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경용, "기호학의 즐거움", 민음사, 2002
2 신응철, "에른스트 카시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3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4 신항식,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문경, 2003
5 김치수,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Ⅱ", 불어 불문학 연구. (28), 1989
6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 2005
7 김욱동, "은유와 환유의 언어적 기초", 민음사, 1999
8 강미정, "퍼어스 기호학으로 현대미술 읽기", 예술문화연구. (12), 2002
9 Tatsuru, U.,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 라캉 쉽게 읽기. 이경덕 역", 역갈라파고스, 2010
10 신이철, "기호와 텍스트 개념을 이용한 작품 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 공예 학과 도예전공 박사학위 논문, 2006
1 김경용, "기호학의 즐거움", 민음사, 2002
2 신응철, "에른스트 카시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3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4 신항식,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문경, 2003
5 김치수,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Ⅱ", 불어 불문학 연구. (28), 1989
6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 2005
7 김욱동, "은유와 환유의 언어적 기초", 민음사, 1999
8 강미정, "퍼어스 기호학으로 현대미술 읽기", 예술문화연구. (12), 2002
9 Tatsuru, U.,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 라캉 쉽게 읽기. 이경덕 역", 역갈라파고스, 2010
10 신이철, "기호와 텍스트 개념을 이용한 작품 분석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 공예 학과 도예전공 박사학위 논문, 2006
11 김민규, "도상학과 기호학을 활용한 미술 작품의 해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미술학과 회화전공 박사학위 논문, 2012
12 신응철, "예술, 상징 그리고 체험- 카시러와 손탁의 관점을 중심으로", 문화예 술교육연구. 6(3), 2011
13 허나영, "이중섭 신화에 대한 메타비평-바르트의 신화론을 중심으로", 미학 예 술 학연구. 36집, 2012
14 Crow, D., "Invisible Sign, Bloomsbury Academic (2015)., 서나연 역. 보이는 기호학", 비즈앤비즈, 2016
15 방창현, "포스트모더니즘 수사한 환유를 통한 도자미술의 시각언어 연구", 기 초조형학회. 16(3), 2015
16 김동영, "쟈끄 라깡의 환유와 은유 개념에 의한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해석 연구", 미술교육논총. (15), 2002
17 심지영, "비주얼 컬처를 위한 기호학 방법론 고찰-포스트모던 예술과 시각기 호학", 한국기호학회. 45(0), 2015
18 이재걸, "데미안 허스트의비신화화된 박물관 믿을 수 없는 난파선의 보물 展 의기호학적 전략", 예술과 미디어. 17(1), 2018
19 고동연, "전지구화 시대의 일본 현대미술과 비평1965그룹. 일본에서 세계 로, 세계에서 일본으로", 현대미술학 논문집. 17(2), 2013
20 Cassirer, E., "상징, 신화, 문화: 에른스트카시러의 1935-1945년 에세이 및 강의 Donald Phiooip Verere 역. 심민철 역", 아카넷, 2012
21 정신영, "타자일 필요성:무라카미 타카시와 차이 궈창의 해외진출을 통해 본 전략적인 타자성의 수용에 대하여", 미술이론과 현장. (21), 2016
22 김혜진, "고전기 아테네의 여성에 관한 고찰: 서기전 5세기 도기화 속 이상적 여성상과 낭만적 결혼관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9), 2020
23 신나경, "일본의 전통도예에서 조선도공의 영향과 그 미학적 의의 – 피로사 기장(被虜沙器匠)의 삶과 작품을 중심으로", 동양 예술. (53), 2021
24 정신영, "일본 현대미술에 나타난 서브컬처의 영향: 무라카미 타카시, 아이다 마 코토, 나라 요시토모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미술교육전공 박사학위 논문, 2014