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교가 한국 건국신화에 미친 영향 = Effect of Confucianism on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0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ffect of Confucianism on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 Lim Taihong
      Effect of Confucianism on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 Lim Taihong

      The paper examines the Korean nation-building myths as follows:
      1.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such as Dangun myth of Gojoseon, Jumong myth of Goguryo, Onjo myth of Baekje, Hyeokgeose myth of Silla and Suro myth of Gaya in Samguksagi or Samgukyusa, has been historicized. In other words, the myths has became historical stories.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Confucian culture's effect on the Korean Society through the long history.
      2. The Korean nation-building myths, unlike the Japanese Kiki myths, has been fragmented. This also seems to be the effect of Confucianism which emphases rationalism and secularism. Although Chinese myths are also fragmented, but because of the lack of the documents about myths, the Korean mythology can be said to be more fragmented than the Chinese ones.
      3. The Korean nation-building myths has been humanized. In China and Japan, there are many zoomorphic gods and personal gods. On the contrary, in the Korean mythology, there are many stories of human not of God. And in many myths of Korea, human beings play a leading character.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effect of Confucian culture aspiring humanism and rationalism.
      4. The Korean myths on nation-building has been structured. Particularly, they usually have the three-stage structure of Heaven-World-Man, that is, the stories of the myths have episodes in heaven, world and the human world. Heaven is, in some stories, described as an advanced nation to the north of the new country. This sort of tendency is similar to the Heaven-World-Man structure of the Confucian thought. And Korean myths, in many case, describe the family-centered human relationships. This also can be considered to be effected by the family-centralism and human-centralism of the Confucian culture.
      번역하기

      Effect of Confucianism on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 Lim Taihong Effect of Confucianism on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 Lim Taihong The paper examines the Korean nation-building myths as follows: 1.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

      Effect of Confucianism on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 Lim Taihong
      Effect of Confucianism on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 Lim Taihong

      The paper examines the Korean nation-building myths as follows:
      1. The nation-building myths of Korea, such as Dangun myth of Gojoseon, Jumong myth of Goguryo, Onjo myth of Baekje, Hyeokgeose myth of Silla and Suro myth of Gaya in Samguksagi or Samgukyusa, has been historicized. In other words, the myths has became historical stories.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Confucian culture's effect on the Korean Society through the long history.
      2. The Korean nation-building myths, unlike the Japanese Kiki myths, has been fragmented. This also seems to be the effect of Confucianism which emphases rationalism and secularism. Although Chinese myths are also fragmented, but because of the lack of the documents about myths, the Korean mythology can be said to be more fragmented than the Chinese ones.
      3. The Korean nation-building myths has been humanized. In China and Japan, there are many zoomorphic gods and personal gods. On the contrary, in the Korean mythology, there are many stories of human not of God. And in many myths of Korea, human beings play a leading character.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effect of Confucian culture aspiring humanism and rationalism.
      4. The Korean myths on nation-building has been structured. Particularly, they usually have the three-stage structure of Heaven-World-Man, that is, the stories of the myths have episodes in heaven, world and the human world. Heaven is, in some stories, described as an advanced nation to the north of the new country. This sort of tendency is similar to the Heaven-World-Man structure of the Confucian thought. And Korean myths, in many case, describe the family-centered human relationships. This also can be considered to be effected by the family-centralism and human-centralism of the Confucian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 논의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삼국사기에 실린 고구려 주몽신화, 신라 혁거세신화, 백제신화뿐만 아니라 삼국유사에 실린 단군신화, 가야의 수로왕 신화도 이미 상당부분 ‘역사화’되어 있다. 이는 오랜 시간동안 신화가 전승되면서 유교문화, 특히 역사서적의 서술에 미친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둘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일본의 기기신화와는 달리 매우 ‘단편화’되어 있다. 중국의 건국신화도 단편화된 상황은 우리나라와 비슷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신화를 전해주는 사료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단편화의 정도는 더 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유교의 합리주의 지향의 사고, 怪力亂神의 이야기를 꺼리는 유교의 현세주의적인 사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셋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인간화’되어 있다. 즉 신의 이야기보다는 주로 인간의 이야기가 많다. 인간이 중심이 되며, 인간이 신화의 주인공이 된 경우가 많다. 동물에 가까운 인격신이나 이상한 모습의 신들이 많은 중국이나, 신들의 이야기가 많은 일본 기기신화와 비교해보면 이 점이 매우 특징적다. 이 역시 유교문화가 지향하는 인본주의적, 인문주의적 정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넷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구조화’되어 있다. 특히 ‘天地人’의 3단계구조를 지향하는 경향이 강해서, 신화가 하늘의 이야기, 지상의 이야기 그리고 인간의 이야기라고 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하늘’은 경우에 따라서는 문화가 앞선 북쪽 지역의 나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경향은 유교의 ‘천지인’ 三才사상적인 구조와 유사하다. 또 우리나라 신화는 가족을 중심으로 한 인간관계를 상세히 묘사한 경우가 많다. 유교에서 말하는 ‘삼강오륜’의 인간관계, 즉 임금과 신하(君臣), 아버지와 아들(父子), 남편과 부인(夫婦), 형과 동생(長幼) 그리고 친구사이(朋友)의 인간관계가 신화의 중요한 소재가 되거나 기반이 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도 역시 유교의 가족중심주의 세계관, 인간관계 중심의 세계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 논의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삼국사기에 실린 고구려 주몽신화, 신라 혁거세신화, 백제신화뿐만 아니라 삼국유사에 실린 단군신화, 가...

