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禪)의 대중적 기법 모색 기초연구 : 발달장애인의 부적응행동 중재(intervention)에 마음챙김기법을 응용ㆍ적용한 문헌고찰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5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그 출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 일반대중의 정신건강문제 및 장애의 고통을 불교 선 (禪) 의 대중적 기법으로 고안·적용하여 요익 중생 방편으로 어떻게 펼칠 것인지에 대한 방안모색의 기초자료 탐색을 목적으로 했다. 그 목적을 위한 첫 번째 연구로, 선 (禪) 에 근거하여 고안된 서양의 마음챙김 기반중재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MBI) 가 (장애정도가 중증으로 여겨지는) 발달장애 인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도 효과적인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한 문헌들을 고찰 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고찰된 모든 논문 들은 MBI가 발달장애인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했 으며, 그에 대한 실증적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각 연구마다 중재대상자의 발달특성에 맞춰 MBI의 세부내용과 실행절차를 수정·보완하여 대상자 맞춤식 (tailored to the subject) 으로 제공했다. 셋째, MBI가 중재대상자에게 최적의 서비스 인지 사전 평가하는 시스템, 그의 발달수준과 특성에 맞는 마음챙김 정의와 그에 근거한 독립변인 구성요소 설정 등에 대한 명료한 프로토콜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각 연구의 독립변인에 대한 MBI의 중재실행도 및사회적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에게 적용된 MBI가 특정 중재자뿐만 아니라 다른 발달장애인들에게도 타당할지에 대한 평가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선 (禪) 의 대중적 (worldy) 기법으로 고안된 MBI가 일반 성인 및 아동·청소년의 심리치료 방편으로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의 부적응 특성을 개선하는 행동중재 및 교육적 기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지하고 있다. 이는 선 (禪) 이 정신건강문제 및 장애 출현율 등으로 고통 받는 현대사회 다양한 근기의 일반대중에게 요익중생 방편으로 알맞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구체적 방법 마련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그 출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 일반대중의 정신건강문제 및 장애의 고통을 불교 선 (禪) 의 대중적 기법으로 고안·적용하여 요익 중생 방편으로 어떻게 펼칠 것...

      본 연구는 최근 그 출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 일반대중의 정신건강문제 및 장애의 고통을 불교 선 (禪) 의 대중적 기법으로 고안·적용하여 요익 중생 방편으로 어떻게 펼칠 것인지에 대한 방안모색의 기초자료 탐색을 목적으로 했다. 그 목적을 위한 첫 번째 연구로, 선 (禪) 에 근거하여 고안된 서양의 마음챙김 기반중재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MBI) 가 (장애정도가 중증으로 여겨지는) 발달장애 인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도 효과적인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한 문헌들을 고찰 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고찰된 모든 논문 들은 MBI가 발달장애인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했 으며, 그에 대한 실증적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각 연구마다 중재대상자의 발달특성에 맞춰 MBI의 세부내용과 실행절차를 수정·보완하여 대상자 맞춤식 (tailored to the subject) 으로 제공했다. 셋째, MBI가 중재대상자에게 최적의 서비스 인지 사전 평가하는 시스템, 그의 발달수준과 특성에 맞는 마음챙김 정의와 그에 근거한 독립변인 구성요소 설정 등에 대한 명료한 프로토콜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각 연구의 독립변인에 대한 MBI의 중재실행도 및사회적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에게 적용된 MBI가 특정 중재자뿐만 아니라 다른 발달장애인들에게도 타당할지에 대한 평가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선 (禪) 의 대중적 (worldy) 기법으로 고안된 MBI가 일반 성인 및 아동·청소년의 심리치료 방편으로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의 부적응 특성을 개선하는 행동중재 및 교육적 기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지하고 있다. 이는 선 (禪) 이 정신건강문제 및 장애 출현율 등으로 고통 받는 현대사회 다양한 근기의 일반대중에게 요익중생 방편으로 알맞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구체적 방법 마련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urpose is to find practical ideas on how to apply Seon (禪) in helping the regular population in modern society with mental health problems or disabilities to alleviate their suffering (苦) in daily life.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critique, from a Buddhist meditation perspective, the practical studie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MBI) for individuals who have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or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manage challenging behaviors. Fourteen studies providing evident data as its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ement of their adaptive behavio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ly, the evidence-based MBI was effective in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of all the subjects in the studies reviewed. Secondl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ailed to the subjects’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by modifying the level of contents and its implementing procedures including facilitative materials to the subjects’intellectual and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Thirdly, there were few neither integrated intervention manuals nor standard of MBI for the specific population cohort. The lack of resources include no integrated or standardized assessment systems to make a decision whether MBI is the best practice for the subject, its operant definition and the feasible application rang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specific population, its elements of content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r manual including a service provider qualification. Fourth, the effect of MBI for the subjects was strengthened by checking its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which validates MBI as a promising intervention to manage challenging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uggest that Seon-inspired intervention techniques can be used in educational and therapeutic programs to manage maladaptive behaviors. This implies that Seon-inspired intervention can be applied as expedients of benefiting the regular people suffering such as of mental health problems or disabilities. Seon can be inspired in benefiting the people suffering by evidence-based developed frame in its concrete conceptualization and strategies to guide the people in practical ways.
      번역하기

