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리엔탈 나리의 종구크기 및 양구지역이 구근비대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75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effect of different bulb size and two culture areas in Gangwondo for bulb enlargement, and to predict bulb production from tissue cultured bulbs of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Bulbs yielded from diffe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effect of different bulb size and two culture areas in Gangwondo for bulb enlargement, and to predict bulb production from tissue cultured bulbs of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Bulbs yielded from different bulb sizes in high land (Inje, 500 m above sea level) were more effective in bulb size, bulb weight, and the number of daughter bulb as compared with low land (Gangneung, 20 m above sea level). In highland, bulb circumference and bulb weight increased from 10.8 cm to 17.9 cm and from 19.5 g to 85.5 g,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the size of planted bulb from 4.0 cm to 10 c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리엔탈나리 ‘Siberia’ 품종 조직배양구를 이용하여 생산된 소구 및 중구를 강원지역 고랭지(인제)와 평난 지(강릉)의 무가온하우스에 정식하였을 때 정식한 구근 크기와 재배지역에 따라 ...

      오리엔탈나리 ‘Siberia’ 품종 조직배양구를 이용하여 생산된 소구 및 중구를 강원지역 고랭지(인제)와 평난 지(강릉)의 무가온하우스에 정식하였을 때 정식한 구근 크기와 재배지역에 따라 구근비대 정도를 조사 분석하 여 향후 나리 종구 생산의 예측가능한 구근생산모델을 제시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제지역(해발 500 m)에서 재배된 것이 평난지 보다 종구 생존율, 구 주가 크고, 구중이 무겁고, 자구수가 많아 효과적이었 다. 인제지역에서 구근 크기별로 정식한 후 180일간 재배하여 수확한 구근의 비대 결과, 구주(구근둘레) 4.0-5.9 cm 크기의 구근을 정식하였을 때 수확한 구근 크기는 10.8-11.3cm, 구중은 19.5-23.4 g, 구주 6.0- 8.9 cm 크기의 구근 정식 시 수확 한 것은 12.5- 13.9 cm, 구중은 29.2-43.5 g, 9.0-10.9 cm 크기의 구 근 정식 시 수확한 것은 16.0-17.9 cm, 구중 58.9- 85.5 g의 구근을 생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재영, "오리엔탈 나리 조직배양구의 순화, 비대를 위한 적정 재식밀도 및 깊이" 한국원예학회 28 (28): 363-369, 2010

      2 박경일, "오리엔탈 나리 수입 구근의 바이러스 감염 정도" 한국원예학회 21 (21): 57-61, 2003

      3 피터 쉔크, "네덜란드 나리(百合) 구근생산과 육종의 세계화" 한국화훼학회 15 (15): 287-297, 2007

      4 Kim, J.Y., "Production and detection of virus-free lily plants by shoot tip culture and virazole treatment of bulbils" 37 : 64-69, 1996

      5 Kim, J.Y., "Occurrence of lily viruses and damages of viral diseases in oriental lilies" 40 : 58-65, 1998

      6 Kim, H.J., "Effect of planting-depth on growth and bulb development in Lilium spp" 16 : 451-, 1998

      7 Han, B.H.,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light on th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of bulblets with swollen basal plate from in vitro culture of bulb scales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40 : 463-466, 1999

      8 Kim, C.S., "Effect of cultivated areas on the bulb growth of Lilium oriental hybrid" 16 : 451-, 1998

      9 Seo, S.Y., "Effect of chemo- and thermotherapy on LSV inactivation in Lilium oriental hybrid" 16 : 464-, 1998

      10 Woo, J.H., "Effect of attitude on bulb enlargement and virus reinfection in Lilium oriental hybrid" 20 (20): 141-, 2002

      1 고재영, "오리엔탈 나리 조직배양구의 순화, 비대를 위한 적정 재식밀도 및 깊이" 한국원예학회 28 (28): 363-369, 2010

      2 박경일, "오리엔탈 나리 수입 구근의 바이러스 감염 정도" 한국원예학회 21 (21): 57-61, 2003

      3 피터 쉔크, "네덜란드 나리(百合) 구근생산과 육종의 세계화" 한국화훼학회 15 (15): 287-297, 2007

      4 Kim, J.Y., "Production and detection of virus-free lily plants by shoot tip culture and virazole treatment of bulbils" 37 : 64-69, 1996

      5 Kim, J.Y., "Occurrence of lily viruses and damages of viral diseases in oriental lilies" 40 : 58-65, 1998

      6 Kim, H.J., "Effect of planting-depth on growth and bulb development in Lilium spp" 16 : 451-, 1998

      7 Han, B.H.,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light on th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of bulblets with swollen basal plate from in vitro culture of bulb scales in Lilium oriental hybrid ‘Casa Blanca’" 40 : 463-466, 1999

      8 Kim, C.S., "Effect of cultivated areas on the bulb growth of Lilium oriental hybrid" 16 : 451-, 1998

      9 Seo, S.Y., "Effect of chemo- and thermotherapy on LSV inactivation in Lilium oriental hybrid" 16 : 464-, 1998

      10 Woo, J.H., "Effect of attitude on bulb enlargement and virus reinfection in Lilium oriental hybrid" 20 (20): 141-, 2002

      11 Kim, S.J., "Aspect of virus occurrent in lily plants according to the periods of successive subcropping" 18 : 741-,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 한국화훼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Flower Industry Development ->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10-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연구회 ->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 Korean Association for Flower Industry Development
      KCI등재
      2006-09-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연구회지 -> 화훼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 Flower Research Journal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7 0.50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