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안(公案)의 문제설정 방식과 의단(疑團) 형성 고찰- ‘是同是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55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사들은 옳고 그름 (是非) , 낫고 못함 (優劣) , 같고 다름 (同異) 등과 같이 어찌 보면 확연하여 재고의 여지조차 없는 문제를 문제로 내세워 (立) 무엇으로도 단정할 수 없는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붙인다 (極限) . 그것은 간택과 분별의 수단을 낱낱이 박탈하여 (破) 한정된 시각에 가두어져 있던 그 수단들의 활용 범위를 無 限히 개방시키고자 하는 조사들의 의식의 발로이다. 二項을 만들어 세운 대립 구도는 고정된 인식을 깨뜨려 다시 세우기 위한 임시 설정이며, 다시 세워진 인식 또한 깨뜨려짐을 향해 무한히 열려 있다. 조사들의 이러한 문제의식이 집약적으로 설정된 물음 가운데 하나가 바로 ‘是 同是別’이다. 상대되는 二項 대립구도를 세워 기존에 가지고 있던 낡은 관념들을 깨뜨리고 어떤 수단도 통하지 않는 극한의 경계에 처하게 함으로써 이로부터 수단을 無限히 발휘하도록 문제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야말로 窮則變變則 通의 이법 그대로라고 하겠다. 是同是別과 같이 兩端으로 벌려 문제를 설정하는 목적은 어느 한쪽에 安住하 거나 혹은 中道를 거머쥐려는 의식의 잔재마저도 깨부수기 위한 방편적 설정에 있지, 이를 통해 궁극의 목적지에 도달하게 하거나 해답을 주기 위함이 아니다. 간택과 분별이 뒤따르는 상황에서 오히려 이를 야기하는 요소들을 적극 활용하여 그러한 갈등 구조에 오염되어 형성된 습관적 사유와 인식태도를 벼리는 연습 도구로 써먹을 뿐이다. 본고에서는 是同是別이 중심에 놓인 공안 세 칙을 검토하였다. 雲門과 靑 原의 山是山, 巴陵의 祖意敎意, 法演의 倩女離魂 공안 모두 是同是別을 핵심적인 문젯거리로 삼고 있다. 그러나 어느 한 공안도 답으로 귀결하지 않으며 애초의 물음인 是同是別만이 궁구할 의심 (疑團) 의 과제로 오롯이 남는다.
      번역하기

      조사들은 옳고 그름 (是非) , 낫고 못함 (優劣) , 같고 다름 (同異) 등과 같이 어찌 보면 확연하여 재고의 여지조차 없는 문제를 문제로 내세워 (立) 무엇으로도 단정할 수 없는 막다른 골목으...

      조사들은 옳고 그름 (是非) , 낫고 못함 (優劣) , 같고 다름 (同異) 등과 같이 어찌 보면 확연하여 재고의 여지조차 없는 문제를 문제로 내세워 (立) 무엇으로도 단정할 수 없는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붙인다 (極限) . 그것은 간택과 분별의 수단을 낱낱이 박탈하여 (破) 한정된 시각에 가두어져 있던 그 수단들의 활용 범위를 無 限히 개방시키고자 하는 조사들의 의식의 발로이다. 二項을 만들어 세운 대립 구도는 고정된 인식을 깨뜨려 다시 세우기 위한 임시 설정이며, 다시 세워진 인식 또한 깨뜨려짐을 향해 무한히 열려 있다. 조사들의 이러한 문제의식이 집약적으로 설정된 물음 가운데 하나가 바로 ‘是 同是別’이다. 상대되는 二項 대립구도를 세워 기존에 가지고 있던 낡은 관념들을 깨뜨리고 어떤 수단도 통하지 않는 극한의 경계에 처하게 함으로써 이로부터 수단을 無限히 발휘하도록 문제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야말로 窮則變變則 通의 이법 그대로라고 하겠다. 是同是別과 같이 兩端으로 벌려 문제를 설정하는 목적은 어느 한쪽에 安住하 거나 혹은 中道를 거머쥐려는 의식의 잔재마저도 깨부수기 위한 방편적 설정에 있지, 이를 통해 궁극의 목적지에 도달하게 하거나 해답을 주기 위함이 아니다. 간택과 분별이 뒤따르는 상황에서 오히려 이를 야기하는 요소들을 적극 활용하여 그러한 갈등 구조에 오염되어 형성된 습관적 사유와 인식태도를 벼리는 연습 도구로 써먹을 뿐이다. 본고에서는 是同是別이 중심에 놓인 공안 세 칙을 검토하였다. 雲門과 靑 原의 山是山, 巴陵의 祖意敎意, 法演의 倩女離魂 공안 모두 是同是別을 핵심적인 문젯거리로 삼고 있다. 그러나 어느 한 공안도 답으로 귀결하지 않으며 애초의 물음인 是同是別만이 궁구할 의심 (疑團) 의 과제로 오롯이 남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triarch displays such a subject as right and wrong, merits and demerits, same and different etc., to drive us into a difficult situation. It is an expression of the patriarch consciousness in order to break the unnatural state and deprive us of means of differentiation. By doing so, they are trying to develop utilization range of means to infinity. The composition of binomial opposition is a temporary set for the purpose of breaking fixed recognition. In addition, the recognition also should be open infinitely towards demolishment.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is the question revealed to these problem consciousness of patriarch. It is a method of selecting a problem to demonstrate one's means infinitely. It establish the binomial opposition to break the existing old concept and puts an extreme boundaries. Indeed as it is the law of ‘Reaching an impasse, then change; having changed, then you can pass through.’ Its intended purpose is to break even vestige of conscious settle for one of the two, or catch the midway. Not to reach the ultimate destination or want to suggest an answer. Conversely, by utilizing the factors that cause differentiation to train the habit of thinking and recognition attitude. I se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as a hwadu, and examined the three case that are focused on this hwadu. ‘mountains are mountains’ of Yunmen and Qingyuan, ‘the meaning of the patriarch and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Paling, ‘Seijo's soul separated’ of Fayan it is. Any one of these cases does not result in the correct answer. However, the only hwadu that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left as subject of a research.
      번역하기

