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대 중국 여성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과 한류 및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attitude toward Korean Wave and Korean Fashion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of Chinese Women in their 2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58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패션기업들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국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며, 중국 내 한류열풍은 이들 기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패션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국 20대 여성들을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세분화하고, 이 집단들 간의 의복 구매행동(패션 정보원, 구매 장소, 쇼핑성향)의 차이를 밝히고,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와 한국패션 브랜드구매의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패션 라이프스타일과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가 한국 패션에 대한 태도와 한국패션 브랜드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패션 라이프스타일 20문항과 패션 정보원 14문항, 구매 장소 8문항, 쇼핑성향 13문항,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및 한국 브랜드 구매의도 각각 3문항씩, 그리고 인구통계에 대한 8문항을 측정하였다. 북경, 상하이, 심천, 그리고 서안 등에 거주하는 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1일에서 4월 20일 사이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91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Cronbach's α),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 LSD, 교차분석(Chi-square)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패션 라이프스타일 문항들은 개성 추구와 심미성 추구, 브랜드 추구 및 경제성 추구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요인들에 따라 군집 분석한 결과에서 경제/개성 추구집단, 심미/브랜드 추구집단, 패션 무관심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개성 추구집단이 정보원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쾌락적 쇼핑성향과 편의적 쇼핑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에 따라 구매 장소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분집단들에 따라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및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구매의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개성 추구집단은 한국과 한류 선호도, 한국패션 선호도 및 한국패션브랜드에 대한 구매 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무관심집단이 네 요인들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과 한국 선호, 한류 선호가 한국패션 선호와 한국 패션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패션 선호에는 한류 선호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한국 선호, 심미성 추구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패션브랜드 구매의도에는 한국패션 선호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한류 선호, 한국 선호와 심미성 추구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 추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류 선호, 한국 선호, 심미성 추구 요인은 직접적인 영향뿐 만 아니라 한국 패션 선호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한국 패션기업들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국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며, 중국 내 한류열풍은 이들 기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소비자들에...

      한국 패션기업들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국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며, 중국 내 한류열풍은 이들 기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패션기업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국 20대 여성들을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세분화하고, 이 집단들 간의 의복 구매행동(패션 정보원, 구매 장소, 쇼핑성향)의 차이를 밝히고,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와 한국패션 브랜드구매의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패션 라이프스타일과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가 한국 패션에 대한 태도와 한국패션 브랜드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패션 라이프스타일 20문항과 패션 정보원 14문항, 구매 장소 8문항, 쇼핑성향 13문항,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및 한국 브랜드 구매의도 각각 3문항씩, 그리고 인구통계에 대한 8문항을 측정하였다. 북경, 상하이, 심천, 그리고 서안 등에 거주하는 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1일에서 4월 20일 사이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91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Cronbach's α),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 LSD, 교차분석(Chi-square)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패션 라이프스타일 문항들은 개성 추구와 심미성 추구, 브랜드 추구 및 경제성 추구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요인들에 따라 군집 분석한 결과에서 경제/개성 추구집단, 심미/브랜드 추구집단, 패션 무관심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개성 추구집단이 정보원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쾌락적 쇼핑성향과 편의적 쇼핑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에 따라 구매 장소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분집단들에 따라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및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구매의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개성 추구집단은 한국과 한류 선호도, 한국패션 선호도 및 한국패션브랜드에 대한 구매 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무관심집단이 네 요인들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과 한국 선호, 한류 선호가 한국패션 선호와 한국 패션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패션 선호에는 한류 선호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한국 선호, 심미성 추구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패션브랜드 구매의도에는 한국패션 선호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한류 선호, 한국 선호와 심미성 추구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 추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류 선호, 한국 선호, 심미성 추구 요인은 직접적인 영향뿐 만 아니라 한국 패션 선호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fashion companies are actively planning to advance into Chinese market as a means to grow as a global company, and the Korean Wave craze in China is providing great opportunities for them. As such,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Chinese consumers and study the attitude of Chinese consumers on Korean Wave and Korean fashion brands. So far, however,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fashion lifestyle of Chinese consumers, and also the studies on attitude towards Korea, Korean Wave and Korean fashion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are very inadequate. In order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y by such fashion businesses, this study intended to subdivide Chinese women in 20s by fashion lifestyle,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fashion informant, location of purchase, shopping inclination) between such groups, and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Also, it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shion lifestyle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on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survey,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measured 20 questions on fashion lifestyle, 14 questions on fashion informants, 8 questions on location of purchases, 13 questions on shopping trend, and 3 questions each on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and 8 questions on demographic inform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women in 20s living in Beijing, Shanghai, Shenzhen, Xian and such from April 11th to April 20th, 2011, and total 391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18.0 software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verification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istribution analysis, LSD, cross analysis (Chi-square) and such.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questions on fashion lifestyle were comprised of factors for pursuit of personality, pursuit of aesthetic aspect, pursuit of brand, and pursuit of economicality, and from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y were found to be classified into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aesthetic aspect/brand pursuing group, and fashion-indifferent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used the most informants and had high tendency of hedonic shopping and convenience-driven shopping, and the location of purchase was found to have differences per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sub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preference of Korea and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fashion-indifferent group was found to be the lowest in all four factors. Fourth, from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ashion lifestyle factors and preference of Korea and Korean Wave on th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and Korean fashion brand, preference of Korean Wave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followed by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ith static influence. On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preference of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ith static influence, and pursuit of economical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And the factors of preference of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ere found to have not only direct influence but also indirect influence through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번역하기

