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노인돌봄사업의 효과성 탐색 및 참여만족도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Impact of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on the Social Integrati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62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onation bank project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at are carrying out caring service activities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our society where the need for caring for the elderly in increasing due to rapid population aging.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caring subjects and caring volunteers who participate in the donation bank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verified whether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effects the promotion of social integration and specific opinions of caring subjects and caring volunteer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500 questionnaires for caring subjects and 500 questionnaires for caring volunteers to 50 social contribution donation bank business organization nationwid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caring subjects and 13 caring volunte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caring subjects and caring volunteer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Secon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gration. Third, both the caring subjects and caring volunteers experienced social integration through personal healing and growth, social communication and network with the donation bank project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order to further revitalize the donation bank project, which has a great effect on social integr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erforming institutions and support the manpower, and to promote qualitative development such as program development and point system improv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onation bank project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at are carrying out car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onation bank project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at are carrying out caring service activities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our society where the need for caring for the elderly in increasing due to rapid population aging.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caring subjects and caring volunteers who participate in the donation bank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verified whether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effects the promotion of social integration and specific opinions of caring subjects and caring volunteer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500 questionnaires for caring subjects and 500 questionnaires for caring volunteers to 50 social contribution donation bank business organization nationwid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caring subjects and 13 caring volunte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caring subjects and caring volunteer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Second,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gration. Third, both the caring subjects and caring volunteers experienced social integration through personal healing and growth, social communication and network with the donation bank project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order to further revitalize the donation bank project, which has a great effect on social integr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erforming institutions and support the manpower, and to promote qualitative development such as program development and point system impr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급속한 인구고령화를 겪으며 노인돌봄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한국 사회에서 돌봄서비스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사업의 효과성을 탐색하고, 사업참여자들의 참여만족도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사업에 참여하는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의 생활변화 효과성에 주목하여 참여만족도가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참여대상자들의 효과성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하였다. 전국의 50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사업수행기관을 대상으로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에게 각각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돌봄대상자 462부, 돌봄봉사자 464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질적연구를 위해서는 돌봄대상자 7명과 돌봄봉사자 13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 모두 높은 참여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참여만족도는 사회통합감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 모두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사업을 통해 개인적인 치유와 성장, 사회적인 소통과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통합의 효과성이 큰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사업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수행기관의 확장과 인력지원, 아울러 프로그램 개발과 포인트제도 개선 등 양적 질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급속한 인구고령화를 겪으며 노인돌봄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한국 사회에서 돌봄서비스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

      본 연구는 급속한 인구고령화를 겪으며 노인돌봄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한국 사회에서 돌봄서비스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사업의 효과성을 탐색하고, 사업참여자들의 참여만족도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사업에 참여하는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의 생활변화 효과성에 주목하여 참여만족도가 사회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참여대상자들의 효과성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수렴하였다. 전국의 50개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사업수행기관을 대상으로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에게 각각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돌봄대상자 462부, 돌봄봉사자 464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질적연구를 위해서는 돌봄대상자 7명과 돌봄봉사자 13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 모두 높은 참여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참여만족도는 사회통합감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돌봄대상자와 돌봄봉사자 모두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사업을 통해 개인적인 치유와 성장, 사회적인 소통과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통합의 효과성이 큰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사업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수행기관의 확장과 인력지원, 아울러 프로그램 개발과 포인트제도 개선 등 양적 질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민정, "지역사회협력을 통한 의료복지통합서비스 사례: 볼드리지 모델의 사회공헌활동"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 (20): 109-124, 2019

      2 정은아,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 선택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선택 중요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3-206, 2012

      3 보건복지부, "젊어서 어르신 돌보고 나중에 돌려받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전국 확대 시행: 2016년도 사업 수행 기초관리본부 11개소 선정"

      4 김진학, "장기요양사례관리자(케어매니저) 인력 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지역사회기반 노인통합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웰니스학회 14 (14): 47-63, 2019

      5 양성지,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배제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6 (56): 461-472, 2017

      6 조욱연, "스포츠클럽 참여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3-372, 2012

      7 김진수,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성 요인이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7) : 1-28, 2015

      8 강혜원,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64-201, 2007

      9 최상미,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본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성 - 문화접근성과 정서적 역량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6 (16): 177-192, 2015

      10 곽효문,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10 : 279-301, 2006

      1 박민정, "지역사회협력을 통한 의료복지통합서비스 사례: 볼드리지 모델의 사회공헌활동"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 (20): 109-124, 2019

      2 정은아,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 선택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선택 중요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3-206, 2012

      3 보건복지부, "젊어서 어르신 돌보고 나중에 돌려받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전국 확대 시행: 2016년도 사업 수행 기초관리본부 11개소 선정"

      4 김진학, "장기요양사례관리자(케어매니저) 인력 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지역사회기반 노인통합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웰니스학회 14 (14): 47-63, 2019

      5 양성지,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배제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6 (56): 461-472, 2017

      6 조욱연, "스포츠클럽 참여가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3-372, 2012

      7 김진수,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성 요인이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7) : 1-28, 2015

      8 강혜원,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64-201, 2007

      9 최상미,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본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성 - 문화접근성과 정서적 역량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6 (16): 177-192, 2015

      10 곽효문,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10 : 279-301, 2006

      11 최미영,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취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69) : 9-30, 2015

      12 조일형,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서비스 개발 프레임워크 연구: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 (20): 191-209, 2019

      13 정무성,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6

      14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 2018

      15 김예성,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노인돌봄봉사활동 현황분석 및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9

      16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관련 내부자료"

      17 최재성,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21 : 309-341, 2009

      18 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19 조미경,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치매노인과 가족수발자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9) : 159-180, 2018

      20 조추용,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지역자원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2 : 127-162, 2009

      21 강태석, "노인의 성별에 따른 서비스 질과 사회적 지지가 경로당의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41-451, 2019

      22 차명화,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5

      23 전병주, "노인의 사회적 배제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영향 및 사회적 관계망의 완충효과: 취업 여부를 중심으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6 (16): 237-274, 2014

      24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2018

      25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2014

      26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6

      27 이정화, "노인단독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 우울 및 자살생각: 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7 (27): 831-850, 2016

      28 위세아, "노숙인의 문화여가활동이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 -" 사회과학연구소 20 (20): 55-76, 2017

      29 김예성, "노년기 여가스포츠 참여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울 및 경기 지역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체육과학연구소 36 (36): 67-76, 2018

      30 오인근, "기독노인의 영적 안녕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59 (59): 381-409, 2010

      31 Burchardt, T., "Understanding Social Exclus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2 Adler, P.,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89-115, 2000

      33 Berman, Y., "Indicators of social quality and social exclusion at national and community level" 50 : 329-250, 2000

      34 통계청, "2018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 방식 집계결과)"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1-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5-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9 1.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