안암법학회 (28) : 349-398, 2009

      38 Alvaro Santos, "The World Bank’s Uses of the “Rule of Law” Promise i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New Law and Economic Development: A Critical Apprais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6-266, 2006

      39 "The Queen v. Dudley and Stephens 14 Q.B.D.273"

      40 H. L. A. Hart, "The Concept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41 Raymond Westbrook, "The Character of Ancient Near Eastern Law, in: A History of Ancient Near Eastern Law, Vol.I" Brill 79-, 2003

      42 Joseph Raz, "The Authority of Law" Clarendon Press 213-, 1983

      43 "Relax, Girl:Boyfriend's ‘Love Hormone’ Wards Off Your Rivals"

      44 Hilary Putnam, "Reason, Truth and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8, 1981

      45 Timothy A.O. Endicott, "Linguistic Indeterminacy" 16 (16): 668-, 1996

      46 Randall Peerenboom, "Let One Hundred Flowers Bloom, One Hundred Schools Contend: Debating Rule of Law in China" 23 (23): 478-479, 2002

      47 Brian Bix, "Law, Language, and Legal Determinacy" Oxford University Press 10-16, 1993

      48 W. A. Galston, "Justice and the Human Goo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6-, 1980

      49 Albert Venn Dicey, "Introduction to the State of the Law of the Constitution" Macmillan 188-, 1948

      50 Pamela Barmash, "Homicide in Ancient Israel, the Ancient Near East, and Traditional Societies" Harvard University 1999

      51 Martha T. Roth, "Gender and Law: A Case Study from Ancient Mesopotamia, In Gender and Law in the Hebrew Bible and Ancient Near East" Sheffield Academic Press 175-181, 1988

      52 Anthony J. Sebok, "Finding Wittgenstein at the Core of the Rule of Recognition" 52 (52): 91-, 1999

      53 Marc Bloch, "Feudal Society, vol.1 ―The Growth of Ties of Dependence" The Chicago University Press 125-, 1970

      54 "Aristotle, Politics1287a 25-30"

      55 Thorkild Jakobson, "An Ancient Mesopotamian Trial for Homicide, In Toward the Image of Tammuz and Other Essays on Mesopotamian History and Cul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205-207, 1970

      56 John Rawls, "A Theory of Justic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442-, 1999

      57 Ellis Sandoz, "A Government of Laws: Political Theory, Religion, and the American Founding"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29-234,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4 1.0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