      Korea fashion companies are actively planning to advance into Chinese market as a means to grow as a global company, and the Korean Wave craze in China is providing great opportunities for them. As such,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Chinese consumers...

      Korea fashion companies are actively planning to advance into Chinese market as a means to grow as a global company, and the Korean Wave craze in China is providing great opportunities for them. As such,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Chinese consumers and study the attitude of Chinese consumers on Korean Wave and Korean fashion brands. So far, however,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fashion lifestyle of Chinese consumers, and also the studies on attitude towards Korea, Korean Wave and Korean fashion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are very inadequate. In order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y by such fashion businesses, this study intended to subdivide Chinese women in 20s by fashion lifestyle,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fashion informant, location of purchase, shopping inclination) between such groups, and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Also, it intend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shion lifestyle and the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on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survey,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measured 20 questions on fashion lifestyle, 14 questions on fashion informants, 8 questions on location of purchases, 13 questions on shopping trend, and 3 questions each on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and 8 questions on demographic inform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women in 20s living in Beijing, Shanghai, Shenzhen, Xian and such from April 11th to April 20th, 2011, and total 391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18.0 software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verification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istribution analysis, LSD, cross analysis (Chi-square) and such.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questions on fashion lifestyle were comprised of factors for pursuit of personality, pursuit of aesthetic aspect, pursuit of brand, and pursuit of economicality, and from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y were found to be classified into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aesthetic aspect/brand pursuing group, and fashion-indifferent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used the most informants and had high tendency of hedonic shopping and convenience-driven shopping, and the location of purchase was found to have differences per group. Third, according to the sub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attitude towards Korea and Korean Wave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economicality/personality pursuing group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preference of Korea and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and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fashion-indifferent group was found to be the lowest in all four factors. Fourth, from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ashion lifestyle factors and preference of Korea and Korean Wave on th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and Korean fashion brand, preference of Korean Wave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followed by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ith static influence. On purchase desire for Korean fashion brand, the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preference of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ith static influence, and pursuit of economical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And the factors of preference of Korean Wave preference of Korea, and pursuit of aesthetic aspect were found to have not only direct influence but also indirect influence through preference of Korean fash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i
      • 목차 iii
      • 그림목차 v
      • 도표목차 vi
      • I. 서론 1
      • 국문초록 i
      • 목차 iii
      • 그림목차 v
      • 도표목차 vi
      • I. 서론 1
      • II. 이론적 배경 4
      • 1. 중국 패션시장 현황 4
      • 2. 패션 라이프스타일 9
      • 1) 라이프스타일 9
      • 2) 패션 라이프스타일 14
      • 3. 의복구매행동 18
      • 1) 정보원 19
      • 2) 쇼핑성향 22
      • 3) 구매 장소 25
      • 4. 한국과 한류, 한국패션제품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선행연구 27
      • 1)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27
      • 2) 한국패션과 한국패션브랜드에 대한 태도 30
      • III. 연구방법 33
      • 1. 연구문제 33
      • 2. 자료수집 33
      • 3. 측정도구 34
      • 4. 자료분석 방법 35
      • IV. 연구결과 36
      • 1. 연구대상의 인구 통계적 특성 36
      • 2.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 38
      • 1)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 38
      • 2)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집단 40
      • 3) 패션 라이프스타일 세분 집단의 인구 통계적 특성 차이분석 42
      • 3. 패션 라이프스타일 세분 집단의 의복구매행동(정보원, 쇼핑성향, 구매 장소)의 차이를 밝힌다 45
      • 1) 정보원 45
      • 2) 쇼핑성향 48
      • 3) 구매 장소 51
      • 4. 패션 라이프스타일 세분집단들에 따른 한국과 한류에 대한태도,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 및 한국패션브랜드 선호도에 차이 53
      • 5. 패션 라이프스타일과 한국, 한류에 대한 태도가 한국패션에 대한 태도와 한국 패션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 54
      • 결론 59
      • 참고문헌 63
      • 한국어 설문지 72
      • 중국어 설문지 79
      • 영문초록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