      This study purpose is to find practical ideas on how to apply Seon (禪) in helping the regular population in modern society with mental health problems or disabilities to alleviate their suffering (苦) in daily life.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

      This study purpose is to find practical ideas on how to apply Seon (禪) in helping the regular population in modern society with mental health problems or disabilities to alleviate their suffering (苦) in daily life.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critique, from a Buddhist meditation perspective, the practical studie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MBI) for individuals who have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or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manage challenging behaviors. Fourteen studies providing evident data as its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ement of their adaptive behavio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Firstly, the evidence-based MBI was effective in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of all the subjects in the studies reviewed. Secondl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ailed to the subjects’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by modifying the level of contents and its implementing procedures including facilitative materials to the subjects’intellectual and communicative characteristics. Thirdly, there were few neither integrated intervention manuals nor standard of MBI for the specific population cohort. The lack of resources include no integrated or standardized assessment systems to make a decision whether MBI is the best practice for the subject, its operant definition and the feasible application rang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specific population, its elements of content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r manual including a service provider qualification. Fourth, the effect of MBI for the subjects was strengthened by checking its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which validates MBI as a promising intervention to manage challenging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uggest that Seon-inspired intervention techniques can be used in educational and therapeutic programs to manage maladaptive behaviors. This implies that Seon-inspired intervention can be applied as expedients of benefiting the regular people suffering such as of mental health problems or disabilities. Seon can be inspired in benefiting the people suffering by evidence-based developed frame in its concrete conceptualization and strategies to guide the people in practical w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I. 서론
      • II. 연구방법
      • 1. 문헌 검색
      • 2. 연구목적에 맞는 문헌들 검색 기준
      • 국문 초록
      • I. 서론
      • II. 연구방법
      • 1. 문헌 검색
      • 2. 연구목적에 맞는 문헌들 검색 기준
      • 3. 검색된 문헌들에 대한 분석 초점
      • III. 연구결과
      • 1. 연구논문들의 개요
      • 2. 독립변인 선정에 대한 정보
      • 3. 독립변인 세부내용 및 실행에 대한 정보
      • 4. 연구방법 등 기타 사항
      • 5. 연구결과 요약 및 불교의 방편적 의미
      • IV.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일, "마음챙김기반 중재가 지적장애 아동의 과제회피 및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69-191, 2014

      2 박문기, "근기론으로서의 돈점론" 한국불교학회 67 : 269-293, 2013

      3 "長阿含經"

      4 "觀無量壽佛經疏, 觀經玄義分"

      5 "大般涅槃經疏卷"

      6 "六祖大師法寶壇經"

      7 "六祖大師法寶壇經"

      8 "人天眼目卷之五"