      The patriarch displays such a subject as right and wrong, merits and demerits, same and different etc., to drive us into a difficult situation. It is an expression of the patriarch consciousness in order to break the unnatural state and deprive us of ...

      The patriarch displays such a subject as right and wrong, merits and demerits, same and different etc., to drive us into a difficult situation. It is an expression of the patriarch consciousness in order to break the unnatural state and deprive us of means of differentiation. By doing so, they are trying to develop utilization range of means to infinity. The composition of binomial opposition is a temporary set for the purpose of breaking fixed recognition. In addition, the recognition also should be open infinitely towards demolishment.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is the question revealed to these problem consciousness of patriarch. It is a method of selecting a problem to demonstrate one's means infinitely. It establish the binomial opposition to break the existing old concept and puts an extreme boundaries. Indeed as it is the law of ‘Reaching an impasse, then change; having changed, then you can pass through.’ Its intended purpose is to break even vestige of conscious settle for one of the two, or catch the midway. Not to reach the ultimate destination or want to suggest an answer. Conversely, by utilizing the factors that cause differentiation to train the habit of thinking and recognition attitude. I se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as a hwadu, and examined the three case that are focused on this hwadu. ‘mountains are mountains’ of Yunmen and Qingyuan, ‘the meaning of the patriarch and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Paling, ‘Seijo's soul separated’ of Fayan it is. Any one of these cases does not result in the correct answer. However, the only hwadu that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left as subject of a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대립구도의 설정과 극한 경계로의 유도
      • Ⅲ. 의심(疑團)으로 남은 문제-화두
      • 1. 山是山 水是水
      • 국문 초록
      • Ⅰ. 머리말
      • Ⅱ. 대립구도의 설정과 극한 경계로의 유도
      • Ⅲ. 의심(疑團)으로 남은 문제-화두
      • 1. 山是山 水是水
      • 2. 祖意敎意
      • 3. 倩女離魂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욱, "화두를 만나다" 프로네시스 2007

      2 김영욱, "정선 公案集 07-2"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2010

      3 성해영, "신비주의의 관점에서 바라본 간화선(看話禪) - 종교체험과 수행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선학회 (36) : 323-357, 2013

      4 고형곤, "선의 세계" 운주사 1997

      5 조영미, "선불교의 공안에서 효와(誵訛)의 속성과의미기능" 불교문화연구원 (66) : 142-163, 2013

      6 아베 마사오, "선과 현대철학" 대원정사 1996

      7 에리히 프롬, "서양철학과 선(禪)" 황금두뇌 2000

      8 한자경, "간화선의 철학적 이해" 한국선학회 (36) : 358-383, 2013

      9 石秋, "雲南師範大學學報" 哲學社會科學版 1991

      10 皮朝綱, "雲南師範大學學報" 哲學社會科學版 1991

      1 김영욱, "화두를 만나다" 프로네시스 2007

      2 김영욱, "정선 公案集 07-2"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2010

      3 성해영, "신비주의의 관점에서 바라본 간화선(看話禪) - 종교체험과 수행 개념을 중심으로 -" 한국선학회 (36) : 323-357, 2013

      4 고형곤, "선의 세계" 운주사 1997

      5 조영미, "선불교의 공안에서 효와(誵訛)의 속성과의미기능" 불교문화연구원 (66) : 142-163, 2013

      6 아베 마사오, "선과 현대철학" 대원정사 1996

      7 에리히 프롬, "서양철학과 선(禪)" 황금두뇌 2000

      8 한자경, "간화선의 철학적 이해" 한국선학회 (36) : 358-383, 2013

      9 石秋, "雲南師範大學學報" 哲學社會科學版 1991

      10 皮朝綱, "雲南師範大學學報" 哲學社會科學版 1991

      11 "金剛經"

      12 "釋門正統"

      13 "釋氏稽古略"

      14 "趙州語錄"

      15 "請益錄"

      16 "臨濟語錄"

      17 "續傳燈錄"

      18 "禪門拈頌說話"

      19 "禪要"

      20 小川隆, "禪思想史講義" 春秋社 2015

      21 "碧巖錄"

      22 "看話決疑論"

      23 朝比奈宗源, "無門關提唱" 山喜房佛書林 1996

      24 "無門關"

      25 "洞山語錄"

      26 "曹溪眞覺國師語錄"

      27 "景德傳燈錄"

      28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29 "大慧語錄"

      30 "嘉泰普燈錄"

      31 "佛祖綱目"

      32 "五燈會元"

      33 조영미, "『 禪門拈頌』의 公案 조직 양상과 언어 활용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