      이 논문에서 논의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삼국사기에 실린 고구려 주몽신화, 신라 혁거세신화, 백제신화뿐만 아니라 삼국유사에 실린 단군신화, 가야의 수로왕 신화도 이미 상당부분 ‘역사화’되어 있다. 이는 오랜 시간동안 신화가 전승되면서 유교문화, 특히 역사서적의 서술에 미친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둘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일본의 기기신화와는 달리 매우 ‘단편화’되어 있다. 중국의 건국신화도 단편화된 상황은 우리나라와 비슷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신화를 전해주는 사료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단편화의 정도는 더 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유교의 합리주의 지향의 사고, 怪力亂神의 이야기를 꺼리는 유교의 현세주의적인 사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셋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인간화’되어 있다. 즉 신의 이야기보다는 주로 인간의 이야기가 많다. 인간이 중심이 되며, 인간이 신화의 주인공이 된 경우가 많다. 동물에 가까운 인격신이나 이상한 모습의 신들이 많은 중국이나, 신들의 이야기가 많은 일본 기기신화와 비교해보면 이 점이 매우 특징적다. 이 역시 유교문화가 지향하는 인본주의적, 인문주의적 정신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넷째, 우리나라 건국신화는 ‘구조화’되어 있다. 특히 ‘天地人’의 3단계구조를 지향하는 경향이 강해서, 신화가 하늘의 이야기, 지상의 이야기 그리고 인간의 이야기라고 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하늘’은 경우에 따라서는 문화가 앞선 북쪽 지역의 나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경향은 유교의 ‘천지인’ 三才사상적인 구조와 유사하다. 또 우리나라 신화는 가족을 중심으로 한 인간관계를 상세히 묘사한 경우가 많다. 유교에서 말하는 ‘삼강오륜’의 인간관계, 즉 임금과 신하(君臣), 아버지와 아들(父子), 남편과 부인(夫婦), 형과 동생(長幼) 그리고 친구사이(朋友)의 인간관계가 신화의 중요한 소재가 되거나 기반이 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도 역시 유교의 가족중심주의 세계관, 인간관계 중심의 세계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제신화와 국가주의-중국신화 역사화 작업의 배경 탐색" 31 : 2005.4

      2 "한국유학사상사" 아세아문화사 1 : 1996

      3 "한국신화의 원형" 정음문화사 1988

      4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월인 2000

      5 "중국의 신화와 역사 - 고대 왕조신화의 역사화를 중심으로" 78 (78): 2000.3

      6 "중국신화의 역사화와 윤리화" 27 : 2004.5

      7 "중국신화의 역사화와 대일통의 욕망" 25 : 2003.11

      8 "중국신화의 역사화연구" 2004

      9 "중국신화의 역사화에 관한 시론" 20 : 2002.6

      10 "중국 고대기원신화의 분석적 연구" 1994

      1 "황제신화와 국가주의-중국신화 역사화 작업의 배경 탐색" 31 : 2005.4

      2 "한국유학사상사" 아세아문화사 1 : 1996

      3 "한국신화의 원형" 정음문화사 1988

      4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월인 2000

      5 "중국의 신화와 역사 - 고대 왕조신화의 역사화를 중심으로" 78 (78): 2000.3

      6 "중국신화의 역사화와 윤리화" 27 : 2004.5

      7 "중국신화의 역사화와 대일통의 욕망" 25 : 2003.11

      8 "중국신화의 역사화연구" 2004

      9 "중국신화의 역사화에 관한 시론" 20 : 2002.6

      10 "중국 고대기원신화의 분석적 연구" 1994

      11 "주역의 三才之道와 天生人成" 24 : 2005

      12 "일연의 신화인식에 관한 연구 종교학연구" 1991

      13 "일연의 생애와 저술" 19 : 189-, 2002

      14 "일연과 삼국유사의 찬술" 1988

      15 "일본의 역사" 이론과 실천 1995

      16 "유교역사관의 재구성" 29 : 1999

      17 "북방계 신화의 신격 유래와 도교신앙" 21집 : 2004.11

      18 "동중서의 춘추번로: 춘추 -역사해석학" 태학사 2006

      19 "대학중용강설" 성대출판부 1991

      20 "단군신화의 출전과 구조연구" 5 : 1997

      21 "단군신화의 삼재적 이해" 29 : 2004

      22 "단군신화의 문학적 연구 단군 - 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23 "단군신화와 고구려 건국신화가 지닌 정체성 탐구" 6 : 58-, 2002.6

      24 "끊임없는 담론-신화의 역사화, 역사의 신화화" 24 : 2003

      25 "김부식과 삼국사기 한국사연구73" 1991

      26 "고전연구출판위원회 고전연구실" 1990

      27 "고려중기의 문화의식과 사학의 성격 한국사연구9" 1973

      28 "고대 중국신화의 변천과 정치화" 10 (10): 2004

      29 "고대 건국신화의 계통적 연구" 1993년

      30 "고구려 건국신화의 재검토" 민속연구4 1994

      31 "건국신화의 형성과 재편에 관한 연구 - 티벳, 몽골, 만주, 한국신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1997

      32 "檀君神話와 道敎와의 關係 考察" 1984

      33 "東アジア諸開始祖傳說の比較" 1986

      34 "佛敎의 東進과 神話의 變容 :동아시아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1집 : 200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