      9 Singh, A., "Using a mindfulness-based procedure in the community : Translating research to practice" 19 : 2010

      10 Adkins, A., "Using a mindfulness-based procedure in the community : Translating research to practice" 19 : 2010

      1 김정일, "마음챙김기반 중재가 지적장애 아동의 과제회피 및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69-191, 2014

      2 박문기, "근기론으로서의 돈점론" 한국불교학회 67 : 269-293, 2013

      3 "長阿含經"

      4 "觀無量壽佛經疏, 觀經玄義分"

      5 "大般涅槃經疏卷"

      6 "六祖大師法寶壇經"

      7 "六祖大師法寶壇經"

      8 "人天眼目卷之五"

      9 Singh, A., "Using a mindfulness-based procedure in the community : Translating research to practice" 19 : 2010

      10 Adkins, A., "Using a mindfulness-based procedure in the community : Translating research to practice" 19 : 2010

      11 Kessler, R. C., "The global burden of mental disorders : An update from the WHO World Mental Health(WMH)Surveys" 18 (18): 2009

      12 Van der Oord, S.,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 Training for Children with ADHD and Mindful Parenting for their Parents" 21 (21): 2012

      13 Nirbhay Sing h, "Soles of the feet : A mindfulness-based self-control intervention for aggression by an individual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mental illness" Elsevier 24 : 158169-, 2003

      14 Singh, N. N., "Soles of the feet : A mindfulness-based self-control intervention for aggression by an individual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24 : 2003

      15 Singh, N. N., "Pe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a mindfulness-based anger and aggression management therapist" 32 : 2011

      16 Spek, A., "Mindfulness-based therapy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lsevier 34 : 2013

      17 Singh, N. N., "Mindfulness-Based Treatment of Aggression in Individual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A Waiting List Control Study" 2013

      18 Segal, Z.,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Guilford Press 2002

      19 Sanger, K. L., "Mindfulness training for adolescents: A neurodevelopmental perspective on investigating modifications in attention and emotion regulation using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15 (15): 2015

      20 Singh, N. N., "Mindfulness training assists individuals with moderate mental retardation to maintain their community placements" 31 : 2007

      21 Hwang, Y. S., "Mindful and mutual care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23 : 2014

      22 Kabat-Zinn, J., "Mind/Body Medicine" Consumer Reports Books 1993

      23 Burke, C., "Mi ndfulness-Based approaches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 A preliminary review of current research in an emergent field" 19 (19): 2010

      24 Titmuss, C., "Has Vipassana reached the end of the road? A Personal Reflection after 30 years"

      25 Prohl, I., "Global Zen Buddhism―Looking at the Popular and Material Cultures of Zen" 16 : 2015

      26 Singh, N. N., "Effects of a mindfulness-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an adul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32 : 2011

      27 Chang, C., "Effects of Long-Term Dharma-Chan Meditation on Cardiorespiratory Synchroniza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Behavior" 16 (16): 2013

      28 Hughes, C., "Educational Dilemmas: Debated Diversity, Quality in Education" Cassell 1997

      29 American Psyc 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30 Waters, L., "Contemplative Education : A Systematic, Evidence-Based Review of the effect of Meditation Interventions in Schools" 27 (27): 2015

      31 Singh, N. N., "Clinical and beneficial outcomes of teaching a mindfulness-based procedure to adult offend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2 : 2008

      32 Singh, N. N., "Can adult offend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 mindfulness-based procedures to control their deviant sexual arousal?" 17 : 2011

      33 Davidson, R. J., "Buddha’s Brain : Neuroplasticity and Meditation" 25 (25): 2008

      34 Singh, N. N.,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can use a mindfulness-based strategy to control their aggressive behaviour" 5 : 2011

      35 Singh, N. N., "A mindfulness-based strategy for self-management of aggressive behaviour in adolescents with autism" 5 : 2011

      36 Singh, N. 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Mindfulness-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4 : 2014

      37 Singh, N. N., "A Mindfulness-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4 (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